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별을 본 지가 얼마나 되었지? 하늘을 올려다 볼 틈도 없었나? 밤이 되어도 별보다도 더 빛나는 땅의 빛들로 인해서 밤하늘의 별들이 빛을 잃지 않았나?
내가 보지 않아도 별은 별일텐데... 천문학자들에게는 별이라는 말과 행성과 위성, 혜성이 다른 말이라고 하는데, 우리에게는 그냥 별이지 않은가.
그리고 그런 별들은 이제 별 볼일 없어지고 만 상태가 아닌가 하는 생각.
천문학자인 저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엮어낸 책이다. 천문학에 관한 내용도 있지만, 천문학을 공부하면서 겪게된 자신의 일을 주로 이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천문학에 대해서 문외한인 나에게도 읽을 만하다고 느끼게 만든 책이기도 하다. 요즘 천문학자들이 망원경으로 별을 관측할 필요가 별로 없다는 사실까지도.
우주로 날아간 우주선들이 보내오는 사진들로도 행성을, 별을 충분히 연구할 수 있다고 하니.
이렇게 아무리 별 볼일 없는 시대라고 해도, 우리는 별에 대해서는 아련한 감정을 가지고 있다. 달에 대한 사실들이 많이 밝혀졌지만, 아직도 달 하면 무언가 그리움을 떠올리는 사람이 있듯이.
여전히 사람들이 우주로 나아가 살지 못하고 있는 상태, 달에 발을 디딘 지 오래 되었지만, 최근에야 다시 달에 사람을 보내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니, 그만큼 우주는 여전히 우리에게 미지의 세계다.
하늘에 떠 있는 별처럼 우리에게 어떤 아련함, 그리움, 동경 등을 주는 존재. 그런 존재를 연구하는 학문. 천문학. 그리고 천문학자.
이 책에는 그런 천문학을 공부하면서 겪게 된 일들이 많이 나오는데, 드물기는 하지만 여전히 여성과 남성에 대한 차별이 있음도 드러내고 있고, 또 우리나라 조선왕조실록이 얼마나 잘 기록된 자료인지도 알려주고 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최근에 천문학의 성과도 알려주고 있으며, 단지 별의 이야기로 그치지 않고 땅으 이야기, 즉 땅에 발을 딛고 살아가는 사람의 이야기로 연결이 되어서 좋다.
책의 끝부분에 나오는, 천문학자들의 그들의 책이나 논문에 쓰는 주체를 나타낸다는 말. '나'가 아니라 '우리'라고 한다는 말. 이때 '우리'는 함께 연구한 과학자들이 아니라 바로 '인류'를 뜻한다고 한다.
그렇게 과학은 특정한 한 개인의 업적이 아니라 인류가 함께 해온 결과물이라는 사실. 그 점을이 책이 알려주고 있으며, 우주로 나아가는 일들이 결국은 '인류'의 일이라는 점을 깨닫게 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