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뒤숭숭하다. 뒤숭숭 정도가 아니라 위협을 느낄 정도다. 서양 어느 학자가 말한 위험 사회를 넘어서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코로나 19라는 사상 초유의 감염병으로 전세계가 환란에 처해 있고, 단순히 질병이라는 직접적인 원인 말고도 이 질병으로 인해 다른 일들도 어려움에 처해 있다.

 

  감염병만이 문제가 되면 어떻게든 모든 지혜를 그쪽으로 집중해 해결하려고 할텐데, 우리는 분단이라는 특수상황으로 인해 더한 고통을 받고 있다.

 

  그나마 화해 분위기로 가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올해 들어 예전으로 돌아가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시 긴장의 시대로 들어서면 우리들 삶은 더욱 피폐해질 것이다.

 

이럴 때 그나마 시를 읽으며 마음의 위안을 받는다. 박준의 시를 읽으면 세상의 잡다한 갈등들을 잠시 잊고 따스한 세계로 들어서게 된다. 그렇게 시를 통해 위안을 얻는다. 어려운 시대일수록 마음을 위로해주는 시가 필요하다는 생각. 박준의 시를 읽으며 생각한다.

 

이 시집에 실린 시들 대부분이 따스하다. 작은 일에도 마음이 움직이고 그 움직임이 공감을 동반하고 있다. 시집 제목을 보라. '함께'라는 말이 나온다.

 

홀로 외로이 있는 것이 아니라 외로운 상태에서도 함께 할 수 있는 것.

 

'가을의 말'(58-59쪽)이라는 시에서 이런 구절이 나온다.

 

외롭지? 그런데 그건 외로운 게 아니야 가만 보면 너를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 그 사람도 외로운 거야 혼자가 둘이지 그러면 외로운 게 아니다, (박준, 가을의 말 부분)

 

이렇게 박준 시집에는 함께 하는 장면이 많이 나온다. 홀로 있더라도 먼 과거에 떠난 존재도 그 자리에 불러온다. 그렇게 함께 지낸다. 이 함께라는 말 얼마나 좋은가. 인간은 홀로 설 수밖에 없는 존재라고 하지만, 그렇기에 함께 있으면 더욱 좋은 것이 인간이다. 자신과 함께 있을 사람을 갈구하는 것.

 

이 시집 첫시는 '선잡'이다. 함께할 때 서투를 수 있다. 선잠은 깊게 든 잠이 아니지 않은가. 다른 사람이 만나 함께 할 때 우리는 서투를 수밖에 없다. 이 서투름을 인정하고 함께 가는 것. 그게 인간의 길이다. 우리를 따스하게 하는 인간의 길.

 

코로나 19를 이겨내는 것도 바로 이런 서투름들을 받아들이는 함께일 테고, 남북관계를 평화로 이끌어가는 것도 서로의 서투름을 인정하고 거기에서 출발하는 것 아닐까 한다. 마치 이 시집에 나오는 시 '선잠'처럼.

 

  선잠

 

그해 우리는

서로의 섣부름이었습니다

 

같은 음식을 먹고

함께 마주하던 졸음이었습니다

 

남들이 하고 사는 일들은

우리도 다 하고 살겠다는 다짐이었습니다

 

발을 툭툭 건드리는 발이었다가

화음도 없는 노래를 부르는 입이었다가

 

고개를 돌려 마르지 않은

새 녘을 바라보는 기대였다가

 

잠에 든 것도 잊고

다시 눈을 감는 선잠이었습니다

 

박준, 우리가 함께 장마를 볼 수도 있겠습니다. 문학과지성사. 2018년. 초판 2쇄. 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