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이 마음에 들었다. 가차 없다는 말과 촉법소녀란 말. 결국 기존의 틀에서 벗어난 사람이라는 뜻이고, 가차 없다는 말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서 후회하지 않는다는 말이니...


  당당하게 살아간다기보다는, 자신을 옥죄고 있는 기존 굴레를 과감히 벗어던지고 살아가려고 몸부림치는 소녀의 모습이 떠올랐다. 두렵지만 그 두려움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모습.


  어른의 세계로 들어가려고 하지만, 어른의 세계에 짓눌려 있는 모습. 결국 자신의 존재를 어른들로부터 인정받아야 한다는 두려움 소게서 살아가던 존재.


  그 존재가 어느 날, 이제는 어른의 세계를 의식하고, 그들의 세계로 들어가려고 하는 자신을 벗어나,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어가기 시작한다. 


그런 모습이 기존 틀에서 벗어난다고 여겨지고, 결국 법을 어긴 소녀라는 뜻을 지닌 촉법소녀라는 말을 듣게 된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이미 만들어진 틀 속에만 살아갈 수 있을까? 법이라는 잣대가 아니더라도, 어른의 세계에 그대로 편입되는 것이 아니라 소년(소녀)들은 자신들의 세계를 만들어가야 하지 않겠는가.


  가차 없는 나의 촉법소녀


장 선생과 마찬가지로

나 역시 그런 글쓰기를 원했다

게다가 난 이미 도처에서 독자와 만나고 있었다

어머니 없이도 어머니를 믿고 자라는 아이처럼

그래서 아이는 어머니에게

앙심을 품게 되는 것이지만

어머니가 없는 곳에서도

어머니가 생겨나는 게 싫어서

언제 어디서나

어머니를 극복한 듯 보여지고 싶어서

시시각각 속에 들어찬

어머니와 어머니와 어머니들

나만 이런 마법에 걸렸다고 생각하지 않을 거야

그렇지 않으면 이 세계 전체가

나의 적이 되어야 하니까

환청을 들으며 여기까지 걸어오신 

선생께서는 아시겠지

환청도 없이 버텨야 하는 이 세계는

얼마나 큰 공포인지

천지에 집을 만들어놓고

어머니는 코빼기도 안 보이고

차라리 매질을 당할 때가 좋았어요

내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을 때는

손가락을 넣고 토해서라도

목구멍이 거기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

피멍이 좀 들면 어때 그것이 평평한 

내 등을 사실로 만들어줄 수만 있다면

난 이 등허리를 마음껏 펼치거나

쪼그릴 수 있을 텐데

어머니는 누구 마음대로 늙고 쇠약해지셨나

첫 울음을 배운 것이 엊그제 같은데

손수 가르쳐주실 게 죽음밖에 남지 않았다니

용서하지 마세요

단 한 번에 실수 없이 졸라드릴게요

수십 번 수천 번도 더

태양을 상대로 연습한 일이었어요

작교 가녀린 시간의 통로와

예기치 못한 끝에 대해

공손하고 끊어짐 없는 손길로 한 번 정도는

나도 가르쳐드리고 싶었어요 한 번 정도는

나도 어머니의 어머니가 되어보고 싶었어요


황성희, 가차 없는 나의 촉법소녀. 현대문학. 2020년. 60-62쪽. 


'가차 없는 나의 촉법소녀'를 읽으며 뒷부분에서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라'는 불교의 말도 떠올랐다. 이미 있던 세계를 넘어서지 못하면 더 나아가지 못한다. 자신의 삶을 살지 못한다. 그럴 때는 자신을 확인하기 위해 자해를 하기도 한다.


나란 존재가 현실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느끼기 위해서 자신의 몸에 상처를 낸다. 상처를 낸 순간, 느껴지는 통증, 고통은 자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그렇게 상처를 내다가 자신이 아닌 자신보다 앞선 세대를 바라보게 된다.


내가 지닌 두려움이 바로 그들에게서 비롯되었음을... 끊어야 한다. 보이지 않아도 도처에서 그들을 의식하고 살아왔다. 이제는 그러면 안 된다. 어머니의 어머니. 그래, 한 번쯤은 그렇게 되어야 한다.


이것이 꼭 가정에서의 일만은 아니다. 사회도 이래야 한다. 청년들은 기성세대를 딛고 나아가야 한다. 기성세대들은 자신들의 틀로 청년들을 틀지우려 하지만, 청년들은 그 틀에 갇히려고 하지 않아야 한다. 


어느 순간 어른들을 가르칠 수 있는, 그런 모습... 이 시를 읽으며 그런 모습을 상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