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끄러지는 말들 - 사회언어학자가 펼쳐 보이는 낯선 한국어의 세계, 2022 세종도서 교양부문
백승주 지음 / 타인의사유 / 2022년 4월
평점 :
말은 사람과 사람을 잇는 역할을 한다. 반대로 말은 사람과 사람을 가르는 역할도 한다. 이렇게 말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다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지금 우리나라에 떠돌고 있는 말들은 어떤가? 잇는 역할보다는 가르는 역할을 더 하고 있지 않은가.
말이 사람을 살리지 않고, 사람을 죽이는 역할을 하고 있단 생각이 든다. 그런 말들을 혐오표현이라고 하는데, 혐오표현인지도 모르고 쓰는 말들, 혐오표현인 줄 알면서 그렇기 때문에 쓰는 말들도 많단 생각이 든다.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너무도 많은 말들이 사람을 가르고, 사람을 떨쳐내는 역할을 하고 있구나, 우리 사회에서 지금 그런 말들이 너무도 많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그 많은 말들, 누구의 말이냐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누가 쓸 수 있는 말이냐도 꽤 중요한데, 언어의 다양성을 보장하라는 말도 중요하지만, 그 다양성이라는 이름으로 혐오표현이 용인되어서는 안 된단 생각이 든다.
이 책의 시작은 비유로 시작한다. 사람에게 여러 혀가 있다는 말로... 혀, 그렇다. 어떤 상황이냐에 따라 다른 혀들이 작동한다. 내가 쓰는 언어가 달라진다. 그런 언어들을 하나로만 묶으려 하면 안 된다.
언어에 권력관계를 동원해서는 안 된다. 언어는 동등하다. 물론 혐오표현 언어는 빼고. 그렇지만 사투리를 썼다는 이유로, 또는 가난한 나라의 언어를 사용한다는 이유로 차별을 받고 있지는 않은가.
특정 상황에서 어느 지역의 사투리는 정겨운 느낌을 주는 반면, 어느 지역의 사투리는 그런 느낌을 주지 못하고 저속하다는 느낌을 주지 않는가. 그렇게 상황을 만들어가고 있지 않았던가.
그런 생각을 한다. 언어에 위계가 생기면, 그 다음에는 자연스럽게 차별이 따라온다. 그런 차별을 공고하게 하는 언어들이 발달하게 되고, 사람들과 사람들을 가르게 된다.
그렇게 말들은 미끄러진다. 다양한 주제의 글들이 엮여 있는 책인데, 글들이 마음에 자리잡는다. 생각해 볼만한 글들이 많다.
언어가 얼마나 중요한지, 우리가 쓰는 말들이 혐오표현이 되지 않는지 끊임없이 점검해봐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더 말이 필요없다. 이 책은 직접 읽어야 제 맛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