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렇게 열심히 사냐 하면 다 먹고 살기 위해서라고 말을 한다. 한 단어를 덧붙이면 잘 먹고 살기 위해서 일을 한다. 그런데 먹고 살기 위해서 일을 하면서도 정작 먹고 살게 해주는 농사에 대해서는 무관심하다.


  먹을거리에 대해서도 무관심하다. 코로나19로 사람들이 감염병으로 고통스러워 하는 현실은 연일 언론에서 방송으로 내보내면서도, 정작 그렇게 된 원인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는다.


  지나친 난개발, 소위 발전과 성장이라고 하는 인류가 추구해온 삶의 방식이 감염병의 시대를 열었음을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고 있고, 백신과 치료제도 중요하지만 삶의 방식을 바꾸는 일이 시급하다는 주장을 하고 있지만, 그에 대한 논의는 다뤄지지 않는다.


언론에서 어떤 쪽으로 방송을 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관심은 달라진다. 우리는 전대미문의 코로나19사태를 겪으면서도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다른 방향의, 어쩌면 우리들 삶이 더 윤택해지는 그런 방향에 대해서는 고민하지 않는지도 모른다.


가령 이번 호에서 이기영이 쓴 '식생활과 문명의 전환'을 보면 우리가 이런 질병으로 고통을 받는 이유는 먹을거리에서도 기인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온갖 가공식품들로 열량은 높지만 영양은 없는 음식을 섭취하면서 면역력이 떨어지고 있는 현대인들의 모습.


가볍게 앓고 넘어갈 수도 있는 질병을 온갖 기저질환으로 인하여 목숨마저 위태로울 지경에까지 이르게 된 현대인들의 삶. 그런 삶을 바꿔야 한다고 녹색평론에서는 꾸준히 주장해왔는데, 계란으로 바위치기였던가. 아니 계란으로 바위치기를 해도 낙숫물이 바위를 뚫는다고 우리들 삶에 변환이 이루어진다고 믿어야 하는 건지.


그래서 녹색평론을 읽는다. 내 삶을 생각해 보게 하기 때문에. 나 역시 도시문명, 과학기술의 편리함에 빠져 살아가고 있는데, 그런 삶을 조금이나마 고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기 때문이다.


이번 호에서는 농업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하고 있다. 농업, 농사, 농민에 대한 관심을 지녀야 한다. 대규모 기업농이 아니라 소농이 지구를, 우리를 살릴 수 있음을 생각하게 된다. 특히 소농은 공동체와 민주주의와도 관계가 있음을 생각하게 한다.

 

"소농의 위기는 공동체의 위기로 연결되었고, 공동체의 위기는 소농의 위기로 연결되었다. 그런데도, 소농과 공동체가 아니고서는 기후위기라는 엄중한 상황을 극복해낼 수 없다는 절박함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윤병선, '기후위기 시대의 농(農)의 복원'에서. 8쪽)


소농, 이것은 대규모 농사가 아니라 그 지역에 맞는 농사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공동체를 살리는 길이다. 그러니 이제는 대규모가 아니라 소규모로 생활하는 방식을 생각해야 한다. 그 점에서 민주주의의 꽃이라는 선거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야 한다.


"지금 필요한 민주주의는, 선거라는 대의민주주의에 갇히지 않아야 하고, 민중의 자기통치라는 민주주의의 이상에 다가가려고 노력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 그래서 마을 자치가 중요하고, 읍-면 자치가 중요하고, 자급과 자치가 중요하다. 그것을 가로막는 기득권세력을 비판하고 감시·견제하며, 대안을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에서부터 민주주의를 확장하고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시선이다. 내려다보는 자의 시선이 아니라 '당하는 자'의 시선, 폭격하는 자의 시선이 아니라 폭격당하는 자의 시선, '버리는 자'의 시선이 아니라 '버린 것을 받아들여야 하는 자'의 시선, 전기를 소비하는 자의 시선이 아니라 발전소와 송전선으로 고통받는 자의 시선 …. 그런 시선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하승수, '농촌에서 본 민주주의와 농본주의'에서. 59쪽) 


지금 보궐선거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많은 후보들이 내세우고 있는 공약들을 살펴보면, 과연 그들이 어떤 시선을 지니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시선을 놓치지 않아야 하는데...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시선에서부터 벗어나야 한다. 다음 글을 보자.


"나는 답을 찾는 과정에서 '전문가'에게 의존하는 근대의 전형적인 오류를 저질렀는지도 모른다. 전형적인 근대의 실패를 드러내주는 바로 그 오류 말이다. 전문가들이라고 해도 모르는 경우가 많을 뿐 아니라, 때로는 절대로 알 수 없다. (나 자신을 포함해서) 고등교육의 수혜자들은 '자격증'에 지나치게 가치를 둔다.

  우리는 산업적 농업과 맞서는 과정에서 공민권, 주민권, 땅 보살피기를 과학으로 대체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나 과학은 그중 어떤 것도 대신할 수 없다." (웬델 베리, '농부가 없는 농토'에서. 93쪽) 


많은 권리를 소위 전문가라고 하는 사람들에게 넘겨버리고 있지 않은지... 내 삶을 다른 사람에게 맡겨버리고 만 것은 아닌지 생각하게 하는 글이다. 


이번 호를 읽으며 다시 농사에 대해, 공동체에 대해, 민주주의에 대해 생각한다. 정말 잘 먹고 잘 살기 위해서 우리가 어떤 시선으로 살아야 하는지, 무엇에 더 중점을 두어야 하는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1-03-15 11: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3-15 11:5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