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원의 쓸모 - 흙 묻은 손이 마음을 어루만지다
수 스튜어트 스미스 지음, 고정아 옮김 / 윌북 / 2021년 3월
평점 :
'흙 묻은 손이 마음을 어루만진다'라고 책 표지에 쓰여 있다. 흙을 만지고 있으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다른 근심을 잊고 자신을 추스릴 수 있게 된다.
흙으로 대표되는 자연은 이렇게 우리에게 치유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지금 우리들 삶은 자연과 얼마나 멀어져 있는가?
주변을 둘러보면 콘크리트 건물이 먼저 보이고, 도시에서는 특히, 밑을 보면 아스팔트나 보도블록이 먼저 보인다.
삭막한 환경이다. 그만큼 우리 마음도 삭막해진다고 할 수 있다. 이 삭막함은 지나침 깔끔함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아이들이 놀이터에서 흙놀이를 하면 많은 부모가 아이들을 야단친다. 흙이 더럽다고, 세균이 많다고, 하다못해 아이들 놀이터에 모래를 깔아놓은 곳도 요즘은 전부 포장을 해서 모래나 흙을 놀이터에서도 밟을 수가 없다.
그런데 이 책 정원의 쓸모는 여러 연구 결과를 들어 정원, 흙이 우리들 삶에 꼭 필요하다고 한다. 자신의 질병을 치유하기도 하고, 다른 사람과 잘 어울리게 하기도 한다고. 이런 말이 나온다.
원예라는 육체 활동은 손톱 밑이 더러워지고, 우리를 흙 속에 심고, 장소와 인생 과정에 새로이 유대감을 쌓는 일이다. (230쪽)
우리는 죽음의 절대성을 낮출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것은 리프턴이 말하는 다양한 '상징적 생존'을 통해서 이룰 수 있다. 상징적 생존이란 다음 세대를 살아가는 우리의 유전자뿐 아니라 내세, 우리의 창의성, 자연의 영속성에 대한 믿음을 포함한다. (255쪽)
자신이 더러워기지는 하지만, 이 더러움은 마음을 치유하는 과정이고, 다른 사람과 함께 어울리는 마음을 지니게 한다.
시간의 흐름에 대한 우리 감각은 뇌가 저장하는 기억의 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많은 디테일에 주목해야 하는 새로운 장소나 상황에서 보내는 시간은 더 길게 느껴진다. 더 많은 기억을 저장하기 때문이다. (265쪽)
이 말을 통해서도 정원은 우리 삶을 더 풍요롭게 함을 알 수 있다. 어렴풋이 느끼고 있던 자연과의 공감이 이 책에서는 많은 연구 결과를 통해서 알려주고 있다.
이렇게 정원이 우리 삶에 꼭 필요한데, 지금 우리는 어떤가 하는 생각을 하면 마음이 답답해진다. 도대체 지금 우리는 왜 나무를 베어버리고, 땅을 덮어버리고 있는지...
4차산업혁명 운운하면서 온갖 첨단과학기술에 대해서 교육해야 한다고 하면서 정작 사람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정원, 자연의 중요성은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하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