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에 대하여
우리는 꿈을 꾼다. 꿈이 없다면 삶은 참 삭막할 것이다. 꿈이란 지금보다 나은 삶을 생각하는 일이다. 그래서 꿈은 꾼다고 한다. 꿈꾼다.
하지만 꿈꾼다는 말은 곧 실현한다는 말과는 다르다. 꿈꾸고 있네라는 말이 있듯이, 꿈은 실현불가능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렇게 꿈은 실현이자 실현불가능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꿈과 실현, 실현이라는 말을 앞뒤를 바꾸자. 현실이다. 꿈과 현실. 이것은 일치하기도 하고, 일치하지 않기도 한다.
그러므로 꿈은 움직임이다. 꿈은 명사지만 동사다. 동사였다가 명사가 되어야 한다. 명사가 되지 못한 꿈은 우리를 힘들게 한다.
그럼에도 꿈을 꾼다. 꿈이 없는 삶은 너무도 삭막하기 때문이다. 실현되지 않는 꿈이 있기에 꿈은 더더욱 필요하다. 꿈을 현실로 만들려는 몸부림이 있기 때문에 꿈이 명사가 되기까지 동사로 계속해서 움직이고 있는지도 모른다.
김승희 시집을 읽다가 해석이 안 되는 말이 나와 당황하기도 했지만, 도대체 어떤 의미로 썼는지 도대체 모르겠는 말. 그럼에도 이상하게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 말. 시적인 효과라고 해야 하나. 그런 말이 있다. '토마토 어금니'라는 말.
이 말에 대해 생각하지만 답을 찾지 못하겠다. 어쩌면 답이 없는지도. 답을 만들어가야 하겠지. 그렇기 때문에 시인들이 쓴 시로 많은 사람들이 밥을 먹을 수 있게 되겠지. 그러니 이 말을 빼고도 꿈에 대해서, 우리가 꾸어왔던 숱한 꿈들에 대해서, 그 꿈들이 동사였기에 우리를 이토록 힘들게도 했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하는 김승희 시를 소개한다.
꿈틀거리다
꿈틀거리다
꿈이 있으면 꿈틀거린다
꿈틀거린다, 라는 말 안에
토마토 어금니를 꽉 깨물고
꿈이라는 말이 의젓하게 먼저 와 있지 않은가
소금 맞은 지렁이같이 꿈틀꿈틀
매미도 껍질을 찢고 꿈틀꿈틀 생살로 나오는데
어느 아픈 날 밤중에
가슴에서 심장이 꿈틀꿈틀할 때도
괜찮아
꿈이 있으니까 꿈틀꿈틀하는 거야
꿈꾸는 것은 아픈 것
토마토 어금니를 꽉 깨물고
꿈틀꿈틀
바닥을 네발로 기어가는 인간의 마지막 마음
김승희, 단무지와 베이컨의 진실한 사람, 창비. 2021년. 10쪽.
이 시를 보면 꿈은 분명 동사다. 명사로 향해 가는 동사, 꿈. 결국 과정이다. 이 과정에는 온갖 것들이 들어선다. 그러니 꿈은 우리에게 동사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명사가 된 꿈은 더이상 꿈이 아니게 되니까.
빨리 실현할 수 없는, 그래서 네발로 기어갈 수밖에 없는. 또한 판도라의 상자에 마지막까지 남은 것이 희망이라고 하는데, 희망과 꿈을 등치시킬 수도 있으니, 이는 실현되지 못하는 일이 꿈일 수도 있지만, 마지막까지 버리지 못하고 추구해야 하는 것이 꿈이라는 말도 된다.
시인이 예전에 쓴 시 중에 '그래도라는 섬이 있다'라는 시 역시 꿈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지 않나, 마찬가지로 이 시집에 실린 시 중에서 '같이 죽자는 말'(22-23쪽)이라는 시도 마찬가지다. 결국 '꿈'이다.
이 시에서 이런 구절이 있다. '차라리,라는 말을 구원하는 것은 / 오히려,라는 말이라고'(22쪽)
그렇다. 힘들기 때문에, 차라리 포기할까가 아니라, 힘들더라도 오히려 더 힘내서 가 보자가 되는 것, 네발로 기어서라도 가는 일, 그것이 바로 꿈이다.
그 가는 과정이 '소금 맞은 지렁이 같이 꿈틀꿈틀'거릴지라도, 그렇게 꿈은 '괜찮아'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꿈꾸는 것은 아픈 것'이니까. 꿈틀거린다는 말, 아프다는 말은 곧 현실이 힘들다는 말, 이 현실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말이니까. 아프지 않은 사람, 꿈꿀 일이 없는 사람. 그 자리에 멈춰선 사람. 결국 그 사람의 삶은 동사가 아니라 명사다. 움직임이 없는 상태.
하지만 꿈은 명사가 아니다. 동사다. 움직여야 한다. 상자 안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상자 밖으로 나와 기든, 뒹굴든 해야 한다. 그것이 바로 꿈이다. 그래, 그렇게 우리는 꿈을 꿔야 한다. 살아가기 위해서.
덧글
'토마토 어금니'란 말에 대한 의미 파악은 각자가 해야 할 일이지만, 이 시집에 실린 정과리의 해석을 참조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