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비잠 (한글판) - 시극 나비잠
김경주 지음 / 호미 / 2016년 7월
평점 :
품절


작품 자체가 몽환적이다. 이런 표현이 어울릴지 모르지만 현실에서 벗어나 마치 꿈 속을 유영하는 이야기를 듣는 듯한 느낌을 자아낸다. 한양도성을 축성하는 일. 엄연한 역사적 사실인데, 이 시극은 그 사실을 바탕으로 흐릿한 안개 속에서 도성이 축성되는 듯한 느낌을 준다.

 

무엇 하나 뚜렷하지 않다. 그냥 흐릿하고, 안개에 차 있는 듯한, 달빛에 취해 사람들이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달은 우리를 감상에 젖게 하기도 하지만 그것 못지 않게 우리의 이성을 마비시키고 우리를 현실이 아닌 다른 세계로 데려가 준다던데.

 

그래서 공포영화나 또는 괴기스러운 영화들에서 달은 그 분위기를 고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 작품에서도 마찬가지다. 햇빛의 세계가 아니라 달빛의 세계가 펼쳐진다. 그렇게 김경주의 시극은 내게 다가왔다.

 

손에 모래를 움켜쥐었는데 잡히는 것은 아주 조금이고 나머지는 손가락 사이로 다 빠져나가 버린 듯한 느낌. 분명 한 편의 완결된 시극을 읽었는데 해결된 것이 하나도 없고, 마음에 구멍이 난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그만큼 여운이 크다면 큰 시극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의 말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인간은 인간을 달랠 수 있다. 인간은 인간이 아닌 것도 달랠 수 있다. 운명이란 자신의 삶 속에서 이야기를 비워 가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 이야기는 불면의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그 잠을 달래려면 자장가를 찾아 나서야 했다. (5쪽에서)

 

이 시극에서는 불면의 세계가 펼쳐지고 있다. 잠을 자지 못한다. 잠을 잘 수가 없다. 잠을 자지 못하는 것만큼 큰 결핍이 어디 있겠는가. 잠이 시간을 빼앗아간다고 생각하겠지만 잠이 없으면 인간의 생명도 없다.

 

그러니 불면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고통은 말할 것도 없다. 불면의 세계에 살고 있는 사람들. 이 사람들은 달의 세계에 속한 사람들이고 밤의 세계에 속한 사람들이다. 흐릿한 안개, 무언가 실체가 분명하지 않은 세계를 살고 있는 사람들.

 

그래서 권력을 쥐고 있는 대목수도 엄마를 잃은 결핍을 지니고 있고, 악공 역시 엄마를 떠난 결핍이, 달래는 잠을 자지 못하고, 울지 않고 웃기만 하는 그런 결핍이, 성을 지키는 병사들 역시 잠들면 안 되고, 살아 있는 여인으로 달래에게 젖을 줄 수 있는 여인으로 노파가 나와 젖이 나오지 않는 결핍을 보여주고 있으니...

 

이 세상은 결핍이 없는 인간이 없음을, 누구나 결핍을 지니고 살아가고 있음을, 그런 결핍을 시극에서는 불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을까 싶다. 당연히 있어야 할 것인데 가질 수 없는, 당연함이 당연하지 않음이 된 세계. 이 세계가 바로 불면의 세계다.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길이 있는가? 결핍을 감추려고 하면 해결이 될까? 아니다. 결핍을 가리려고 한다고 해도 결코 가려질 수 없다. 결핍은 인정해야 한다. 그것을 인정하고 그 다음으로 가야 한다. 그래야만 해결할 수 있다. 어쩌면 이 시극은 우리가 감추려고 하는 결핍을, 불면의 세계를 살아가는 사람들을 통해 보여주려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결핍을 드러냄으로써 결핍을 채워나갈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 결국 달래의 피로 비가 내린다. 불면의 세계를 이 시극의 사람들은 가뭄으로 겪고 있었는데... 비가 내리면서 시극이 끝난다는 것. 누군가의 죽음이 다른 사람에게는 삶이 된다는 것. 그것은 바로 결핍을 가리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결핍을 인정한 상태에서 더 나아가야 한다는 것.

 

바로 모성이다. 어머니다. 달래는 그래서 모든 이의 어머니가 된다. 어머니는 자신을 채움으로써가 아니라 비움으로써 자식들이 잘 살아갈 수 있게 한다. 메마른 땅에 비를 내려주는. 본인 스스로 결핍덩어리인 달래가 그 자신으로 다른 사람을 충족시켜 준다. 즉, 시인이 말한 것처럼 채워넣는 것이 아니라 비움으로써 다시 채우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다시 작가의 말로 돌아온다.

 

시극은 이야기에 속살이 찌는 것을 밀어낸다. 배를 밀 듯 언어를 대양까지, 문 바깥으로 내보내야 한다. (5쪽)

 

대양을 여행하는 것은 그 다음 몫이다. 이 시극, 작가는 잘 밀어냈다. 밀어낸 시극의 배를 타고 여행하는 것은 우리의 몫이다. 그런데 이 여행은 단순명료하지 않다. 온갖 안개와 풍랑과 암초를 만나는 여행이 될 것이다. 그것 역시 결핍이다. 그런 결핍을 인정하고 떠나야만 여행의 맛, 멋을 알 수 있다.

 

아직 목적지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아니 목적지가 없는지도 모른다. 내게 김경주의 시극은 그냥 바다를 떠다니는 배에 타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있다. 대양에 떠 있는 배에 내가 있다. 나비잠, 아직 내겐 자장가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