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제5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 루나 + 블랙박스와의 인터뷰 + 옛날 옛적 판교에서 + 책이 된 남자 + 신께서는 아이들 + 후루룩 쩝접 맛있는
서윤빈 외 지음 / 허블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과학문학상이라는 상이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됐다. 과학문학상이니, 작품들은 우리가 말하는 SF소설들이라고 할 수 있을텐데...


최근에 SF소설들이 많이 발표되었고, 수준도 매우 높아져서 읽는 재미를 주는 작품들이 많았다. 김초엽의 작품들이 그랬고, 그런 점에서 한국과학문학상이라는 표제를 달고 있는 이 작품집 역시 읽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최근 SF소설 경향을 알 수도 있지 않을까 하고, 또 이들은 어떻게 표현하고 있나 하는 호기심. 총 6편의 소설이 실려 있는데, 대상 한 편, 우수상 한 편, 가작 네 편이 실려 있다.


각 소설들이 저마다 특징을 지니고 있지만,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와 공간과 시간이 다를 뿐, 그리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대상을 받은 작품인 서윤빈이 쓴 '루나'는 제주도 해녀들의 삶을 우주 밖으로 끌어왔다고 보면 된다. 제주도라는 섬에서 물질만 하다가, 육지로 나가고 싶어하는 해녀도 있었을텐데... 그렇게 좀더 넓은 세상으로 가려고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우주 밖에서 광물을 채취하는 해녀들이라는 설정으로, 그리고 그 해녀들 중에서 지구에서 온 사람을 구해준 결과 지구로 함께 가자는 제안을 받는 과정이 전개되는데...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를 떠나 다른 세상으로 나아가고 싶어하는 사람들, 그렇게 선택되지 못했지만, 자신도 다른 세상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사람. 이것은 우리들이 지니고 있는 모습이다. 서윤빈은 그러한 우리들의 욕망을 우주 밖에서 광물을 채취하는 해녀들에 빗대어 표현하고 있다. 


김혜윤이 쓴 '블랙박스와의 인터뷰'는 김쿠만이 쓴 '옛날 옛적 판교에서는'과 김필산이 쓴 '책이 된 남자'와 통한다고 볼 수 있다.


사람이 죽어가면서 자신의 기억을 다른 존재에 남겨 생명을 연장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기억의 영속성이라는 면에서 사람들이 살아 있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생각하게 한다.


블랙박스에 자신의 기억을 이식한 사람, 라디오에 이식한 사람 등등이 나오지만, 그들은 영원하지 않다. 왜냐하면 기계 역시 수명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소설을 통해 사람들은 영생을 꿈꾸지만, 그것이 불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책이 된 남자' 역시 마찬가지다. 책으로 자신의 기억을, 지혜를 모두 남겨 영생하려고 하지만, 그것이 불가능함을, 불타 버리고 마는 책으로 표현하고 있으니, 우리의 기억만을 남긴다고 과연 그것이 영생일까?


소설 중에 '뇌'만 남겨 영생을 꿈꾸었던 사람 이야기를 읽은 기억이 있는데, 뇌만 남아 기억이 남아 있다고 해도 과연 그것을 살아 있다고 할 수 있는지 생각해 봐야 한다. 책이 된 남자 역시 마찬가지다. 또 블랙박스로 이식된 자아 역시 살아 있다고 할 수 있을까? 그렇다면 '옛날 옛적 판교에서는'에서처럼 프로그램이 살아 있는 것처럼 등장하는, 소위 인공지능 시대에 그런 인공지능들을 살아 있다고 할 수 있는지도 생각해 봐야 한다. 


세 작품은 다른 내용을 담고 있지만, 사람과 인공지능, 또 영생이라는 면에서 생각할거리를 제공해주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성수나가 쓴 '신께서는 아이들을'은 좀 다른 결을 지닌 소설인데, 이 소설을 '윤회'의 관점에서 읽을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죽고 태어남. 그런데 소설에서 다루는 죽은 존재들이 아이들이다. 이 세상에서 불의의 사고로 죽어가는 아이들이 얼마나 많은지, 그들의 문제를 소설이 다루고 있다고 봐도 된다.


그런 아이들의 죽음이 반복되지 않는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 여기에 인간들의 먹고자 하는 욕망을 환상적으로 표현한 이 멍이 쓴 '후루룩 쩝쩝 맛있는'이라는 소설은 발상이 독특하다. 마치 김동식 소설을 읽는 듯한 느낌을 준다.


인간의 혈관을 요리로 하는 외계인이라? 3등급 행성이 된 지구이기에 인간의 요리가 불법인 우주. 그러나 현지에서 공급하면 불법이 아닌, 그러한 법률의 구멍을 찾아 자신들의 음식을 지켜내는 외계인들.


먹고 먹어서 혈관에 쌓인 노폐물들, 그것이 맛있는 요리의 비결이 되니, 그렇게 외계인에게 자신들의 혈관을 제공하고, 인공 혈관을 달고 나온 인간들이 음식을 생각하면서 침을 흘리게 되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는 소설.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공장식 축산을 비판한다고 할 수도 있고, 자신들의 식욕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무분별하게 먹어대는 인간들의 모습을 비판한다고도 할 수 있는 소설.


이렇게 이번 수상집에 실린 소설들은 시간이나 장소가 환상적이기는 하지만, 우리의 현실을 생각하게 하고 있다. 


그것이  SF소설들이 지닌 매력이기도 하겠지만, 발상의 독특함도 내용의 흥미진진함도 갖추고 있는 작품들이 많아서 다음 수상작도 기대하게 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