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가 불확실할 때, 관계를 잘 맺지 못할 때가 많다. 낯선 사람을 만날 때가 그렇다. 그런 낯섬에서 익숙함으로 갈 때, 징검다리가 있었으면 좀 수월하게 익숙함으로 갈 수가 있다.

 

  그 징검다리 역할을 무엇이 할까? 많은 관계들을 맺어가면서 살아가는데, 그 전에 맺었던 관계들이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도 하고, 자신이 맺어지고 싶어하는 마음이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렇게 우리 인간은 낯선 타자와 관계를 맺으면서 살아가야 한다. 그런데, 요즘 관계 맺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학교에서는 온갖 따돌림들이 나타나고, 그래서 따돌림을 당하지 않으려고, 관계를 계속 유지하려고 옳지 않은 일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친구들 모임에서 떨어져 나오면 다른 친구들 사이로 들어가기가 힘들다고 한다. (이 때는 익숙함이 좋음이 아니다. 이때 익숙함은 옳지 않음이다. 그러니 낯섬에서 익숙함으로 갈 때는 좋음이라는 가치가 개입되어야 한다) 

 

서로가 서로에게 벽을 쌓고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벽이 쌓이고 관계 맺기가 힘들어지는 데는 소통이 안 되는 이유도 있다. 소통이란 자신의 마음을 열고 다른 사람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하는데, 내 말뿐이 아니라 다른 말도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하는데, 그래서 말과 말들이 얽혀서 다른 말들을 만들어내어 튼튼한 관계를 맺게 해야 하는데, 내 말을 옳고 다른 사람의 말은 그르다는 식의 태도가 많아지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한다.

 

직장에서도 괴롭힘이 일어나 견디지 못하는 사람들 이야기가 심심치 않게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는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소통을 잘할 수 있나 하는 고민을 하게 된다.

 

[빅이슈] 262호에서는 그런 소통의 방편으로, 즉 서로가 익숙한 관계 맺기로 나아가는 징검다리로 MBTI를 소개하고 있다. 성격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 많은 사람들이 검사해서 16가지 유형 중에 자신은 어떤 유형이라고 이야기하는.

 

그런 유형이 지니는 특성들을 이해하면 그 사람과의 관계 맺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그렇다. 오랫동안 만나서 그 사람의 말투, 행동, 생각 등을 추측할 수 있어서 이해 범위가 넓어지기 전에, 그 사람이 지닌 성격을 알고 그에 대해서 받아들인다면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런 점에서 MBTI는 유용하다. 다만, MBTI를 그 사람을 규정하는 방편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MBTI로 성격 유형이 나오더라도 그것이 그 사람 전부를 설명해주지는 않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은 의식적으로 자신의 부족한 면을 고치려고 하기도 하기 때문에, 그 사람은 이런 유형이니 이것에는 안돼, 우리하고는 안 어울려 하면서 또다른 배제의 수단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결국 아무리 좋은 도구라도 잘못 쓰면 해로울 수밖에 없다. 그러니 좋은 관계, 익숙한 관계 맺기를 위해서 MBTI를 활용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맹신하는 일은 삼가야 한다. [빅이슈] 262호에서도 그 점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빅이슈] 자체가 바로 이런 좋은 관계 맺기를 하는 잡지 아닌가. 관계 맺기에서 떨어져 나온 사람들을 다시 관계 맺기의 장으로 들어오게 하는 잡지.

 

이런 빅이슈를 보며 빅이슈도 좋은 관계 맺기를 하게 하는데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