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리의 이야기
존 버거 지음, 김현우 옮김 / 열화당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존 버거 소설이다.


'거리의 이야기'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거리의 이야기. 집을 잃고 버려진 땅에 자신들의 거처를 만들고 생활하는 사람들 이야기다.


소설은 단 하루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하루라는 시간에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일생이 담겨 있다. 처절히 파괴되어 가는 그들의 삶이.


킹은 개 이름이다. 개를 서술자로 삼아 소설을 전개한다. 킹은 떠돌이 개다. 어떻게 이곳으로 왔는지를 말해주지 않지만, 부두에서 비코를 만난 이후 이들과 함께 지낸다. 일정한 거처가 없는 개가 함께 살 수 있는 사람을 만나 지내면서 그들의 삶에 대해서 이야기해준다. 


즉 가장 낮은 시선에서 낮은 곳에서 사는 사람들 이야기를 들려준다. 저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면서 가난한 사람들의 삶을 이야기해주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없는 사람끼리 서로 의지하면서 살아가면 좋겠지만, 버려진 땅이 언제까지나 버려진 땅으로 남아 있을 수는 없다. 자본은 그런 땅을 가만히 놔두지 않는다. 개발을 해야 한다. 그래서 개발이라는 이름에는 쫓겨남이라는 이름이 늘 함께 한다.


그곳에 살고 있던 사람들은 개발을 통해 그곳에서 삶을 이어나가지 못한다. 그들은 그곳에 남을 만한 여력이 없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가장 우선 되는 능력은 바로 지불할 능력이 있느냐다. 지불할 능력이 없으면 나가야 한다. 


하지만 나갈 수 없는 사람들. 그들은 버틸 수밖에 없다. 결국 개발은 강제 철거와 연결이 된다. 돈이 있는 사람이 살기 위해서 없는 사람들을 쫓아내야 하는 현실. 그런 현실을 존 버거는 소설을 통해서 고발하고 있다.


킹은 이 없는 사람들이 어떻게 살아가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그들 사이에도 갈등이 있고, 또 돈이 개입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그들은 서로를 인정하고 의지하면서 살아간다. 킹 역시 마찬가지다. 떠돌이 개를 서술자로 등장시켰기 때문에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삶 역시 정착되지 못하고 또다시 떠돌 수밖에 없음을 짐작하게 한다.


그렇게 남기 위해서 저항하려 해도 결국은 쫓겨날 수밖에 없는 사람들. 그들이 최루탄에 쫓겨 모여 있던 곳에서 외치는 말은 '우리 여기 있어!'(204쪽)다. 그렇다. 그들은 거기에 있다. 그곳에도 사람이 있다.


사람이 있는데, 보여서는 안 되는 사람이다. 그들은 그곳에서 사라져야 한다. 보이지 않아야 한다. 철거되어야 한다. 그것도 그들에게 다른 삶터를 마련해주는 오랜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그냥 집행할 뿐이다.


오래 전에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 '상계동 올림픽'을 본 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올림픽이 개최되어 세계에서 많은 손님들이 오는데, 그 손님들에게 보여서는 안 될 것들이 있다고 했다. 판자촌, 노숙인, 노점상 등등. 선진국임을 과시하기 위해 좋지 않다고 여겨지는 것들은 눈에 보이지 않게 밀어붙였다.


어떻게 했는가?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그들은 보이지 않는 곳으로 쫓겨났다. 아무리 저항해도 강한 힘 앞에서는 어쩔 수가 없었다. 그렇게 쫓겨난 그들이 다시 또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쫓겨났다. 그 영화는 그런 현실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일을. 지금도 개발이라는 이름으로 거처를 잃는 사람들이 있으니...


존 버거의 이 소설은 그때 일, 또 지금도 벌어지고 있는 일이 떠오르게 했다. 여전히 자본은 이윤을 위해서라면 사람을 보지 않는다. 자본은 사람을 가린다. 사람을 보이지 않게 한다. 그래서 보이지 않는 사람들은 외친다.


"우리 여기 있어요!"라고... 바로 여기에 우리가 있다고. 우리도 살아갈 권리가 있다고. 하지만, 그 외침은 자본에게까지 가 닿지 않는다. 자본에 가 닿기 전에 공권력이라는 이름 앞에서 산산히 흩어진다. 소멸해버리고 만다. 이 소설에서처럼.


너무도 슬픈 모습. 지금도 지속되고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저려온다. 소설을 읽으면서 자꾸 우리나라 현실이 겹쳐져서 마음이 편치 않았는데... 그럼에도 이런 소설을 통해서 우리는 보이지 않게 하려는 사람들을 삶을 볼 수 있게 된다. 


얼마 전에 세상을 떠난 조세희 작가가 생각난다. 그의 작품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공'도 생각이 나고. 고인의 명목을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