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의 탄생
김민식 지음 / 브.레드(b.read)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다가 문득 이상국 시집이 생각났다. 시 내용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데, 시집 제목은 '집은 아직 따뜻하다'다. 그래, 집은 따뜻하다. 따뜻해야 한다. 그런데 시 내용이 이런 따뜻함이었던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제목 그대로 보자. 사람이 떠났어도 집은 따뜻하다. 사람들이 살았던 온기가 남아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집은 사람들의 온기로 채워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런 집을 지나치게 크게 지으면 온기를 느낄 수가 없다. 집이 아니라 사무실이나 다른 공간이라고 느끼게 된다. 집이 따뜻함을 유지하려면 적정한 크기가 되어야 한다. 이 책의 저자가 주장하는 집도 역시 크지 않다. 작은 집을 추구한다.


그렇다고 저자는 아주 작은 집을 추구하지는 않는다. 극한으로 몰아가는 작은 집. 그런 집은 수련을 위해서 또 잠시 머묾을 위해서 필요할지는 모르지만 사람이 살기에는 적절하지 않다고 한다. 집이 따뜻한 이유는 사람 몸을 지켜주기 때문이기도 한데, 몸을 지켜준다는 이야기는 마음이 편해지는 분위기와 자연환경으로부터 건강을 지켜준다는 의미도 지니고 있다.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집, 그런 집은 다른 사람들의 평가에 연연하지 않는다. 자신만의 기준이 있어야 한다. 남들과 같은 집이 아니라, 나를 편안하고 따뜻하게 해주는 집. 


저자 역시 이런 생각을 여러 군데서 비치고 있다. 남들이 좋다고 하는 건축보다 자신이 우연히 만난 시골 건축이 더 좋다고 하는 말들. 화려한 디테일보다는 꾸밈없는 소박함이 좋다고 하는 말들. 디테일에는 비용이 들어간다고.. 비용은 단순히 돈만을 의미하지 않고 수많은 사람들의 노동력과 시간까지도 의미하니... 그런 건축보다는 적은 비용이 들었지만 살기에 편안한, 사람을 보듬어 주는 건축이 더 좋다고 주장하고 있다.


건축 자재로는 나무만한 것이 없다고... 나무는 오래가지 않냐고 하는 질문에 부석사 무량수전보다도 오래간다고 말한다는 그. 작은 평수의 나무집을 지어 사람들에게 보급도 하고 있다는 저자는, 집에 관한 여러 생각을 이 책을 통해서 펼치고 있다.


길지 않는 글들이 모여 있고, 다양한 집들이, 또 저자 글에 이어서 작은 설명이 스케치와 더불어 함께 해서 좋은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렇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글은 바로 '한옥'에 관한 글이다. (한옥은 없다. 137쪽-149쪽을 참조하면 된다)


도대체 '한옥'이 무엇인가? 한옥하면 어떤 집이 떠오르는가? 먼저 한옥하면 기와집이 떠오른다. 북촌에 있는 한옥들, 또는 전주한옥마을, 남산한옥마을 등등을 떠올린다.대부분 기와집이다. 


한옥을 짓고 싶다고 하는 사람들 중에 초가집을 이야기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만큼 한옥은 특정한 형상으로 굳어져 있다. 그런데 과연 한옥이 무엇인가? 기와집만이 한옥인가? 아니라고 한다.


저자는 한옥이라는 말을 이렇게 뭉뚱그려서 말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우리나라 전통집들이 얼마나 다양하고 많은데, 굳이 한옥이라는 이름으로 단순화시켜야 하겠냐고 반문한다.


(이상하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하회마을과 양동마을은 한옥이라는 이름을 쓰지 않는다. 우리나라 전통집들이 잘 보존되어 있는 마을인데도 그냥 마을이다. 이 마을에는 기와집과 초가집이 함께 있기 때문인지... 이 이름을 보더라도 한옥으로 뭉뚱그려서는 안 되겠다. 저자의 말에 동의한다.)


그냥 기와집, 초가집, 귀틀집, 너와집 등등으로 그 집의 특성을 알려주는 이름으로 부르면 된다고 한다. 이를 통칭하는 말로 전통집이라고 하든지, 한옥이라고 하든지 하면 상관이 없지만, 지금은 한옥하면 특정한 집들만을 떠올리니, 저자의 지적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집은 다양한 재료로 지어진다. 예전에는 자신들이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집을 지었겠지만, 지금은 재료가 몇 가지로 통일되어 있다. 이것도 문제다. 환경에 맞는 집들이 지어져야 한다는 저자의 말에도 동의한다.


특히 나무로 집을 지으면 탄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나무는 탄소를 포함하고 있으니, 또 나무로 집을 지으면 집을 짓는 재료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일 수 있으니, 앞으로 환경을 생각한다면 나무집을 지어야 한다고 한다. 물론 자기가 사는 곳에서 나는 나무면 더 좋겠지만... 이렇게 집을 짓는 재료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하는 책이기도 하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이상국 시집 제목이 사라지지 않았다. '집은 아직 따뜻하다' 그렇다. 집은 따뜻하다. 우리는 그 따뜻한 집에서 살아가야 한다. 나를 압도하는 집이 아니라 나를 포근하게 감싸주는 집. 그런 집에서 살아야 한다.


이상국 시 '집은 아직 따뜻하다'를 다시 읽으니 이 책에서 느꼈던 감정이 다시 살아난다. 이 책에 실린 내용 중에 이 시와 비슷한 내용도 있었으니... 사람은 사라졌어도 집은 그 사람의 삶, 그 사람의 온기를 품고 있다는...


집은 아직 따뜻하다


흐르는 물이 무얼 알랴                                 

어성천이 큰 산 그림자 싣고

제 목소리 따라 양양 가는 길

부소치 다리 건너 함석집 기둥에

흰 문패 하나 눈물처럼 매달렸다


나무 이파리 같은 그리움을 덮고

입동 하늘의 별이 묵어갔을까

방구들마다 그림자처럼 희미하게

어둠을 입은 사람들 어른거리고

이 집 어른 세상 출입하던 갓이

비료포대 속에 들어 바람벽 높이 걸렸다


저 만리 물길 따라

해마다 연어들 돌아오는데

흐르는 물에 혼은 실어보내고 몸만 남아

사진액자 속 일가붙이들 데리고

아직 따뜻한 집


어느 시절엔들 슬픔이 없으랴만

늙은 가을볕 아래

오래 된 삶도 짚가리처럼 무너졌다

그래도 집은 문을 닫지 못하고

다리 건너오는 어둠을 바라보고 있다


이상국, 집은 아직 따뜻하다. 창작과비평사. 1998년. 초판. 64-65쪽.


이 시에 나오는 함석집이 이 책을 다시 불러왔다. 저자는 함석집에서는 '가난의 함의가 담겨 있다(102쪽)'고 했다. 가난의 함의. 그렇지만 그 집에서 오순도순 살아가던 사람들의 모습. 집에 담겨 있던 따뜻함. 그것이 사라졌다.


'한국전쟁 후 주로 실향민이 모여 살던 도심 주변, 산등성, 개천가의 함석집들. 이제는 영화 속 장면에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여기 나의 우직한 강원도 산골 마을에도 함석 지붕이 사라졌다. 함석집의 서정. 가난의 기억.(102쪽)'


책이 시를 부르고, 시가 다시 책을 불렀다. 집을 통해서 다양한 분야, 저자는 철학과 시를 집과 연결시키는데, 그 말이 맞다. 비록 이 글에서는 철학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삶이 바로 철학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