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숨
테드 창 지음, 김상훈 옮김 / 엘리 / 2019년 5월
평점 :
아주 오래 전에 읽은 소설. 테드 창이 쓴 [당신 인생의 이야기]
무언가 독특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단편집이어서 흐릿한 윤곽으로만 남아 있는 소설들이었다. 언젠가 다시 읽어야지 하는 생각은 하고 있었지만, 이번에 나온 테드 창의 [숨]을 읽으면서도 예전과 비슷한 감정을 느꼈으니... 그때 느꼈던 감정들보다는 좀더 명확해졌다고 해야 하나.
몇몇 소설들은 마음을 울리기도 했다. 그래, 이런 소설이 바로 상상 속에서 현실을 느끼게 하는 소설이지. 소설은 어차피 상상의 산물인데, 그냥 상상의 세계에만 머물지 않고 상상의 세계 속에서 현실 세계를 불러오는 역할을 하지라는 생각을 하게 했다.
이 소설집 첫번째 실린 소설, '상인과 연금술사의 문'은 타임머신을 연상하게 하는 소설인데, 타임머신 하면 기계를 생각하지만, 이 소설에서 과거와 미래를 오가게 하는 대상은 문이다. 문은 물질적으로는 이쪽과 저쪽을 나누는 경계이기도 하지만 이쪽과 저쪽을 연결시켜주는 대상이기도 하다.
과거와 미래를 오가는데 기계보다는 문이 더 현실적으로 다가오는데, 이는 다른 많은 작품들에서도 다루고 있는 문제다. 전세계적인 열풍을 일으켰던 [해리포터] 시리즈에서도 기둥에 있는 보이지 않는 문으로 호크와트로 가는 열차 플랫폼으로 가지 않던가.
하지만 이 소설에서 중요한 요소는 문이 아니다. 과거와 미래로 여행을 한다? 이 얘기와 과거와 미래를 바꿀 수 있다가 연결이 되면?
이런 '연금술사의 문'은 역사를, 삶을 바꿀 수 있다. 과연 그럴 수 있을까? 과거의 나를 바꾸면 현재의 나는 존재할 수 있을까? 미래의 나를 바꾸면 현재의 나는 어떻게 될까? 쉽지 않은 문제다.
이 소설에서는 운명을 바꿀 수는 없다. 운명은 시간의 문으로 아무리 들락거려도 바뀌지 않는다. 자신이 문으로 들어가 운명을 바꾸려고 행동을 해도 결과는 같다. 그렇게 되어 있는 자신을 만날 수 있을 뿐이다.
그래서 이 소설은 같은 지점으로 돌아온다. 비록 결말에서 상인은 자신의 자리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지만, 운명이 바뀌지 않는 소설 과정을 보면 그는 다시 제 자리로 돌아간다. 그리고 자신이 본 운명대로 살아가게 된다. 어떤 과정을 거치든.
이 소설과 더불어 소설집 마지막에 실린 '불안은 자유의 현기증'이 연결된다. 운명은 우연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우연들이 필연을 구성한다는 사실.
'그렇게 되었다'는 결론이 변하지 않는다는 사실. 다만, 그렇게 되는 계기는 다양하고, 거기에 관여하는 존재들도, 상황들도 다양하다는 점을 이 소설이 잘 보여주고 있다. 이상하게 자유의지가 개입할 여지가 없는 소설들이라는 생각이 드는데...
중간중간에 변하지 않는 운명을 만들어가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바로 '자유의지'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즉, 자기 삶에 책임을 지는 사람은 자신일 수밖에 없으며, 그것을 남에게 전가하는 일은 어리석은 자기기만에 불과함을 '불안은 자유의 현기증'이란 소설을 통해서 알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소설에서는 평행우주와 같은 과학적 상상력이 도처에서 나오고 있다. 최첨단 기술들과 수많은 평행우주에서 살아가는 나'들'이 나온다.
그럼 이런 나'들'은 같은 삶을 살까? 아니다. '나'라고 해서 모두 '나'와 똑같지 않다. 나'들'은 '나'가 나름대로 살아가는 존재일 뿐이다. 모두 다른 삶을 산다. 어떤 계기로? 수많은 계기들이 있다. 그러니 똑같이 행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나'는 그 많은 나'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일무이한 '나'로 존재해야 한다. 그러니 불안할 수밖에 없다. 이 불안이 바로 자유다. 불안은 '나'로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이 자기의지로 결정해야 하는 데서 나온다.
결말이 정해져 있는 듯하지만, 결정론으로 자유의지는 전혀 없는 듯 여겨지지만, 이 소설을 읽다보면 자유의지가 결국 그런 삶으로 자신을 이끌어가고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게 된다.
이 소설집 마지막에 실린 '불안은 자유의 현기증'에서는 특히 더...
여기에 '소프트웨어 객체의 생애 주기'는 조금 긴 소설인데, 여러모로 생각할거리를 주고 있다. 역시 가상세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사람과 사람 간의 관계, 사람과 동물과의 관계, 사람과 식물, 또 사람과 기계와의 관계 모두에 적용될 수 있는 소설이다.
함께 지냄에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정성이 필요한지를 생각하게 하는 소설이기도 하다. 이런 소설들과 더불어 짧은 소설을 통해서도 테드 창의 상상 세계를 만날 수 있다.
그 상상세계들이 상상 속에만 머물지 않고 우리 현실로 오고 있음을 이 소설집은 너무도 잘 보여주고 있다. 상상을 현실로!와 더불어 상상 속을 노닐면서 현실의 내 삶을 생각하게 하는 소설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