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아이들에게 넌 커서 뭐가 될래?라는 질문을 한다. 학교에 진로 교육이 들어오기도 했다. 어린 시절부터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공부하고, 고민하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 질문해 보라는 취지겠다.


  하지만 아이들은 이런 질문에 답할 시간이 없다. 오로지 시험을 향해 달리고 있을 뿐. 왜 자신이 공부를 해야 하는지 묻지도 않는다. 그냥 하라고 하니까 할 뿐. 대다수의 아이들은 그렇다.


  학교에서 시달리고, 학원에서 시달리고, 엄청나게 많은 숙제 속에서 도무지 질문을 할 시간을 마련하지 못한다. 질문은 얽매임에서 벗어났을 때 나오는데, 아이들을 옭아매고 있으면서 왜 너희들은 질문을 하지 않느냐고 타박한다. 질문을 할 시간 여유를 주지도 않으면서.


그러니 아이들을 좀 여유롭게 놓아주자. 정말로 심심해서 다른 여러 가지를 찾아볼 수 있게. 그렇게. 청소년 시집을 읽으며 그런 생각을 한다. 아이들에게 우리는 시간을 주고 있는가? 그래서 아이들이 질문할 시간을 갖게 하는가? 질문이 있어야 답을 찾을텐데... 시험지에서 찾는 답이 아니라 자신의 삶에서 답을 찾는, 아니 답을 만들어가는 그런 생활을 하게 해야 하는데...


한상권이 쓴 청소년시집을 읽다가 이 시를 읽고는 여러 생각이 들었다. 우리가 아이들에게 너무 단일한 길만을 보여주고 있지는 않았는지...


『무소유』를 읽는 시간


『무소유』를 읽다가

종이 치자 너는

복도로 따라 나왔다.

저는 그분처럼 살기 싫어요.

급할 땐 버스에서 내려

택시라도 타야 하는 거잖아요.

물론 그렇지.

다리를 다쳐 병원 가려는데

택시비 아끼려 걸어갈 순 없잖아요.

당연하지.

하지만 어떤 날은

주변을 돌아보며 손 내밀며

천천히 걸어가는 것도 중요하잖아.

언제는 앞만 보고 달리라면서요.

문제는 집착, 그것이

저녁 강의 물살보다 앞서면

밤낮없이 세운 강의 역사도 

한순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거지.

너는 너에게 무슨 의미를 부여하며

살아갈 생각인데?


셈법이 복잡한 건 싫어요.

닥치고 돈 벌 거예요.


『무소유』 법정 스님 수필집


한상권, 그 아이에게 물었다. 창비교육. 2018년. 초판 2쇄. 46-47쪽.


이렇게 질문을 하는 학생이 이 시집에 많이 등장한다. 질문을 한다는 것, 그것은 자신만의 생각을 지닌다는 이야기다. 그러니 학생들이 질문을 하게 만드는 시적 화자는 바람직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질문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고 받아줄 수 있는 어른. 그런 어른이 필요한 시대이기도 한데... '닥치고 돈 벌 거예요'라고 말하지만, 아마도 이 시 속에 등장하는 학생은 한번 더 생각하게 될 것이다. 적어도 질문을 하고 있으니...


그리고 우리가 바라는 사회는 '닥치고 돈 버는' 사회가 아니라, 돈을 넘어서서 자신의 삶을 사는 사회가 되어야 한다.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돈으로 인해 생활이 힘들어지게 해서는 안된다.


이 사회에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도 사회에서 자신의 배당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생각, 그런 배당을 정책으로 실현하도록 한다면 적어도 돈때문에 다른 일을 포기하는 그런 일은 생기지 않으리라. 또한 '닥치고 돈 벌 거예요'라는 말을 하지 않는 세상이 되리라.


그런 세상이 되게 하기 위해 우리도 질문을 해야 한다. 질문은 어린이, 젊은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모두가 질문해야 한다. 우리가 바라는 사회는 어떤 사회인가? 우리가 그런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한상권 시집을 읽으며 '그 아이에게 물었다'는 말을 '우리에게 물어야 한다'고 바꿔 생각해 본다. 우리 역시 어느 순간 질문을 잊고 살지는 않았는지...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ims1123 2021-12-14 1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 아이에게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