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걸이에 걸린 양'이란 제목이 눈에 들어온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양의 털로 옷을 만드니, 옷걸이에 걸린 양은 옷걸이에 걸린 옷이라고 할 수 있다. 동어반복이다. 옷걸이에 걸린 옷이라고 하면. 옷걸이란 말 자체에 이미 옷이 들어있기 때문에 그렇게 이야기할 필요가 없다. 그렇다면 옷보다는 양이 더 좋겠고, 양털은 식물성보다는 동물성을 의미하니, 이때 양을 양털로 만든 옷이 아니라 바로 그 옷을 입고 생활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확장할 수 있겠다.
그렇다면 옷걸이에 걸렸다는 말은 사람들이 자유롭게 행동한다고 하지만 제약을 받고 있음을 말하고, 아무리 벗어나려 해도 결국은 옷걸이에 걸릴 수밖에 없는 삶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옷걸이는 옷장 속에 있으니,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옷장이라고 할 수 있고, 우리는 옷장을 벗어났다고 생각하겠지만 결국 옷장 속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는 삶을 살고 있다고...
현대문명에서 우리는 자유롭게 산다고 착각한다. 우리가 주체가 되어 사고 쓰고 버린다고 여긴다. 그런데 과연 그럴까? 우리가 그렇게 행동하는 것도 현대문명의 한 부분이 아닐까? 현대문명이 그렇게 할 수밖에 만들고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된다. 이 시들을 보면. 시들이라고 한 이유는 특이하게도 [옷걸이에 걸린 양]이라는 시집에 같은 제목의 시가 7편이 실려 있기 때문이다.
같은 제목의 시를 계속 반복한다. 우리네 삶도 마찬가지다. 마치 지하철 2호선의 순환선처럼 돌고돌고 하는 삶일 뿐이다. 옷걸이에서 벗어났다고 해도 다시 옷걸이로 돌아올 수밖에 없는 삶. 시인은 이렇게 내용을 통해서도, 또 형식을 통해서도 현대문명의 삶은 결국 옷걸이에 걸린 삶에 불과하다고 말하고 있다.
이런 삶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우리가 지구라는 행성에서 벗어나 살 수 없듯이 결국 시작과 끝이 있는 삶인데, 벗어나지 못하더라도 그 틀 속에서 다른 삶을 찾을 수는 있지 않을까? 다른 삶을 찾아야 한다는 이야기는 시 속에서 찾기 힘들지만, 이런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니, 거기서 한 발 더 나아가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시를 읽으며 틀 속에 갇힌 삶이긴 하지만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음을 생각하게 된다.
두더지 앞니
앞니의 성장이 멈춘 두더지가 내가 다니던 초등학교 산언덕 아래 살았다 마을의 지하 생활자들은 모두 부러워했다 무료하게 지하 셋방에서 평생을 살아야 할 이유도, 달빛도 없는 밤 족제비를 피해 바위 아래에서 한없이 자라나는 이빨을 갈아 없애야 할 필요도 없기 때문이었다 그 두더지는 어느 밝은 대낮 지상으로 나왔다가 눈멀어 잡혔고 장독대의 빈 작은 항아리에서 살다 죽었다 나는 지하의 집과 지상의 집과 항아리의 집에 대한 가치 판단을 보류하기로 했다 다만 두더지의 앞니가 계속 성장하기만을 기대했을 뿐이었다.
주창윤, 옷걸이에 걸린 양, 문학과지성사. 1998년. 82쪽
이 시에서 '다만 두더지의 앞니가 계속 성장하기만을 기대했을 뿐'이라는 말... 이는 옷장에 갇혀 있는 삶, 항아리 속에 갇혀 있는 삶일지라도 그것을 벗어날 수 있는 자신만의 의지를 버려서는 안 된다 말로 읽을 수 있다.
그러므로 시인은 현대문명에 갇힌 삶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찾아야 한다는 희망으로 시집을 맺고 있다.
한편 한편의 시들이 현대문명 속에 갇혀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럼에도 우리 인간은 자율성을 지닌 존재, 더 나은 삶을 추구하는 존재임을 잊지 않도록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