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리안 티처 - 제25회 한겨레문학상 수상작
서수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0년 7월
평점 :
1. 문정희 시 '그 많던 여학생은 어디로 갔는가'
이 소설을 읽으며 여러 생각이 났는데, 고학력 여성들이 가질 수 있는 직업이 무엇일까? 그 많던 똑똑한 여학생들은 다 어디에 있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을 보아도, 대학원에서 공부하는 학생을 보아도 여학생이 많다. 그런데 정규직의 비율을 보면 여성의 비율이 많이 떨어진다고 한다. 조금씩 비중이 높아지고는 있지만, 아직도 낮은 편이다.
이 소설에서 똑똑한 여학생들은 한국어 강사로 일한다. 비정규직 강사. 그들에게는 재계약이 보장되지 않는다. 그러면서 온갖 평가가 따라다닌다. 이들에게는 권리보다는 책임과 의무가 더 강요된다.
그나마 대학강사라고 하지만, 이들에게는 수업을 계획할 권리도, 학생들을 재량껏 평가할 권리도 없다. 오로지 주어진 매뉴얼대로만 해야 한다. 마치 빈틈없이 맞물려 돌아가는 톱니바퀴처럼 이들은 거대한 기계를 이루는 한 부속품일 뿐이다.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치는데, 이 외국인들이 한국이 좋아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서 오는 경우도 있지만, 학교에서 사업의 일환으로 많은 학생들을 데리고 오는 경우도 있다. 이들은 바로 이렇게 교육 장사를 한다.
이 소설에 나오는 베트남 학생들은 배움이 목적이기보다는 한국에 합법적으로 들어와 일자리를 찾으려 한다. 학교와 그들의 욕구가 맞아떨어지면서 많은 수의 베트남 학생들이 등록을 하게 되고, 그들을 가르칠 강사가 필요해서 많은 수의 강사가 채용된다.
학생 수에 따라서 다음 학기 계약이 되느냐 한 되느냐가 걸려 있는, 그 많던 여학생이 언제 계약이 만료될 지 알 수 없는 시간 강사로 살아가게 된다. 박사과정을 밟은 한희조차도 책임강사라고 하지만 계약직일 수밖에 없다.
이렇게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교육 장사의 소모품으로 살아가는 사람들 이야기, 이 소설 [코리안 티처]다.
2. 여성을 몸으로 인식하는 문화
한국인 강사들이 이 소설에서는 대부분 여성들이다. 그 많던 여학생들이 비정규직으로 삶을 이어가는데, 이들을 바라보는 학생들의 시각은 선생님이기도 하지만 여성이기도 하다. 몸으로서의 여성.
그래서 아무렇지도 않게 사진을 찍어서 올리고 공유한다. 그것이 잘못된 일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고. 이런 면에서는 동서양 학생들이 차이가 없다. 여기에는 동양과 서양이라는 문화 차이보다는 남성과 여성이라는 성별 차이가 더 크게 작용한다.
학생들은 강사의 사진을 찍어서 올리고, 예쁘다 어쩌고 저쩌고 하면서 공유한다. 소설의 처음에 등장하는 선이가 그렇다.
자신은 선의를 다해 가르치는데, 그들은 선이를 교사이기 전에 여자로 인식하고 행동한다. 꼭 외국인 학생들 이야기만은 아니다. 최근에 우리나라에서도 교사의 사진을 찍어 올리고 공유하는 사례가 많이 문제가 되었으니.
여성을 능력보다는 몸으로 인식하는 문화, 그것이 이 소설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으며, 선이뿐이 아니라 그 점에서 벗어나려는 미주에게서도 그렇게 소비되는 여성에 대한 관점이 다른 면에서 부작용으로 작동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학생들과 친하고 잘 지내던 가은 역시 몸으로 소비되는 자신을 보면서 강사직을 그만두게 된다.
3. 그럼에도 희망은 있다
선이로 시작해, 미주, 가은, 한희의 이야기로 봄학기, 여름학기, 가을학기, 겨울학기가 서술되고, 마지막에 겨울단기로 소설이 마무리 된다.
학교에서 베트남 학생들이 집단으로 도망을 가니, 징계를 받지 않기 위해 중국인 학생들을 단기로, 그것도 학교 측에서 비용을 거의 대주는 식으로 받으들여 전체 정원을 늘린다. 그러면서 다시 단기로 강사들을 채용하는데, 이때 처음에 등장했던 선이가 등장한다.
물론 결과는 행복하지 않다. 선이는 계약이 만료되었다가 단기에 다시 등장하고, 미주는 내용 증명을 받아 재계약이 안 될 처지에 있으며, 가은은 충격을 받고 강사직을 그만두었으며, 한희는 책임강사 직을 휴직하고 아이를 낳게되면서 다시 자기에게 주어졌던 가은의 자리로 갈 수 없게 된다. 단기 강사직을 다시 했던 선이가 학생들에게 알려주었던 폭죽으로 기숙사가 불타버리고 마니 선이는 다시 계약하기 힘들 것이다.
이들은 이렇게 자기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는데, 그럼에도 희망이 있음을 한희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한희는 한국어에는 미래가 없다라고 했다가, '한국어의 미래시제 교수법'이라는 글을 쓰려고 한다. 미래는 있어야 한다. 바로 한희에게는 아이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희는 영국으로 가자는 제이콥의 제안을 거절한다. 한국에서 자신은 버티겠다고 한다. 이제 한희에게 미래는 자신의 의지로 만들어가는 와야만 하는 시제가 된다.
여기에 소설의 끝에 다시 가은이 등장한다. 지방의 다문화언어강사 면접 대기실에 있는 가은. 포기하지 않았다. 다시 시작한다.
이들은 과거에 열심히 살았고, 현재에도 충실했다. 그러나 그들에게 미래는 보장되지 않았다. 미래는 불확실한 올지 안 올지 모르는 시제였다.
그렇게 끝나면 문정희 시 제목처럼 된다. '그 많던 여학생은 어디로 갔는가' 아니다. 갔는가로 끝나지 않고 여기에 있다, 여기에 있겠다로 소설을 맺고 있다.
이렇게 소설은 한국어 강사들을 통해 비정규직 여성들의 삶과 교육으로 장사를 하는 대학의 행태들을 보여주면서, 그럼에도 우리가 희망을 버려서는 안 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