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망과 지혜의 문화사전 몸
샤오 춘레이 지음, 유소영 옮김 / 푸른숲 / 2006년 7월
평점 :
절판


영혼과 육체라는 말을 쓰면서도 둘을 등가로 보지 않고 영혼에 비해 육체가 열등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육체가 없으면 자신이 존재할 수 없음에도 육체는 드러내놓고 이야기하기가 좀 껄끄럽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그만큼 밖으로 드러나 있는 이 육체에 대해 우리는 이야기를 하면서도 감추려고 하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감추려고 해도 감출 수 없는 존재가 바로 육체, 우리 몸이다.


몸은 우리가 늘 보게 되고 만지게 되는 존재다. 그런 몸에 얽힌 이야기를 이 책은 풀어내고 있다. 우리 몸 부분 부분을 제목으로 삼아 그 몸과 관련된 동서양의 이야기들을 들려주고 있는데...


제목으로도 흥미롭지만 내용도 흥미진진하다. 한 장 한 장 그러니까 몸의 한 부분 한 부분을 틈을 내어 읽을 수 있어서 좋다. 어딘가로 조금 멀리 간다 싶을 때 지니고 다니면서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가령 이 책 처음은 머리로 시작한다. 우리 몸에서 가장 위에 있고, 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존재, 그리고 우리 인간을 인간답게 해주는 존재가 바로 머리다. 그래서 머리는 하나의 우주다. 또다른 우주가 바로 머리라고 한다면, 아직도 우주 전체가 밝혀지지 않았듯이 우리 머리, 머리 속 뇌에 대해서도 아직 밝혀지지 않은 사실들이 많다.


이런 머리를 인간에게서 분리를 하면 그 사람은 죽는다. 그런 분리의 과정을 문화적으로 이야기해주는데, 머리가 우리 몸에서 쉽게 잘려나가지 않는다는 사실, 그래서 옛날 망나니(회자수)라 불리던 사람들이 죄인의 목을 치더라도 한번에 자르기는 쉽지 않았다는 사실. 또 잘려나간 머리도 과연 살아있을까에 대한 이야기도 실려 있고, 단번에 자르기 위한 도구로 길로틴(기요틴)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을 설계하는데 루이16세도 관여했다고...


이런저런 사실들이 많이 실려 있는데, 우리 몸이 사회, 정치, 문화적으로 다양하게 표현되었고, 또 다양하게 해석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동양과 서양이 몸의 특정 부분을 바라보는 시각이 어떻게 다른지도 알려주는데... 중국 사람이 쓴 책이라서 그런지 중국에 관한 내용이 많다. 중국과 우리나라가 문화적으로 가까운 관계에 있기 때문에, 단지 중국 문화에서 몸을 바라보는 시각을 알게 되는데서 그치지 않고 우리나라에서도 몸을 그런 식으로 봐 왔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비슷한 점이 많은 중에도 확연하게 차이를 드러내는 부분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발에 관한 태도이다. 중국인들은 전족을 했는데, 우리는 전족을 하지 않았으니... 이것이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다행이라고 해야 하나.


전족이라면 단순히 작은 발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그것이 아니다. 전족은 발을 비틀어 모양을 변형시키는 데까지 나아간다. 세 치 길이의 발을 가장 아름다운 발이라고 했다고 하는데... 세 치면 겨우 9센티미터가 조금 넘는 길이다. 사진을 보라.


사진만 보아도 얼마나 고통스러울지 알 수 있다. 이 발로 걸을 수 있다니, 잘 믿기지 않는다. 이 책에는 전족을 해서 잘 걷지 못해 남편이 밭에 데리고 갔다가 데리고 왔다는 기록도 나오니, 이건 아니다 싶다.



지금 우리나라 사람들이 작아도 25센티미터가 넘는 발 크기를 지니고 있는데, 10센티미터라고 해도 이건 너무 했다. 게다가 그 발을 휘게 만들어야 한다니... 이런 발을 지닌 사람을 미인이라고 했다고 하더라도 이건 좀 심하다 싶다.


같은 동양이라도 발을 대하는 태도가 다르다는 사실을, 그것도 한 쪽 성에게는 지독한 고통을 유발하는 행위를 문화라는 이름으로 자행했다니... 참...


이런 저런 내용으로 몸에 대해서 그동안 인류가 지녀왔던 생각, 문화들을 알려주고 있어서 흥미도 있고, 또 우리 몸에 대한 역사적 태도에 대해서도 알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