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짠하다. 청소년들에 관한 시인데, 여유로운 삶을 사는 청소년들이 아니라 힘들게 사는 청소년들이 대상이다.


  가족과 함께 살지만, 가족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사는 청소년, 가난해서 일을 할 수밖에 없는 청소년, 부모가 집을 나가 할머니 할아버지와 사는 청소년 등등.


  힘들게 하루하루를 사는 청소년들이 이 시집에 나온다. 어떨 때는 그런 모습이 짠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청소년들은 굴하지 않는다.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최선을 다한다.


'진짜 아빠'란 시를 보면 정상가족이라는 말이 얼마나 허구인지 알 수 있다. 가족의 의미를 생각하게 하고, '나는 친아빠가 아닌 / 새아빠를 선택했다'('진짜 아빠' 중에서 51쪽)고 주체적인 모습을 지닌 청소년들도 시에 등장한다.


바로 이런 청소년들이 그러면 어때? 난 당당해. 그래서 보란 듯이 걷는다. 그런 청소년들이 웃으며 살 수 있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할까? 우리나라, 이제는 우주선도 우리 기술로 쏘아올릴 수 있는 나라인데, 돈이 없어서 밥을 굶거나 공부를 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른 청소년들이 있다면, 그것은 문제 아닐까?


우리는 시간이 없는 것이 아니라 의지가 없는 것 아닐까?


적어도 '20세기 가장 위대한 / 발명품 중 하나라는 생리대 / 친구들한테 빌리는 것도 하루 이틀 / 보건 샘한테 달래기도 하루 이틀 / 그걸 언제쯤 맘 놓고 써 보나'('그날' 중에서 14쪽)하는 아이가 없는 사회, '다섯 평도 안 되는 원룸 / 넷이서 부대껴도 / 외롭지 않아 좋았다'('패밀리' 중에서 28쪽)고 말하는 아이가 나오지 않는 사회가 되어야 하지 않나.


이렇게 이 시집에는 가족이 해체되어 힘들게 지내는 청소년들 이야기가 많다. 그럼에도 새로운 가족을 찾아 지내는 씩씩한 청소년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그런 현실은 시인은 피해가지 않는다. 시인은 우리 사회에 아직도 그런 청소년들이 많다는 사실을 시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우리가 해결해야 할 일들이 여기에 있음을.


'알바 후유증'이란 시를 읽는다. 찰리 채플린이 만든 영화 '모던 타임즈'에 나오는 인물을 떠오르게 하는 시인데... 



알바 후유증


알바 없는 날

너를 만나 식당에 간다

너와 담소 나눌 때

식탁 벨이 울린다

네, 가요

나도 모르게 잽싸게 일어나

달려가려 한다

식당에서 알바하며

배어 버린 습관

일터 아닌 곳에서도

불쑥불쑥 튀어나온다

머리를 긁적이는 내 앞에서

씁쓸하게 웃는 너


모처럼의 데이트

근사하게 마무리하고 싶어

식당을 나와 카페에 간다

너와 눈싸움하고

같은 음악을 듣고

맑은 유리문으로

같은 곳을 바라보는 즐거움

네 가느다란 새끼손가락에

내 새끼손가락을 걸고

처음으로 약속이라는 걸 하려는데

카페로 들어서는 손님들

어서 오세요

발딱 일어서는 너를

가만히 당겨 앉힌다

얼굴 빨개진 너를


김애란, 보란 듯이 걸었다. 창비교육. 2020년 초판 3쇄. 88-89쪽.



더 무슨 말이 필요하랴. 이 시에 가난한 청소년들이 겪는 애환이 모두 들어있는데... 이들이 신경림이 쓴 시 '가난한 사랑 노래'에서 말한 '가난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 이 모든 것들을 버려야 한다는 것을'(85쪽에서 재인용)처럼 되지 않도록 하는 사회, 그것이 바로 우리가 추구하는 사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