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사 안은영 오늘의 젊은 작가 9
정세랑 지음 / 민음사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귀신이야기가 많은 곳은? 이런 질문을 하면 '학교'라는 답도 꽤 많이 나온다. 온갖 괴담들이 유포되는 곳이 바로 학교이기도 하다. 


하다못해 예전 학교들은 대부분 하나 이상의 괴담들을 지니고 있었는데, 학교를 세울 때 용꼬리를 잘라서 행사만 하려고 하면 비가 온다는 둥, 공동묘지에 학교를 세워 귀신들이 나온다는 둥, 화장실에는 귀신이 살고 있어서 빨간 휴지 줄까, 파란 휴지 줄까를 물어본다는 둥, 졸업을 하지 못한 귀신이 학교에 계속 다닌다는 둥... 참으로 많은 귀신이야기들이 학교에서 흘러나온다.


그렇다고 실체가 밝혀지지는 않는다. 아니 귀신이라는 존재 자체가 실체를 밝힐 수 없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렇기 때문에 귀신이야기는 끝나지 않고 계속되는지도 모른다. 실체가 밝혀지지 않으면 실체가 밝혀질 때까지는 이야기를 계속 만들어낼 수 있으므로.


영화로 만들어지는 괴담들은 살벌하다. 공포를 불러일으킨다. 그래서 우리들에게 섬뜩한 느낌을 주고, 그만큼 학교라는 공간이 학생들에게 섬뜩하고 공포스러운 공간이라는 점을 생각하게 해준다. 하지만 학교라는 공간을 귀신이야기의 소재로 삼아도 학교는 계속 존재한다. 왜 그럴까?


이렇게 견딜 수 없는 학교라고 하는 데도 학교는 사라지지 않고 계속 존재할까? 어쩌면 학교라는 공간은 살벌한 공간이기도 하지만 사랑이 넘치는, 과거와 현재의 고통을 넘어서서 미래의 희망을 만들어가는 곳이기 때문 아닐까.


각종 괴담에도 불구하고 학교는 더 많은 희망이 있는 곳, 정세랑이 쓴 [보건교사 안은영]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귀신의 실체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말고, 학교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일들, 그들이 겪는 어려움들을 이 소설에서 만날 수 있다. 소소한 연애이야기부터 사고를 일으키는 학생들까지, 여기에 교사들이 겪는 일들까지 소설이 다루고 있는데...


다른 영적 존재(이를 귀신이라 지칭하자)를 볼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안은영, 학교에 보건교사로 근무하면서 학생들 사이에 떠돌아 다니는 에로에로 에너지가 변한 귀신들을 보기도 하고, 다른 귀신들을 만나기도 한다.


그것들을 물리치는 일이 안은영이 하는 일. 그래서 안은영은 엉뚱하지만 아이들이 잘 지낼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이 되는 존재다.


저마다 지고 있는 어려움들이 있는데, 이 어려움을 볼 수 있는 존재가 있다면? 그것에서 위안을 삼을 수 있다. 말하지 않아도 그 존재는 알게모르게 내 어려움을 다독거려 준다. 그것만으로도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안은영은 어려움에 처한 학생들, 또 사람들에게 나서지 않고도 위안을 주는 존재가 된다. 그런 과정을 아주 유쾌하게 펼치고 있다. 장편소설이라고 하지만, 각 장들이 독립적인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읽다보면 하나하나가 연결되기도 하지만, 그 자체로 독립적으로 존재하기도 한다. 그래서 어느 쪽부터 읽어도 좋지만,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려면 처음부터 순서대로 읽는 편이 좋겠다. 물론 중간에 있는 소설들은 순서를 바꿔도 별 문제가 없다. 


마지막 부분에 실린 소설이 이 소설을 결말짓고, 다른 사람의 고통을 해소해주는 역할을 하는 안은영이 자신의 어려움도 해결하게 된다는 행복한 결말이라서 소설을 덮을 때 따스함을 느낄 수 있다.


다른 사람을 위해서 자신을 희생하는 사람들에게서 숭고함을 느끼고, 그들의 삶에서 비장미를 느끼지만, 그렇게 살기는 힘들다고, 그것은 소수만이 가능한 일이라고 여기게 하는 글들이 많은데, 이 소설은 그렇지 않다.


비장미를 걷어내고 발랄, 유쾌, 상쾌함으로 점철되어 있다. 그래서 읽으면서 즐겁다. 귀신이 나오는데, 하나도 무섭지 않고 오히려 웃음을 자아내게 된다.


하지만 그 웃음 속에서 귀신들이 지닌 비극성을 만나게도 된다. 비록 무겁게는 아니지만, 우리가 피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소설 속에서도 귀신들은 무언가가 남아 있기에 안은영의 눈에 보인다. 그들은 아직 소멸되지 않았다.


즉 기가 흩어지지 않았다. 무언가 더 해야할 일이 있다는 것. 그것을 보고 해결해주는 역할도 안은영은 한다. 물론 그냥 귀신을 등장시켜 살아온 이야기를 들려주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소설은 유쾌하다. 귀신이라고 무겁지 않다. 또 해결이 된다. 그래서 더 유쾌하다. 이런 일들을 삶에 적용해 보자.


보이지 않는 곳에서 우리를 위해서 무언가를 하고 있는 사람들, 내가 말하지 않아도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 알고 보듬어주는 사람들, 그냥 곁에 있어주기만 해도 마음이 편해지게 하는 사람들, 그런 사람이 우리 주변에 있음을 알게 해주는 소설이다.


우리는 홀로가 아님을, 내가 모르는 사이에도 나를 위해서 무언가를 해주는 보건교사 안은영 같은 사람이 있음을, 이 소설은 생각하게 한다.


그래, 그런 사람들은 분명 있다. 또 나도 그런 사람이 되어야 한다. 누군가에게 알게모르게 도움이 되는 사람. 그 사람이 편하게 기댈 수 있는 존재.


처음으로 돌아가 보면, 학교는 여전히 귀신이야기가 성행하는 공간이다. 그럼에도 학교는 희망을 이야기하는, 따스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우리가 여전히 학교에 대한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학교에 보건교사 안은영처럼 묵묵히 자신의 일을 하면서, 또 어려움에 처해 있는 학생들을 보듬으려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도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