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들은 자꾸 같은 질문을 받는다
리베카 솔닛 지음, 김명남 옮김 / 창비 / 201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베카 솔닛의 책을 몇 권 읽었다. 읽을 때마다 실망하지 않는다. 어쩌면 내가 생각하지 못했던 점들을 일깨워주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페미니즘 책으로 분류할 수 있겠지만, 페미니즘이 한 범주로만 정의될 수 없듯이 솔닛의 책도 그렇다.


여성의 권리를 주장하는 책이라고 하지만, 여성의 권리를 주장한다는 말은, 사람이 지녀야 할 권리를 주장한다로 받아들여야 한다. 왜냐하면 솔닛이 무지권(privelobliviousness)이라는 단어를 만들어 보았듯이 (특권을 뜻하는 'privilege'와 무지 혹은 무심함을 뜻하는 'obliviousness'를 합한 말이라고 한다.특권 있는 사람, 재현되는 사람이 된다는 것은 곧 의식할 필요가 없는 사람, 실제로 자주 의식하지 않는 사람이 되는 것과 같다는 걸 표현하기 위해서다. 241-242쪽) 이미 권리가 있는 쪽은 권리에 대해서 주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결국 주장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침묵을 강요당할 수밖에 없고, 이 침묵을 깨는 말하기가 주장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이 책 처음에 실린 글이 '침묵의 짧은 역사'인데, 얼마나 많은 침묵들이 강요되어 왔는지 이 글을 읽으면 알 수 있게 된다.


말을 할 수 있다는 것, 그것도 눈치보지 않고 할 수 있다는 것은 권리가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반대로 어떤 이야기를 했는데 반대하는, 또는 비아냥거리는 말들이 난무하는 모습은 말할 권리를 제대로 인정하지 않았다는 표시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이 고난을 겪고도 말을 할 수 없는 상황. 그 상황을 알면서도 침묵을 지키는 사람들.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당당하게 말을 하는 사람에게 자꾸 같은(비슷한) 질문을 한다. 이것은 아직 권리를 인정하지 않겠단 태도다. 발언을 인정하지 않고 발언이 잘못되었음을 지적하기 위해 하는 질문들이다. 계속 같은 질문을 던지는 일은...


지금은 많이 나아졌다고 하지만, 피해자들에게 같은 질문을 던지는 경우가 많다. 같은 질문이 계속될 때 피해자는 침묵할 수밖에 없다. 왜냐, 자신의 말을 듣지 않으니까. 자신을 믿어주지 않으니까. 결국 같은 질문은 침묵의 강요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 책 처음이 '침묵의 짧은 역사'로 시작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하겠다. 그렇지만 '짧은' 역사가 아니라 '긴' 역사일텐데, 솔닛이 짧은 역사라고 한 이유는, 이제는 과거로 돌아가야 할 역사이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세상이 변했고, 침묵에서 발언으로 바뀌고 있기 때문에... 이 책은 아주 오래 전에 나온 영화 '자이언트'로 끝맺는다.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볼 때마다 영화에서 느끼는 점이 달라졌음을 이야기하면서, 솔닛은 영화 '자이언트'를 '거대한 여자'라는 제목으로 바꿔서 이야기하고 있다.


세상이 한 번에 변하지는 않겠지만 그럼에도 변할 수 있음을 이 영화를, 이 영화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사람은 어느 한 쪽으로만 규정해서도 안 됨을. 어느 범주에 사람을 가둬놓고, 그 범주 안에서만 판단해서는 안 됨을. 영화를 보면서 솔닛은 같은 영화임에도 볼 때마다 관심을 두는 주안점이 달라졌다고 한다. 그만큼 영화에는 많은 요소가 담겨 있는 셈이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엄청난 다양함이 사람들에게는 있다. 남성이라고 여성이라고 또는 백인이라고 흑인이라고 딱 규정지을 수 없다. 범주를 무시할 수는 없지만 범주 속에서도 개별성을 인정해야 한다.


범주 속에서도 개별성을 인정받아왔던 존재들은 기존에 권력을 지고 있었던 권리를 충분히 누리고 있던 존재였다. 그리고 약자들은 범주 속에서 녹아들어버렸지, 개별성을 인정받지는 못했었다.


그러니 이제는 모든 존재들이 범주 속에서도 개별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관계를 맺어야 한다. 솔닛은 그 점을 이야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범주 속에서 개별성을 인정한다면 같은 질문을 자꾸 할 필요가 없을테니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스 2022-08-19 09:0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권리가 있는 쪽에서는 권리를 주장할 필요가 없죠. 약자가 불편함과 권리를 주장해서 스스로 쟁취해야할 것이 많은 사회는 건강하지 못한 사회죠. 솔닛을 페미니스트의 범주에 넣기에는 그가 문제삼는 범주가 그보다 넓고 확장성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kinye91 2022-08-19 10:35   좋아요 2 | URL
맞아요, 어느 한 분야로 규정짓기보다는 사람이 살아가면서 누려야 할 권리 전반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단 생각이 들어요. 약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그들이 같은 질문을 많이 받지 않는 사회가 되었으면 좋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