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들의 부엌
김지혜 지음 / 팩토리나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들의 부엌'


제목이 여러 생각을 하게 한다. 부엌하면 요리를 떠올리고, 음식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 음식은 한 종류가 아니다. 사람들이 하나의 음식만을 먹고 살 수는 없다. 때에 따라, 장소에 따라 다양한 음식을 먹는다. 그리고 음식은 우리 몸을 살리는 역할을 한다.


그럼 책들의 부엌은? 요리되는 존재가 음식이 아니라 책이다. 다양한 책들을 요리하듯이 접하고, 우리가 받아들인다고 보면 된다. 그렇다면 책도 음식이다. 마음의 양식이라고 하듯이, 책은 마음을 살리는 역할을 한다.


발터 뫼르스가 쓴 소설 [꿈꾸는 책들의 도시]에서는 부흐링 족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책을 음식으로 먹는다. 책읽기가 음식먹기다. 마음을 살리는 음식이 아니라 몸을 살리는 음식이 책이다. 


이 책은 그 소설과 다르다. 물리적으로 배를 채우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채우는 역할을 한다. 책을 통해서, 마음을 치유한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무언가 응어리를 지니고 있다. 그런 응어리를 풀어내는 역할을 책이 한다. 


여러 등장인물들이 등장한다. 저마다의 사연을 지닌 인물들. 그들은 어느 순간 북스 키친에 와서 지내는 동안 나름대로 치유를 하게 된다.


자연과 더불어, 책과 더불어 지내는 시간, 책을 통해서 풀어내는 시간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사람과의 관계를 통해서 풀어낸다.


부엌에서 요리를 하는 사람도, 요리를 먹는 사람도 서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런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하는 역할을 요리가 한다. 


북스 키친도 마찬가지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 즉 북스 키친을 운영하는 사람들이 없다면 아무리 책이 있어도 치유는 되지 않는다. 사람과 사람 사이에 책이 있고, 그 책을 통해서 그들은 더 좋은 관계를 만들어가게 된다.


결국 책에 관한 책이지만 더 나아가 사람에 관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이 서로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환대란 무엇인지, 그리고 환대가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여는지를 보여주는 소설이다.


그래서 따스하게 부엌에서 음식을 만들어 함께 먹는 듯한 느낌으로 읽을 수 있는 소설이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아무 때나 훌쩍 떠날 수 없는 사람들, 이렇게 치유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라는 사실을 이 소설이 간과하고 있지 않을까.


지금처럼 관계가 비틀린 시대에 이런 따스한 소설은 위안을 준다. 가혹한 현실 속에서 조금은 쉴 수 있도록 하는 소설.


부엌에서 음식을 먹으며 자기만의 시간을 가지듯이 이 소설을 읽으며 자기만의 시간을 갖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