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 한강의 기적에서 헬조선까지 잃어버린 사회의 품격을 찾아서 서가명강 시리즈 4
이재열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여론조사를 하는 질문과 비슷하다. 


"다시 태어난다면, 한국에서 살겠습니까"


그런데 질문이 좀 이상하다. 우리는 보통 태어난 나라에서 살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자신이 태어난 나라에 살지 않고 다른 나라에 사는 사람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그러니 이 질문에 답하기는 어렵지 않다. 당연히 한국에서 살 수밖에 없다.


이렇게 답해야 한다. 그렇지만, 아마도 많은 사람들은 "아니오"라고 답할 수도 있다. 자신이 태어난 나라를 벗어날 수 없음에도.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산다는 일이 얼마나 힘든지 온몸으로 겪었으니까. 다시는 이런 나라에 살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으니까... 질문을 바로 하려면 이 책 제목이 된 질문은 이렇게 바뀌어야 한다. 만약 진짜로 한국에서 살고 싶은지를 묻는다면...


"다시 한국에 태어나 살고 싶습니까"


이 질문에 많은 사람들은 "아니오"라고 답할 수도 있다. 지금 우리 사회를 "헬조선"이라고 하는 사람이 많으니... 특히 MZ세대(198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걸쳐 태어난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 (Y세대) 와 1990년대 중반부터 2000년대 초반 사이에 태어난 세대인 Z세대 )들은 더욱 그러하리라 추측한다.


이 책을 쓴 이재열은 MZ세대란 말 대신 에코세대란 말을 썼다. 베이비붐 세대의 자식들에 해당하는 세대이니, MZ세대나 에코세대나 거의 비슷한 세대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세대는 '지질하게 사는 것'을 인생의 실패로 여기기까지 한다'(58쪽)고 한다.


그러니 이들은 '자신이 지금 소비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에 투자하는 것, 이것을 매우 중요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지극히 현실적이다. ... 현실 인식이 명확한 편이기 때문에 자신의 현실에 대해 냉정히 진단하고, 불가능한 일은 빨리 체념한다. 그래서 자신의 서열과 사회적 위치에 대한 수용성은 높은 편이다. 그렇지만, 상대적 박탈감을 더 많이 경험한다' (59쪽)고 한다.


얼마 전 언론에서 명품관 앞에 줄을 주욱 서 있는 사람들 모습을 방영한 적이 있다. 가방 하나에 수천만 원 하는데도 그것을 사겠다고 줄을 선 사람들, 명품 시계라고 수천만 원짜리 시계를 그것도 중고로도 구입하려는 사람들. 그것들을 명품이라고 자신이 쓰겠다고 하는 젊은이들. 집을 사기는 힘드니 자신을 꾸미는데, 드러내는데 쓰겠다고 하는 모습이 과연 현실적인지... 아니면 상대를 의식하는 사회적 위치에 대한 치열한 방어전략인지...


아무튼 바람직한 사회 모습은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이들이 자신들의 시간과 돈을 다른 방향으로 쓸 수 있게 하는 사회가 더 낫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했는데... 명품은 사용가치보다는 교환가치, 그것도 다른 사람에게 과시하는 비교가치가 높은 물품에 불과한데, 그 제품에 '명품'이라고 이름을 붙이는 자본주의 상술도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지만...


이런 모습을 지닌 에코세대들이 30년이 지난 다음에, - 출생율이 아무리 낮아도 이들 세대들을 이을 세대들은 나타나기 마련이니까 - 올 세대들에게 어떤 세상을 물려줄 수 있는지...


이 책 제목은 그래서 질문을 조금 바꾸어야 한다. '당신 뒤에 살 세대들에게 이런 한국을 물려주겠습니까"라고.


그래선 안 된다고. 우리 사회에 문제가 있다면 고쳐야 한다고. 절이 싫으면 중이 떠나야 한다고 하지만, 중이 절을 떠나긴 쉽지 않다. 그러니 절을 개혁하려고 한다.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다. 한국에서 태어났으면 한국을 떠나기 힘드니, 한국 사회를 바꾸어야 한다. 어떤 사회로? 품격 있는 사회로... 저자는 품격 있는 사회를 이렇게 말한다.


미래에 대한 희망이 넘치고, 제도에 대한 신뢰가 높고, 현실에 만족하며, 적극적으로 위험을 감수해 창업과 혁신 노력을 기울이고, 참여를 통해 능동적 변화를 끌어내려는 공동체 의식이 높은 사회 (239쪽)


좋은 말들이 나열되어 있다. 사회학자인 저자는 사회학이라는 학문 용어로 이를 다시 정리한다.


품격이 있는 사회란 앞에서 제기한 두 축, 즉 개인과 공동체간, 그리고 시스템과 생활세계 간에 팽팽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는 사회다. (243쪽)


한 마디로 갈등은 있어야 하지만 이 갈등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제도가 갖추어진 사회가 품격 있는 사회라고 할 수 있는데, 아직 우리 사회는 이런 품격 있는 사회가 되지 못했다. 품격 있는 사회가 되지 못했기에 성장이 행복을 동반하지 못하고 있다. 방향을 바꾸어야 한다. 성장을 거부할 수 없지만, 행복 없는 성장은 거부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 제도에 대한 끊임없는 감시, 비판이 이루어져야 하고, 정치적 무관심을 버려야 한다.


무관심은 용인과 같은 말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 사회에 팽배한 사고는 '3불'이라고 한다. '불신, 불만, 불안' 이 3불을 사라지게 해야 한다. 그런데 누가? 냉소적이고, 현실적이라서, 공동체보다는 개인의 현재 삶에 충실하려는 에코세대(MZ세대)가 이제는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


앞선 세대들을 비판만 해서는 일이 해결되지 않는다. 이미 문제는 발생했다.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그 해결책이 완전하지 않고 또 에코세대(많이 쓰는 MZ세대라는 말보다, 이 책 저자가 쓴 용어를 그대로 쓴다)에게 미룬다는 감은 있지만, 그래도 명심할 말이다. 


이렇게 할 수 있도록 사회제도를 정비하라고 기성세대들에게 항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 사회가 계속 살고 싶은 사회가 될 수 있다고. 저자가 제시한 주장을 정리한다. (290쪽-292쪽)


첫째, 정치적 냉소를 벗어나 좌절과 분노를 강력한 참여의 에너지로 전환하자. 


둘째, 순응과 체념보다 탈인습의 도전정신이 절실하다. 각자도생의 경쟁 논리를 벗어나 공감과 배려의 폭을 넓히자. 반칙에 무심하고 끼리끼리 문화에 익숙한 기성세대에게 옐로카드를 들이대는 당돌함이 아쉽다.


셋째, 과거의 성공 공식에 집착하지 말자. 취업이 잘된다는 전공을 찾아 줄 서는 시대는 갔다.


2007년에 우석훈과 박권일은 [88만원 세대]라는 책에서 이렇게 말했다. 앞의 세 가지는 그 말의 다른 표현이라고 보면 된다.


"20대여, 토플책을 덮고 바리케이트를 치고 짱돌을 들어라"


이 말을 어찌 젊은이들에게만 할 수 있겠는가? 사고는 기성세대가 다 쳐놓고, 책임을 뒷세대에게 미루는 말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니 이 말을 에코세대나 어떤 시대든 20에접어든 사람들에게 하는 말이 아니라, 그 시대를 살아가면서 그 시대가 지닌 문제를 인식하고 고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말이라고 생각하자. 이 말은 우리 모두에게 해당하는 말이다.


그래야만 우리 사회가 품격 있는 사회가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