실격당한 자들을 위한 변론
김원영 지음 / 사계절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도 우리를 실격시키지 못한다.'(313쪽)


이 책 마지막 문장이다. 사람이 사람을 실격시킬 순 없다. 이 당연한 말이 당연하지 않으니, 현실은 실격당한(실격시킬 권리가 없음에도 이상하게도 실격시키는 사람들이 많다) 사람들이 많다. 이들은 자신들이 실격당하지 않기 위해서 두 배, 세 배의 노력을 한다.


아무렇지도 않은 듯이 아니라, 그런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더 강하게, 그들보다도 더 열심히 사는 모습을 보이려 한다. 그들과 비슷해지려 하기도 한다. 비슷해질 수 없음에도.


그러다 어느 순간, 이건 아니다. 나는 나대로 살아야 한다는 자각을 한다. 내가 왜 남과 비슷해지려 노력해야 하는가? 남과 다르다고 해서 남을 따라가기만 해서는 안 된다.


남을 따라가려 하다가 내가 잘하는 것을 놓치고 또 나를 사랑할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 그렇게 하지 않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 그것이 나만이 책임져야 할 문제일까?


나만의 책임이라는 말은 실격과 관련이 된다. 장애를 지니고 태어났다고 해서 내가 관여하지도 않은, 내가 어떻게 할 수도 없었던 장애에 왜 나만이 책임을 져야 한단 말인가?


오히려 사회가 책임을 져야 하지 않을까? 내가 남들과 비슷하게가 아니라 나로 살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야 하는 것은 내가 아니라 사회 아닐까?


사람은 누구나 인권을 지니고 태어나니까, 그 인권은 장애가 있고 없고 상관없이 모두에게 지켜져야 하니까. 그러니 인권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는 문제가 있는 사회다. 그런 사회를 바꾸려고 해야 한다.


지금까지 장애인차별철폐연대에서 해온 일이 이런 일이 아니었을까 한다. 그들의 목소리를 과격하다고 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누가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줄까? 물론 귀 기울여 주는 사람도 있다. 그들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그런 사람들이 있다고 사회를 바꾸려고 하지 않아서는 안 된다. 사회는 누구나 자신의 권리를 누릴 수 있어야 하니까. 그런 사회에서는 누구도 실격당해서는 안 된다. 반대로 누구도 실격시켜서는 안 된다.


그러니 '인간적 상호작용(1,2,3장), 개인의 윤리적 결단(4,5장), 법과 제도의 관행(6,7장), 사랑과 예술이라는 특수한 맥락(8,9장)으로 구성하여 '잘못된 삶'이라는 관념과 태도에 맞서려 했다(16쪽)'고 구성한 저자의 글은 사람이 실격당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설득력 있게 펼치고 있다.


읽으면서 생각하지 못했던 점들을 만나게 되는데, 그 중에 법에 치우친, 형식을 중시한 관계를 유지하는 자세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쓸 수 있는 품격주의라는 말과, '오줌권'(이런 권리를 공식적으로 주장하지는 않지만, 이동권이라는 말도 처음에는 없던 말이라고 했으니)이라는 말이 대표적이다.


'오줌권'이라? 인간의 생리적인 현상을 해결하는 권리인데,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것은 장애인들이 갈 수 있는 화장실이 지금도 그다지 많지 않다는 것.


소위 먹자골목이라고 하는 음식점이 주욱 늘어선 곳에 가면, 각 음식점들 안에 화장실이 있는 경우도 있고, 건물에 공동 화장실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 계단으로 갈 수밖에 없거나 또는 턱이 있어서 휠체어가 갈 수 없는 곳이 많다.


그렇다면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은 회식을 하더라도 화장실이 어떠한가를 미리 고려하고 음식점을 선택해야 한단 말인가? 비장애인들은 그런 고민을 하지 않을텐데...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그런 고민을 하지 않고 자신이 먹고 싶은 음식을 먹을 수 있는 음식점을 갈 수 있도록 하는 일, 그것이 장애인의 책임일까?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의 책임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


이렇게 되면 누구도 실격당하지 않는 사회가 되지 않을까 한다. 이 책의 끝부분에는 킹 목사의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를 연상하게 하는 말이 있다. 그 말이 실현되는 사회, 그것이 꿈이 아니라 현실이었으면 하는 말로 끝맺으려 한다.


'예의 바른 무관심, 섬세한 도움의 손길 무시와 냉대 속에 혼자 있는 사람을 발견하고 고개 숙여 말을 거는 순간, 조금 더 긴 시간을 들여 상대방의 '초상화'를 그려보려는 미적 · 정치적 실천. 그런 것들이 모여 자기 삶의 조건을 수용하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용감하고 탁월한 자아를 구축하게 한다. 그러한 자아를 가진 사람들이 함께 모여 자신들의 구체적인 삶을 언어화 하고, 법적인 권리로 만들고, 품위와 겉모양만 중시하는 품격주의자들의 세계에 구멍을 낸다. 모든 사람에 대한 진심 어린 존중은 이제 법률이 되고, 헌법이 되어 우리 공동체의 최고 규범이 된다.'(312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