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이 있는 삶. 게으를 권리. 그렇다. 우리는 개미가 되도록 교육받았다. 베짱이처럼 살면 안 된다고 어릴 적부터 배웠던 우리는, 개미처럼 그것도 일개미처럼 부지런히 일을 해야 한다는 말을 뼛속 깊은 곳에 새겨두었다.
장시간 노동도, 강도 높은 노동도 모두 미래를 위해서 한다고, 미래에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으리라고... 낮에 열심히 일해야 저녁에 쉴 수 있다고, '저녁이 있는 삶'을 누릴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낮에 쉬지 못하면, 저녁에도 쉬지 못한다. 낮에 죽어라 자신이 할 수 있는 극한까지 일한 사람은 저녁이 되면 피곤을 이기지 못해 쓰러지고 만다.
어떤 사람은 저녁이 되어도 돌아오지 못하기도 한다. 박은영 시집을 읽다가 '저녁이 있는 삶'이 아닌 '저녁 없는 삶'이라는 시를 읽고 최근, 아니 지속적으로 일어났던 노동자들이 겪은 사고가 생각났다.
그들에게는 저녁이 없었다. 쉬지 못하는 저녁이 아니라 아예 저녁에 집에 돌아오지 못한 사람도 많았으니... 언제나 이들에게 저녁이 있는 삶이 올 수 있을까.
저녁 없는 삶
작업은 끝이 없었다 기계처럼 움직여 잔업을 마치면 야근이 기다리고 회식이 잡혔다 공휴일은 등산복을 입고 출근하거나 체육복을 입고 퇴근했다
설명서가 없는 삶이었다
주름보다 먼저 두통이 왔고 구두 굽보다 먼저 발꿈치가 닳았으며 나보다 먼저 입사 동기가 승진을 했다 지하철에 빈자리가 생기면 보상을 받는 듯도 했다 그 작은 의미를 던져주며 누군가 나를 조종하고 있는 것 같았다 밤은 짧고 낮은 길다는 것밖에 달리 설명할 길이 없었다
부품 하나가 없어도 움직이는 기계처럼,
세상은 돌아갔다
저녁 없이도 돌아가고 있다는 게 놀라웠다
박은영. 구름은 울 준비가 되었다. 실천문학사. 2020년. 14쪽.
지금도 이런 노동자들이 한둘이 아니다. 그들에게는 저녁도 휴일도 없다. 그리고 안전규칙도 지켜지지 않는다. 단순히 저녁이 없는 삶이 아니라, 저녁이 되어도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이제는 바꾸어야 한다. 어느 때부턴가 우화 '개미와 베짱이'가 바뀌었다. 개미처럼 죽어라 일만 하는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삶을 누릴 줄 아는 베짱이를 인정하기 시작했다.
그렇다. 우리에게는 게으를 권리가 있다. 휴식을 취할 권리가 있다. 오죽했으면 성경에도 안식일을 지키라는 말이 있을까. 이젠 일주일에 5일, 하루 8시간 노동도 많다고 한다. 노동시간을 줄여도 될 때다. 그러니 주4일 노동을 실시하자는 나라도 나오고 있다. 하루 6시간 노동에 주4일 노동, 그렇다면 주당 24시간 일하면 된다. 아마 우리나라는 이 노동시간의 배 이상이 될테니.. 여전히 갈 길이 멀다.
그럼에도 우리에게는 저녁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런 저녁이 있는 삶을 만들어야 한다. '저녁 없는 삶'이 아니라. 그렇게 사람다운 삶에는 반드시 저녁이 필요하다. 우리는 개미도 베짱이도 모두 되어야 한다.
박은영 시집을 읽으며 그런 생각을 했다. 이 시집에는 이런 '저녁 없는 삶'만큼이나 슬픈 시가 많이 있다. 그 중에서도 '오리너구리'라는 시, 마음이 아프다. 여전히 우리 현실은 이렇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