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더보이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더보이', 경이로운 소년이다. 초능력이다. 남의 생각을 읽을 줄 아는. 남의 생각을 읽을 줄 안다는 말을 다른 말로 바꾸면 다른 사람에게 공감할 수 있다는 뜻이다. 공감하면서 공명할 수 있는 능력. 이 공명의 능력은 혼자에게만 해당하지 않는다. 공명은 퍼져나가야 한다. 물결이 동심원을 그리며 퍼져나가듯이, 공감은 공명을 통해 사람들에게 퍼져나간다. 이런 공감의 능력, 공명이 바로 우리들을 좀더 나은 삶으로 이끄는 동력이 된다.


이 소설은 사고로 아빠를 잃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아빠를 잃는 순간, 특별한 능력을 얻게 된다. 사람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게 된다. 그냥 그렇게 초능력자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한다면 이 소설의 배경인 1980년대를 빼놓은 것이 된다.


전두환 독재시대... 많은 사람들이 제 할 말을 못하고 살던 시대. 자기 마음을 감추고 살아야만 했던, 그런 시대에 공감하는 능력, 사람들과 공명하는 능력은 초능력이다. 그리고 이렇게 다른 사람들의 마음을 읽을 수 있는 아이를 통해서 사회의 문제를 드러낸다.


아빠, 결코 애국자와는 거리가 먼 아빠가 간첩을 잡기 위해 희생한 사람으로 둔갑한다. 정보부에 의해서. 이는 자신이 권력을 쥐기 위해서 사건을 조작하던 당시 권력을 추구하던 인간들의 모습을 권대령이라는 인물을 통해서 나타낸다. 여기에 부화뇌동하는 인간들까지.


그렇다면 다른 사람들도 등장해야 한다. 고문당하는 사람들, 그 마음을 읽었기에 견딜 수 없었던 주인공. 그가 탈출해 만나는 사람들. 그들이 겪어야 했던 시대의 아픔. 그 아픔을 알아가면서 그도 조금씩 성장해 간다.


물론 그 아픔을 알게 되면서, 사람에게 마음을 주면서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는 능력은 점점 사라진다. 당연한 일이다. 이미 자신의 마음을 다른 사람에게 주었기 때문에, 그 사람 이외의 사람들 마음을 자연스레 읽을 수는 없게 된다.


그렇다고 그 마음 읽는 능력을 온전히 잃게 되지는 않는다. 다른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읽을 수 있는 능력이 아닌, 그들과 함께 지내면서 있는 정답을 찾는 행위가 아닌, 질문을 만들어가는 방식으로 사람들 마음을 읽게 된다.


이런 전개 방식으로 인해서, 소설은 주인공의 엄마를 통해서 분단의 아픔을 이야기하고 있으며, 강토로 살아가려고 하는 희선을 통해서 1970년대 박정희 시대를 소환하기도 한다.


1987년이 되기 전까지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독재시기를 거쳤던 우리나라. 그 시기를 살아가던 사람들이 어떤 일을 겪었는지를, 다른 사람 마음을 읽는, 고아가 된 주인공 김정훈을 통해서 소설은 보여주고 있다.


그렇게 1986년을 거치면서, 1987년... 소설은 그 87년에서 끝난다. 우리 시대의 겨울도 그렇게 끝났으면 좋으련만, 지금 우리는 그 이후의 시대를 살고 있으니, 소설 이후의 세계를 우리는 살고 있다.


여전히 우주는 젊고, 우리는 할 일이 있다. 소설의 끝에서 


'다시는 예전으로 돌아가지 못할 것이라고 / 만약 누군가 그런 짓을 하려고 든다면, / 우리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 뭐라도 할 것이라고 / 절대로 가만히 있지 않을 거라고 / 우린 혼자가 아니라고' (319쪽)


아직도 갈 길은 멀지만, 그만큼 우리에게 당도하지 못한 밝고 따스한 별빛들이 많지만, 그럼에도 그 빛들은 언젠가 도달할 것이라는 믿음은 잃지 않는다.


답이 고정되어 있지 않음을, 답은 우리가 만들어가는 것임을, 그 답을 제대로 찾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해야 함을 이제는 알기 때문에...


마음을 읽는 능력을 잃어가지만 사람들과 함께 살면서 질문을 하게 되는, 이제는 주변을 볼 수 있게 되는 주인공처럼, 그렇게 우리는 지내왔기에.


그럼에도 역사는 직선으로 발전하지 않는다. 세상은 단선적이지 않다. 복잡하게 나아간다. 앞으로도 옆으로도 때로는 뒤로도. 하지만 소설에서 말하듯이 이미 겪은 일들은 우리에게 답을 찾는 능력을 주었다. 소설에 바보와 모범생과 천재의 읽기가 나오는데, 적어도 우리는 바보의 읽기는 끝냈으므로.


처음에는 상황이 비극적이지만 밝고 경쾌하게 진행되던 소설이 조금씩 무거워지더니, 우리나라가 거쳐온 독재 정치를 정면으로 다루고, 1987년으로 나아간다. 


고립된 개인, 다른 사람의 고통에 무감각한 개인들의 사회가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고 공명하는 사회로 나아간 우리 사회의 모습을 사고로 초능력을 얻은 주인공을 통해서 잘 보여주고 있는 소설이다.


가볍지만 무겁다고 할 수 있고, 무겁지만 경쾌한 전개를 보여주고 있는 소설이다. 소설 마지막 부분, 행갈이를 한 그 문장들... 왜 2023년인 지금 머리 속에서 사라지지 않는 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