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대전 Z 밀리언셀러 클럽 84
맥스 브룩스 지음, 박산호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 [월드 워 Z]의 원작 소설이다.

소설이 번역될 때는 영화로 만들어진다고 했다. 소설을 먼저 읽었으면 영화를 다르게 봤을까 하는 생각. 영화를 먼저 보고, 원작인 이 소설을 읽었으니... 순서야 바뀌었지만, 영화와 소설의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는 점에서 좋았다.


소설을 읽으면서 아직까지 우리가 겪고 있는 코로나19를 떠올리게 되었는데...


공통점은 먼저 중국에서 시작했다? - 소설에서도 좀비들이 중국에서 먼저 활동하는 것처럼 나온다. 그런데도 서양 사람에게 이름은 '아프리카 광견병'이라고 불린다. 특정 지역의 이름을 붙이는 일, 그 지역을 낙인찍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 이 소설이 나올 때는 중국과 미국이 지금과 같은 갈등을 일으키지 않았기에, 중국에 대해서 지금보다는 긍정적인 쪽으로 소설에서 서술이 되어 있다. 


두번째는 원인을 알 수 없다. 왜 좀비들이 발생했는지, 어떻게 좀비들이 전세계에 거의 동시에 발생해서 재난을 일으켰는지를 알 수 없다. 원인을 알 수 없으니 치료법을 알 수 없다. 소설에서는 치료법이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영화와 마찬가지로 좀비들이 불식되지 않았다. 좀비는 계속 살아남아 있다. 코로나19 역시 3년이 지나갔음에도 여전히 사그라들지 않는다.


세번째는 격리다. 격리? 사람들을 격리할 수밖에 없다. 누가 좀비고 아닌지를 구분하기 힘들다. 그렇다면 장벽을 쌓거나 아니면 만나지 말아야 한다. 소설이나 영화에서는 코로나와 같은 비대면 활동이 많이 나오지 않으나, 만약 코로나19 이후에 이 소설이 쓰였다면 아마도 비대면 활동이 중심이 된 인류의 모습이 나오지 않았을까 한다.


네번째는 죽어가는 사람들은 약자들이다. 강자들은 안전한 곳에서 살아남는다. 다는 아니지만, 약자보다는 생존할 확률이 높다. 모든 질병이 그렇다. 전쟁도 마찬가지다. 


이런 공통점이 있지만, 코로나19는 바이러스고 좀비는 죽은 사람이 움직이는 상태니, 대처방법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에서 사람들이 좀비에 대처하는 방법, 우선 피하고 봐야 한다. 그러나 피하기만 할 수는 없다. 결국 좀비에 맞서야 한다. 그러나 개인이 맞설 방법은 없다. 좀비 퇴치법은 나왔다. 뇌를 없애면 된다. 


소설과 영화가 갈라지는 지점이다. 영화에서는 무언가 대비책을 만들어야 한다. 적어도 좀비들에게 공격당하지 않는 방법을 관객들에게 보여줘야 한다. 따라서 영화에서는 질병이 대안으로 나온다.


즉 기생하는 존재는 자신도 살아가야 하니 건강한 숙주를 필요로 한다. 바이러스 역시 마찬가지다. 숙주가 사라지면 바이러스도 사라진다. 그래서 치명률이 높은 바이러스는 널리 퍼지지 못한다. 퍼뜨릴 숙주가 사라지기 때문이다. 


영화에서 병에 걸린 사람들을 공격하지 않는 좀비를 설정한 이유는 이러한 기생(바이러스)의 특성을 생각해서일 것이다. 그런데 소설에서는 그런 이야기가 없다. 


좀비는 아무 생각이 없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고 할 수도 있지만, 좀비에 물리거나 좀비의 물질이 몸에 들어간 사람이 좀비가 되니, 의학 문제로 가지 않는다.


구체적인 원인을 밝히고 해결책을 제시하기보다는 좀비를 퇴치하는 부분에 강조점을 둔다. 퇴치라고 했지만, 전쟁이다. 좀비와 벌이는 전쟁. 그래서 제목이 세계대전 Z다.


전쟁! 이 전쟁에서 죽어가는 사람들이 누굴까?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 쓰는 효과적인 전략, 전술은 무엇인가?


소설을 읽으면 전쟁은 어떤 형태로든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 든다. 좀비와의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대부분의 나라들이 선택한 전술은 일반인들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군대가 좀비를 유인하여 섬멸하기 위해 일반인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일반인들이 미끼가 된다. 그 다음에야 군대가 좀비들을 소탕한다. 그 과정에서 일반인들이 얼마나 죽어가는지는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고려할 대상의 우선 순위에서 뒤로 밀린다.


이렇게 전쟁의 살벌함을, 또한 그 전쟁을 수행한 군인들 역시 정신적 고통으로 삶을 유지하기 힘듦을 이 소설은 보여주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


바로 이런 좀비들이 왜 발생했는지 원인을 밝혀야 한다. 어느날 갑자기 하늘에서 좀비가 뚝 떨어진 것은 아니다. 분명 이유가 있다. 그것도 인류의 생활방식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많다.


그것을 밝혀내야지만 좀비와의 전쟁을 끝낼 수 있다. 세상에 어떤 바이러스는 완전히 지구상에서 없애기는 힘드니... 


이 소설을 읽으면서 코로나19로 고통을 받은 3년, 아직도 끝나지 않은 이 코로나를 생각하면서, 우리들 생활방식이 어떠해야 하는지 돌아봐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영화 [월드 워 Z]를 본 사람들, 아마 이 소설을 읽으면서 비교해보면 재미있을 것이다. 특히 군대 문제, 그리고 희생되는 사람들을 생각하면서 읽으면 더 좋을 것이고... 전쟁은 어떤 형태로든 일어나서는 안 된다는 것을 생각하게도 될 것이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