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계장 이야기 - 63세 임시 계약직 노인장의 노동 일지 ㅣ 우리시대의 논리 27
조정진 지음 / 후마니타스 / 2020년 3월
평점 :
품절
'임계장'은 소수의 사람에게만 해당할까?
'임계장'은 임시 계약직 노인장의 줄임말이라고 한다. 대다수의 직장은 정년이 있다. 그 정년이 57세부터 65세까지 다양하지만, 65세 정년인 직장은 거의 없다. 대부분 60세가 되면 정년이 되어 직장에서 나와야 한다.
그런데 생각해 보자. 지금 우리 사회에서 60세면 편안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는 나이인가? 직장 생활을 30년 넘게 한 사람들이라고 그 다음부터 돈 걱정 없이 지낼 수 있을까? 산수를 해보자. 굳이 수학까지 갈 필요도 없으니.
지금 60대들은 결혼을 현재 젊은 세대들보다는 일찍 했을테니 남자로 계산하면 군대 갔다 오고, 가장 빨리 취업을 해도 20세 전후다. 그러니 20세에 취업했다고 하자. 그러면 40년을 근무한 셈이고, 결혼은 25세에 했다고 하자.
그가 곧 아이를 낳았다면 60세가 되었을 때 큰 아이는 35세가 되어 있을테다. 그리고 둘째를 2년 터울로 낳았다고 하면 둘째 나이는 33세.
지금 우리나라에서 35세와 33세는 운이 좋으면 직장을 갖고 부모에게 기대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으리라. 그렇다면 퇴직을 한 다음에는 온전히 부모는 자신들을 위해서 살 수 있을텐데, 과연 그런가?
여기에 변수가 있다. 부모가 퇴직할 당시 빚이 없어야 한다. 하지만 집을 얻기 위해 대부분은 빚을 지니고 있다. 자식들 대학에 보내드라 또다른 빚이 있고. 직장을 그만두는 순간, 신용이 없어져 이 책에서 말하듯이 빚을 갚으라는 독촉에 시달린다. 갚지 않으면 추심 들어온다고 한다. 그러니 그간 모아두었던 적금, 보험을 해지하고 빚을 갚아야 한다.
또 늦게 둔 자식이 있으면 그 자식 학비로 마련해야 한다. 결국 직장에서 정년을 하고 편안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는 사람은 빚이 없는 사람, 자식들이 모두 자립해서 살고 있는 사람들로 한정된다.
대다수의 부모들은 정년을 하고 나면 살 길이 막막해진다. 그때부터 갚아야 할 빚과 자식들을 부양해야 하는 돈이 부담으로 다가온다. 그러니 그들은 다시 직장을 찾아야 한다.
누군가는 말한다. 정년으로 제2의 인생을 시작한다고. 그런 사람들이 많은가? 이 책을 쓴 사람은 공기업에서 37년을 근무했다고 한다. 그런데도 그는 제2의 인생이 아니라 여러 곳에서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을 살아가야 했다. 살기 위해서.
이 사람을 보아도 '임계장'은 극소수에 해당하지 않는다. 많은 정년퇴직을 한 사람들에게 해당한다. 그들은 살기 위해서 직장이 필요하다. 그런데 그들을 필요로 하는 직장은 대부분 계약직이고, 하고자 하는 사람이 늘 대기하고 있어서 해고하기도 편한 그런 곳이다.
아파드 경비원, 빌딩 관리인 등등이 바로 그런 곳이다. 많은 정년 퇴직자들이 이런 일을 하고 있고, 또 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그러니 '임계장'은 결코 소수가 아니다.
3D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암계장'들이 하는 일은 우리 생활에서 꼭 필요하지만 남들 눈에 띠면 좋은 소리를 듣지 못하는 일들이다. 그들은 소위 3D라 불리는 일을 한다. 힘들고 어렵고 더러운 일들. 그 노동으로 다른 사람들은 편하게 지낸다.
그러면 고마워해야 한다. 그런데 그렇지 않다. 일이 조금이라도 잘못되면 그 책임을 이들에게 묻는다. 아파트 단지 내에서 넘어져도 경비원 책임, 자기 차에 흠집이 생겨도 경비원 책임, 쓰레기가 넘쳐도 경비원 책임 등등...
이 책을 읽다보면 이런 아파트 주민들이 있나 싶을 정도다. 그런데 있다. 오죽하면 아파트 입주민의 갑질로 목숨을 끊는 경비원들이 나오겠는가.
그들은 자신들이 편리하게 사는 대가가 바로 이들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을 한다는 사실을 외면한다. 이런 일들은 잘하면 표가 안 나고, 못하면 바로 표가 나는, 그래서 지적을 하기 쉽고, 주민들 입장에서는 큰소리 치기 쉬운 일들이다.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하지는 않지만, 정말 선량한 사람들도 많지만, 극소수의 사람이 갑질을 한다해도 그 여파는 상당하다. 사람을 그렇게 대하면 안 되는데, 경비원을 사람으로 대하지 않는 그런 아파트라니... 지금은 좀 나아졌으려나? 아니지, 아직도 보이지 않게 힘든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이 책에서 저자가 겪은 일을 알게모르게 저지르고 있지 않나.
'공부 안하면 저 사람처럼 된다.' 이게 부모가 자식에게 하는 말이다. 이런 말을 듣고 자란 자식이 어떻게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신들을 편안하게 해주기 위해서 험한 일을 하는 사람을 존중하겠는가. 그러니 보이지 않는 노동에 대한 존중. 또 자신들이 왜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에서 지내게 되었는지에 대해서 생각해 봐야 한다.
전태일의 외침은 여전히
이 책을 읽으면서 '임계장'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전태일이 '근로기준법을 지켜라'고 외치며 온몸을 불사른 지 50년이 되었는데도 노동자들의 조건은, 특히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조건은 여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사회 이곳저곳에서 전태일의 외침이 계속되고 있는데도, 아직도 전태일의 소망이 실현되지 않고 있다.
여전히 아침에 집을 나서서 저녁에 집에 들어가지 못하는 노동자들이 많은 현실. 그런 현실 속에서도 더욱 힘든 삶을 지니는 '임계장'들. 또 이런 사람들을 자기들끼리 감시하게 만드는 관리자들.
아프면 치료해주지 않고 곧바로 해고하는 그런 직장들. 대기업이라고 들어가도 대기업 직원이 아닌 용역업체 직원으로 들어가게 되는 현실. 일은 대기업이 시키면서도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용역회사에 떠넘기고, 용역회사는 노동자 개인에게 전가하는 그런 일들이 여전히 비일비재하고 있으니.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약한
그러니 우리 사회는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는 한없이 약한 그런 모습을 보여주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한다. 빌딩 관리인이 되었을 때 본부장 차는 지정 주차 구역이 있고, 이를 잘못 알고 다른 차를 주차시켰을 때 난리가 나는 현실.
또한 경비원들을 감시하는 역할을 경비반장에게 맡기고, 그에게 정년 연장과 근무에서 특권을 부여해 그로 하여금 회사에 충성하게 만드는 그런 노동 관리 실태.
신영복 선생이 그랬던가. 감옥에 있을 때 한여름 더위에는 바로 옆에 있는 감방 동료들이 미워진다고, 어쩔 수 없이 붙어자야 하는 그들에게 한여름 더위는 견딜 수 없는 일인데 그 화살은 바로 옆에 있는 사람에게 가기 쉽다고 했다.
경비반장 역시 자신이 살기 위해서 그런 행동을 하겠지만, 자신과 같은 처지의 경비원들을 감시하고 회사에 신고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니, 이는 약자에게 강하고 강자에게 약한 모습이다. 그리고 이 사회는 그렇게 하기를 강요 아닌 강요를 하고 있다.
이래서는 안된다. 환경을 바꿀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들은 조직이 되지 않았고, 또 조직하기도 쉽지 않다. 하지만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이들에 대한 이야기가 알려지면서 조금씩 달라지고 있다. 아직도 갈 길은 멀지만.
모두가 함께 할 수 있는 사회
하지만 힘든 일을 하는 사람들은 서로 도울 때도 많다. 휴가를 가기 위해서는 대체 근무자를 구해야 할 때 함께 구해주는 모습이나, 감기에 걸리면 동료에게 옮길까봐 홀로 나가 자는 고속터미널 관리인들.
이런 모습들. 또 아파트 경비원들에게 친절한 인사를 건네는 사람들. 자신의 마음을 담은 물건을 주는 사람들.
서로가 서로를 배려하는 모습들도 있지만, 그들이 그렇게 하기 전에 먼저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 고속터미널의 상무라는 사람, 핀셋으로 이쑤시개까지 주우면서 관리원들에게 보여주는 모습, 자 이 모습이 어떤가?
고속터미널 환경 관리를 관리원들이 하기 힘드니까 도와주는 모습으로 보이는가? 아니, 그 모습을 본 관리소 직원들은 관리원들을 다그친다. 상무님이 왜 저런 일을 해야 하냐고? 이는 강자가 약자를 배려하는 모습이 아니라 오히려 약자에게 일을 더 시키는 모습이다.
오죽하면 상무는 관리인들이 화단에서 이쑤시개를 찾아 청소하는 관리인들을 보면서도 하지 말라는 소리를 한번도 하지 않았을까. 이는 함께 사는 사회가 아니다.
강자는 약자를 편들어 주어야 한다. 약자가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좋은 사회는 약자에게 약하고, 강자에게 강한, 그래서 약자들이 삶을 살아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사회다.
그리고 그런 사회가 우리 모두 함께 살아가는 사회다. 우리도 '임계장'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알고, '임계장'을 우리만큼 존중받아야 할 존재로 여기는 사회가 바로 그런 사회다.
이 책을 참 짠했다. 그리고 우리나라가 저녁이 있는 삶이 아직도 없는 사회라는 생각이 들었다. 저녁이 있는 삶. 이를 더 넓게 확장하면 노년이 있는 삶이다. '임계장'들이라고 불리지 않고 '제2, 제3의 인생을 사는 사람들'이라고 불릴 수 있는 사회. 그런 사회가 되어야 젊은이들도 행복하지 않을까 한다.
'임계장'이 젊은이들의 미래가 아니라 '제2의 인생을 사는 사람'이 젊은이들의 미래가 되어야, 그런 사회가 함께 하는 사회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 책을 많은 사람들이 읽었으면 좋겠다. 함께 살기 위해, 더불어 행복해지기 위해. 내 삶을 편하게 해주기 위해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있음을 알기 위해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