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장이 쓴 글 제목이 '질문'이다. 질문? 좋은 말이다. 질문이 있어야 한다. 이번 호 표지 인물은 배우 김지원이다. 김지원과 인터뷰한 내용을 읽으면서 '질문'에 대해 생각했다. 


  무엇보다 좋았던 점은 김지원 배우가 빅이슈에 먼저 연락해서 표지 인물 사진을 찍었다는 점. '질문'이라는 주제와 잘 어울린다는 생각을 했다.


  배우는 질문하는 사람이라고...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에 대해서 끊임없이 질문하고, 대답을 찾아 그 인물을 연기해야 하는 사람.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만 질문해서는 안 된다. 다른 사람의 역할에 대해서도 질문해야 한다. 연기가 어느 방향으로 가야할지, 또 다른 사람들과는 어떻게 호흡을 맞추어야 할지 질문하고, 연기해야 한다. 그래야만 좋은 연기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연기자만이 아니다. 사람들은 살아가면서 질문을 해야 한다. 질문을 할 수 있으려면 주의 깊게 살펴여 한다. 자기 관점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질문할 수 있다.


가령 이번 호에 실린 대학에 가기를 거부한 사람의 글...그는 인터뷰한 글(한연화 씨의 대학 거부 그 후라는 작은 제목을 달고 있는 '여정은 시작됐다'는 글)에서 자신이 살고자 하는 삶은 굳이 대학을 나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지는 않지만 "대학 거부를 고민하는 분들에게 해주실 수 있는 말이 있을까요?"라는 질문에 "일단 첫째, 웬만하면 하지 마세요.(웃음)"(57쪽)이라고 말한다. 이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여도 좋지만, 이 말 속에는 우리 사회의 대학, 대학 하는 행태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다.


내게 대학이 꼭 필요한가? 이런 질문을 하지 않고 부모가 가라고 하니까, 또 남들이 다 가니까, 그냥 가야 할 것 같아서 등등의 이유로 대학 진학을 한다면 이는 질문이 없는 삶이다.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지 못하고, 시류에 휩싸여 살아갈 수밖에 없다. 


그러니 웬만하면 대학 거부하지 말라는 말은 질문을 먼저 하라는 말로 들어야 한다. 대학은 내게 무슨 의미인가? 대학을 가지 않고 받을 수 있는 사회적 편견에 대해서 나는 버티거나 이겨낼 수 있는가 하는 질문들... 더 많은 질문들... 그 뒤에 결정하고 행동하라는 말이 '웬만하면'이란 말에 담겨 있다는 생각이 든다.


이런 질문을 이번 호에서 몇 가지 더 찾아보면, 장애인들이 자활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를 질문해야 하고, (강남역 김영덕 빅판의 인터뷰 글, 영화 속에 산다와 발달장애 여성들의 일자리를 만드는 프란치스꼬 빵집을 소개한 글인 빵으로 연결되는 곳을 읽으면 된다), 사회 속에서 길을 잃지 않고 자신을 지키면서 살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하는 질문(진냥이 쓴 투자 교육이 아니라 경제 시민 교육을!이라는 글과 오후가 쓴 '가짜' 뉴스가 아닌 가짜 '뉴스'를 읽으면 좋다)도 해야 한다.


어쩌면 질문하는 법을 잊고 또 잃고 살았는지도 모른다. 그냥 주어진 대로만 살고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한다.


배우가 연기를 할 때 질문을 하듯이,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 역시 사회 속 배우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사회라는 무대에 서서 살아가는 자신의 역할에 대해서 질문을 해야 한다. 그리고 어떤 무대에 서고 싶은지도 질문을 해야 하고.


빅이슈는 그러한 질문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질문을 하게 하는 잡지 빅이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