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안 수업 - 어떻게 가치 있는 것을 알아보는가
윤광준 지음 / 지와인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름다움을 보고 느낄 수 있는 사람이라면 세상을 다른 사람과 똑같이 살지는 않을 것이다. 다른 사람의 삶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삶을 살고 있을 테니까.

 

세상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사람은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것들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에게는 같은 사물이라도 다르게 볼 수 있는 눈이 있을 테니까.

 

하지만 아름다움을 보고 느낄 수 있는 눈을 가진 사람이 많을까? 그다지 많지 않다는 데 문제가 있다. 아름다움을 느끼기 보다는 하루하루의 생활에 빠져 다른 것에 눈을 돌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삭막한 삶이라고 할까?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으려면 여유가 있어야 한다. 그러니 아름다움도 우리들 일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수밖에 없다. 자신의 삶에도 여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비어 있어야 채울 수 있듯이, 삶에 여유가 없으면 아름다움을 느끼기 힘들다. 그냥 살아갈 뿐이다. 살아간다는 말보다 살아진다는 말이 어울리는 삶이 된다.

 

그러니 아름다움을 느끼는 삶은 우리들에게 중요하다. 삶을 살아가게 될 테니 말이다. 수동에서 능동으로 삶의 자세가 바뀌는 것, 그것이 바로 우리가 삶에서 아름다움을 느끼면서 살아가야 하는 이유다.

 

이 책은 이렇게 우리가 삶에서 만나는 아름다움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주고 있다. 심미안 수업이라고 하지만 딱히 어떤 비결을 가르쳐주지는 않는다. 우선은 경험해야 한다. 한번으로 끝나는 일회성 경험이 아니라 두번 세번 네번 반복되는 경험이 중요하다고 한다.

 

자꾸 경험해야 아름다움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지식만으로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직접 경험함으로써 자신만의 아름다움을 찾아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는 장소성이 중요하다. 어느 장소에서 경험하느냐가 중요하다. 미술, 음악, 건축, 사진, 디자인 분야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 국악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국악 하면 따분하고 지루하다고 여기는데, 국악을 직접 현장에서 들었을 때 그것도 한옥에서 하는 공연을 보았을 때국악이 이렇게나 아름답구나 하고 느꼈다는 것. 이것은 바로 그 장소와 아 름다움이 접목해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미술도 마찬가지다. 책으로 아무리 보아도, 해설을 아무리 읽어도 미술관에 가서 또는 전시회에 가서 보는 것만 못하다는 것. 자신의 눈으로 현장에서 봤을 때 새로운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는 것,

 

건축의 경우에는 이런 말이 기억에 남는다. 좋은 건물에서는 데이트가 잘 된다는 말. 좋은 건물이 내뿜는 그 무엇이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준다는 것. 아름다운 것 사이에 사람들이 있을 때와 추한 것들 사이에 있을 때 사람들 관계가 같을 수는 없다는 것을 생각하게 한다.

 

그러니 우리는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는 말을 하는 것 아니겠는가. 우리가 일상에서 쓰는 생활용품들에서도 이러한 아름다움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 그것이 바로 디자인이 하는 역할이다.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우리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아름다움을 자신의 외부에서만 찾으려 해서는 안된다. 우선 아름다움을 느끼려면 자신의 삶에 여유를 두어야 한다. 삶의 여백이 없으면 아름다움이 들어올 공간이 없다. 그러니 심미안을 기르는 것은 전적으로 개인에게만 책임을 두어서는 안된다.

 

사회적으로 개인이 삶에 여백을 둘 수 있게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그 다음에 그런 여백을 아름다움을 찾는 것으로 채우게 해야 한다. 그래야 우리 삶 도처에 있는 아름다움이 우리에게 들어올 수 있다.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눈, 심미안이 길러질 수 있다.

 

이 책, 심미안 수업을 읽으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물론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해서 먼저 생각하고 행동해야 하겠지만, 사회 역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데서는 큰 책임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