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부고(訃告)


  세상에, 시집 제목이 '죽마고우'인데 시인은 첫장부터 죽음을 이야기한다.


  삶과 죽음이 함께 간다고, 죽음을 잊지 말라고(메멘토 모리)하지만, 죽음이 삶의 친구라니. 그것도 오랜 친구.


  가만히 생각해 보니, 죽음은 도처에 있다. 삶이 시작된 순간부터 죽음은 삶과 함께 한다. 어찌 죽마고우가 아니랴.


  이 친구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순간, 삶은 더욱 풍성해진다. 제대로 살 수 있게 된다. 그러니 죽음을 없는 것으로 여기지 말고, 또 감추려고 하지도 말고, 함께 하는 친구로 생각하자.


시를 읽으면서 요즘 하나 둘 날아오는 부고를 생각했다. 어느 순간, 죽음은 이렇게 가까이 와 있구나. 부고 하나하나에 죽음을 생각할 수밖에 없다. 삶에서 죽음으로 건너간 사람들 이야기.


죽마고우


젊었을 때는 곁에 말 걸 상대라도 없으면 / 세상 혼자 떨어져 사는 거 같아 싫었다.

그것보다는 늙으면 더 외롭다 하는데 / 딱히 그렇지는 않다.

늘 곁에 누군가 있는 것 같다. / 둘러보니 없긴 없는데 있는 것 같다.

가만히 보니 죽음이다. / 당연히 죽음이 날 데려 갈 테니'

외톨이로 살아 고독하여도 두렵지 않다. / 왜 그런가 생가해보니 미리미리

죽마고우처럼 / 죽음에 대한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어서다.

사람이니까 죽음도 죽마고우라 부른다.


강우식, 죽마고우. 리토피아. 2022년. 83쪽.






둘. 술


시인은 시도 죽마고우라고 했다. 시인이니까 그런 말을 할 수 있겠다. 평생을 시와 함께 했으니, 죽음과 시는 시인에게 죽마고우다. 그런데 여기에 하나 빠질 수 없는 것이 있다. 술이다.


술술 넘어가서 술인지, 자신을 다른 세계로 데려가는 존재. 죽음이 영원한 망각의 세계로 사람을 이끈다면, 술은 잠깐 동안 망각의 세계로 이끈다.


이 세상과 다른 세상을 만나게 해주는, 그러나 때로는 기억을 하지 못하는, 죽음에서 돌아온 사람이 없듯이, 술 또한 기억을 지워버리기도 한다.


그러면 안 되는데, 절제가 되어야 하는데, 달리 알콜 중독이란 말이 나왔겠는가. 하지만 중독이 되면 잠시 망각의 세계에 들었던 정신이 지속적으로 이 곳으로 돌아오지 못할 수도 있다.


중독은 어찌 됐든 좋지 않다. 중독은 이곳과 저곳을 나누고, 저곳에서 다시 이곳으로 넘어오지 못하게 하는 장벽이 된다.


'술 권하는 사회'라는 현진건 소설. 일제시대 때만 그랬을까. 아니다. 지금도 사회가 술을 권한다. 자꾸 이곳을 잊으라고 한다. 그냥 저곳으로 가라고 한다. 등을 떠미는 사회. 하지만 사회에 등을 떠밀려 술을 마시다보면, 사회도 잊는다. 세상은 바뀌지 않는다. 


오로지 자신의 몸만, 자신의 정신만 축날 뿐이다. 그러니 술을 즐겨도 좋지만, 중독으로 가지는 않게 하자.


사회가 술을 권하면 적당히 마셔주어도 좋지만, 인사불성이 될 때까지, 이곳을 잊을 때까지는 마시지 말자.


숙취


어디서 잘못 배운 술인지 모르지만 / 나는 술버릇이 나쁘다.

혼자서는 술을 절대 안 먹지만 / 가까운 친구와 마시는 술에 흥이 오르면

내가 앞장서서 일 배 일 배 부일배가 아니라 / 한 병 한 병 또 한 병이 된다.

내일은 죽어도 좋다며 술을 마신다. / 그리고는 술을 이기지 못한 이튿날은

아이고, 아이고 내가 간다는 영어 같은 / 그 신음 속에 열물 쓴물 단물을 다 토한다.

거기에 어머니인지 어머나인지 / 분간 못하며 찾는 어머니도 반드시 계시다.

그저 지나가길 바랄 뿐 약이 없는 숙취 / 그리고는 좀 원상 복귀되면 

돌본 마누라에게는 미안했는지 / 일평생 못 버리는 거짓말 금주 맹세를 하며

당신 보며 사는 것이 내 유일한 소망인데 / 못보고 죽는 줄 알았다고 입을 뗀다.


강우식, 죽마고우. 리토피아. 2022년. 70쪽.






셋. 기후 위기 또는 기후 재앙


10월이다. 이제는 선선해져야 한다. 계절은 어김없이 제 역할을 하니.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계절이 제 역할을 거부하기 시작했다.


그냥 더위를 지속하기도 한다. 9월. 과연 선선해졌던가. 한여름과 같은 더위가 지속된 때도 있었다. 물론 일교차가 생겨, 아침-저녁으로는 살 만했지만, 낮에는 한여름이었다.


세계 곳곳에서 기후가 이상을 일으키고 있다. 기후가 이상을 일으켜? 


아니지, 사람이 기후를 이상하게 만들었지. 자신들이 만들고 기후 위기라고 한다. 기후 재앙이라고 한다. 고치려고 하지는 않고.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을 당연히 해야겠지만, 사회가, 나라가, 세계가 함께 해야 할 일이 있다. 그런데 하지 않는다. 특히 가장 책임이 있다고 할 수 있는 미국.


미국은 기후 위기에 대해서 어떤 행동도 하지 않으려 한다. 그들은 세계 경찰을 자처하면서, 세계 평화를 자신들이 유지한다고 주장하면서, 우리를 다른 지구로 데려가려 하고 있다.


자신들의 생활습관을 바꿀 생각을 하지 않고 오직 다른 나라들에게 책임을 전가한다. 그냥 지금 그대로 살려고 한다.


그들이 지금 그대로 살면 지구는 다른 지구가 된다. 죽음이 개인을 다른 세계로 데려가고, 술이 잠시동안 다른 세계로 이끌어가지만, 이것은 개인의 문제에 더 가깝다면 기후 위기는, 기후 재앙은 개인이 아니라 가이아라 불리는 지구 전체의 문제가 된다. 지구를 통째로 다른 지구로 만들어버린다.


이렇게 지구가 살기 힘들다고 몸서리치니 기후 재앙이 일어난다. 이것을 모르쇠하면 안 된다. 하여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당연히 해야겠지만, 사회가, 나라가, 전세계가 해야만 할 일을 하게 해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이 시에서 삼한사온이 사라진 것처럼, 우린 다른 지구에 살게 될지도 모른다. 아니, 살 지구가 없어질지도 모른다.


      삼한사온


살면서 실감나게 믿었던 / 말들의 교과서

살면서 입에 달고 다니던 / 말들의 신조

어렸을 적에는 삼한사온이라 / 자주 입에 담았는데…

사라진 옛날이 됐다.


강우식, 죽마고우. 리토피아. 2022년. 61쪽.


덧글


이 시집에는 83편의 시가 실렸다고 했다. 그런데 나는 아무리 세어 봐도 82편이다. 도대체 어디서 한 편 차이가 날까. 차례를 세어 봐도 82편인데, 작가의 말이 두 편이 있으니, 그것을 합치면 84편이고, 작가의 말을 빼고 여적을 넣으면 83편인데... 여적은 시가 아닌데.


아이들 같은 발상이지만 내 나이가 올해로 여든 셋이다. 시집에 실린 시도 83으로 여기에 맞췄다. (餘谪 112쪽.)

 

숫자를 잘못 세었나 쪽수로 계산해 보았다. 98쪽-15쪽=83쪽+1쪽이니 84쪽이고, 이 중 2부 제목이 2쪽이니 -2쪽을 하면 82쪽. 한 쪽당 시 한편이니, 82편이 맞다. 시인이 실수를 했는지, 출판사에서 한 편의 시를 뺐는지, 아니면 만 나이로 계산했는지 알 수가 없다. 아님, 내가 무엇에 홀렸나. 걔속 82편이니... 참.


둘째, 이 시는 특이하게 가나다 순으로 시를 배열했다. 그래서 제목을 알면 시를 찾기 쉽다. 가나다 순이 시 내용이 연결이 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이런 시집을 봤던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