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 2003년 제34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김연수 지음 / 문학동네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김연수 소설을 읽기로 하다. 이름을 많이 들어서 언젠가는 한번 읽어봐야지 했던 작가. 이름만으로 흘려보낸 시일이 꽤 된다. 이제는 김연수 소설을 읽자. 그가 자꾸 언급되는 이유가 있겠지. 그런 마음으로 읽기 시작한 소설이 [내가 아직 아이였을 때]


당연히 책을 골랐을 때는 제목이 된 소설이 실려 있겠지라는 안일한 생각을 했다. 지금까지 읽었던 소설집들은 대부분 그랬기 때문에... 최근에 시집들은 시집 제목을 수록된 시에서 따오지 않는 경우도 많은데, 그 생각을 소설로 확장하지는 못했다.


이 소설집은 2002년에 나왔는데, 소설집도 굳이 수록된 소설에서 제목을 따오지 않아도 되는데... 단편 소설 9편이 실려 있다. 등장인물들이 모두 일치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아이거나 기껏해야 대학생 정도의 나이이고, 공간적 배경은 경상도 김천이라고 할 수 있다. 꼭 김천이 아니어도 경상도 어느 마을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특정한 공간에서 아이부터 대학생이 되기까지 겪은 일들이 이 소설집에 나오는 내용이라면, 이 소설들은 한편 한편이 독립적이지만 또한 과거 마을 삶에 관한 공통점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또 시대적 배경이 70년대에서 80년대를 거치고 있으니, 이 소설집이 나온 때로부터 20-30년 전 이야기라는 공통점, 지금으로 따지면 소설집이 나온 때가 20년 전이니, 과거의 과거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지금 세대에게는 낯선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작가 김연수와 비슷한 시대에 살았던 사람들에게는 그래, 그때는 그랬지라는 말을 할 수 있는 소설들이라고 할 수 있다.


시대의 아픔도, 개인이 겪는 아픔도 소설 속에 드러나고 있는데, 설핏 작가의 개인적인 성장사도 소설 속에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무엇보다도 이 소설집에 있는 '뉴욕제과점'을 먼저 읽어야 한다는 생각을 한다.


이 '뉴욕제과점'은 작가의 사적인 이야기라고 생각해도 좋을 만큼 직접적으로 작가가 된 자신이 어린 시절을 이야기하고 있으니까.


그 다음은 순서대로 읽을 필요는 없다. 내용이 주욱 연결되지는 않으니까. 그렇지만 70-80년대 우리나라 상황을 알 수 있는 '그 상처가 칼날의 생김새를 닮듯'은 과거에는 그랬지라고 넘길 수가 없다.


이 소설 속 상황은 지금도 진행형이니까. 우리가 아직도 극복하지 못하고 있으니까. 특정 지역을 배제하는, 그런 행태들. 그런 관념들. 여전하다.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주사파 운운하면서 그들과는 협치하지 않겠다는 말이 나올 정도니, 상처에는 칼날의 생김새가 남아 있다.


상처를 보면 어떻게 상처를 입었는지를 알 수 있다. 상처를 낸 존재들의 모습이 상처 속에 오롯이 드러난다. 그러므로 상처는 기억이고, 과거를 잊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존재가 된다. 이 소설 역시 그렇다.


어린 시절의 기억. 그 시절은 다시 돌아올 수 없을지라도 기억에 남아 현재를 살아가게 한다. 어쩌면 현재의 자신을 지탱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좋은 기억이든, 나쁜 기억이든... 


그런 의미에서 이 소설집에 실린 마지막 소설 '비에도 지지 말고 바람에도 지지 말고'는 80년대 학원 폭력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지만, 과연 우리는 폭력을 극복한 사회에 살고 있나 되짚어 보게 한다.


당시에는 물리적인 폭력이 난무했지만, 지금은 물리적인 폭력은 많이 사그라지고 있다. 물론 학교폭력은 여전하기는 하지만, 교사들에 의해서 또 교사를 대리하는 반장이라는 권력에 의해서 자행되는 물리적 폭력은 사라졌다. 암암리에 일어나는 폭력은 있지만, 이처럼 공공연하게 행해지는 폭력은 사라졌다.


하지만 그렇게 폭력에 길들여졌던 과거가 오나전히 극복되기 위해서는 이 소설에처럼 다른 계기가 있어야 한다. 결코 그 폭력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마음 가짐. 그리고 그것을 실천하려는 노력. 


공공연한 폭력만이 아니라 은연중에 가해지는 폭력도 없애야 한다. 또 제도로 가해지는 폭력도 없애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 소설 속에서 가해지는 폭력 상황과 비슷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비에도 지지 말고 바람에 지지 말고 자신만의 꽃을 피울 수 있으려면 폭력에 대한 인식이 있어야 한다. 폭력에 맞설 마음을 지니고, 행동으로 나서야 한다.  


김연수가 자신의 과거를 소설을 통해 불러낸 이유는 바로 과거를 미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 과거를 통해 현재를 개선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또 과거와는 다른 미래로 나아가기 위함이다. 그렇게 소설은 우리를 다른 세계로 인도한다.


김연수가 불러낸 우리나라 70-80년대의 삶. 이제는 과거라고 말할 수 있는 삶이지만, 이 중에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것들이 있으니... 김연수 소설을 통해서 또다른 삶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