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페미니스트 - 식민지 일상에 맞선 여성들의 이야기
이임하 지음 / 철수와영희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보아서는 조선시대 여성들 이야기인 줄 알겠다. 조선의 페미니스트라는 제목을 붙였으니,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다. 조선이라는 이름이 언제까지 불렸나? 일제강점기가 되고 사라진 이름인가 하면 아니다. 일본인은 조선인을 조센징이라고 불렀으니까. 

 

남북이 분단되고 정부가 들어서기 전까지 조선이었을 것이다. 조선공산당. 그러다가 조선공산당이 남조선노동당과 북조선노동당으로 갈라서니까, 해방 정국까지도 우리는 조선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었다.

 

이 책에서 말하는 조선은 바로 여기까지다. 해방 정국까지. 그 이후의 일은 없다. 없는 것이 아니라 알려지지 않았다. 또 이들 중에 역사에서 지워진 인물들도 많다. 그들이 빛을 발한 것은 해방 정국까지다. 

 

그렇다면 해방 정국에서 빛을 발했던 사람들은 누구일까? 어떤 인물이기에 여성으로서 해방이 된 뒤 이름을 내세울 수 있게 된 것일까 이런 생각을 지닐 수 있다. 당연한 질문이다. 식민지에서 해방이 된 나라에서 나름대로 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사람은 독립운동을 했던 사람일 수밖에 없다.

 

독립운동가들... 여기에 여성 독립운동가들... 여성이라는 말을 앞에 붙여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하지만 여성이라는 말을 꼭 붙일 수밖에 없는 것은, 그들이 활동에 비해서 잘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시적으로 여성이라는 말을 앞에 붙이기로 하자. 그렇게 붙일 필요를 전혀 느끼지 못하는 세상이 아직은 오지 않았다는 씁쓸한 마음을 되새길 수 있게.

 

솔직하게 말하면 여성 독립운동가를 대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인물은 유관순밖에 없다. 최근에 영화로도 알려졌고 또 여러 책에서 언급한 사람들도 있지만, 퍼뜩 머리에 떠오르지는 않는다. 그만큼 그들은 해방이 된 이후 많이 가려져 있었다고 해야 한다.

 

이 책에서는 일곱 명의 여성을 들고 있다. 일곱 명의 이름을 적어본다. 몇 사람이나 알고 있는지?

 

유영준, 정종명, 정칠성, 고명자, 허균, 박진홍, 이순금

 

각자 자신이 선 자리에서 최선을 다했던 사람들... 이들은 모두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을 한 사람들, 해방 이후에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이들이 말하는 민주주의는 여성들이 독립된 존재로 인정받고 살아가기 위한 기본적인 사회 구조다. 즉 남성과 여성이 또는 다른 성이 서로 대립하는 사회, 또는 어느 성이 다른 성에게 종속되어 사는 사회가 아니다. 

 

그만큼 일상에서의 평등을 이루기 위해 이들은 사회 개혁을 추진하고자 했다. 조선이라는 사회, 일제강점기라는 시대는 여성들에게 억압과 착취, 불평등한 사회였기 때문이다. 그런 사회구조를 그냥 놓아두고 여성들도 남성들과 동등한 존재라고 주장하는 것은 힘을 지니지 못한 헛된 구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들, 지금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유야 여러 가지겠지만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 중 대부분은 월북을 했기 때문이다. 또 죽음을 당했기 때문이다. 이들의 말년이 어떻게 되었는지 제대로 알려져 있지 않은 이유가 바로 분단에 있다는 것, 분단으로 인한 갈등이 같은 이념을 지닌다는 북쪽에서도 사상투쟁을 거쳐 숙청이라는 형태로 나타났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그렇게 지금은 많이 잊혀졌지만 이들이 한 노력이 물거품이 된 것은 아니다. 어디 역사가 한방에 변했던가. 이런 활동들이 쌓이고 쌓여 결국 어느 순간에 폭발적으로 변하지 않았던가. 그러므로 우리는 이들을 기억해야 한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나름대로 씨를 뿌렸던 이들의 활동을.

 

이 책이 소중한 이유가 그것이다. 페미니즘에 대해서 논란이 많지만, 그런 논란 자체도 바로 페미니즘의 일부라는 사실을 이 책을 읽으면 느낄 수가 있다. 같이 활동을 해서 검거가 되어도 언론은 남성들에게는 절대로 쓰지 않았을 기사를 여성들에게는 아무렇지도 않게가 아니라 악의적으로 오도하는 기사를 쓴다.

 

독자들의 흥미를 끌려는 목적도 있지만 여성들의 활동을 폄훼하려는 의도도 다분히 있는 것이다. 지금도 이런 기사들이 종종 나는데... 일부 언론은 일제시대 언론의 관행에서 한 발짝도 더 나아가지 않았다는 생각을 한다. 언론의 그런 태도는 이 책 '박진홍, 이순금' 편에 너무도 잘 나와 있다.

 

'식민지 일상에 맞선 여성들의 이야기'라는 작은 제목을 달고 있는데, 식민지 일상은 바로 여성들에게는 이중 억압이다. 식민지로서의 억압과 가부장제가 일상에서 작동하고 있다는 것에서의 억압. 이런 이중의 억압을 끊는 길은 눈에 띠는 사회적인 억압에 대항하면서 얼핏 가려진 것처럼 보이는 일상에서의 억압을 함께 끊으려고 해야 한다. 이중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니 식민지 시대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더 힘든 활동을 할 수밖에 없다. 여기에 대중들의 시선이 곱지 않았을 테니 더더욱 힘들었을 거고.

 

그것을 이겨내려 했던 사람들이 바로 이들이다. 이들의 활동을 각 편 제목에서 간결하고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유영준(1890-?) : 여남평등 이룩하여 평등조선 건설하자!

정종명(1896-?) " 여성들이여! 분노하라 그리고 경제적 독립을 쟁취하라!

정칠성(1897-1958?) : 사람이 있고 운동이 있다

고명자(1904-1950?) : 우리 자신의 해방은 우리 힘으로

허균(1904-?) : 부인 노동자에게 해방의 혜택이 무엇인가

박진홍(1914-?) : 십 년 감옥살이를 빼면 이제 겨우 스물세 살이라니까요

이순금(1912-?) 여성 대중은 민족해방운동을 위해 열심히 싸웠다

 

이들의 이름 뒤에 출생년도와 사망년도를 쓴 이유는 바로 물음표(?)에 있다. 일곱 명 모두 물음표(?)가 있다. 이 중에 사망한 년도가 그나마 추측 가능한 사람이 두 명. 나머지 다섯 명은 잘 모른다. 왜? 바로 이 글 제목에 그 이유가 있다.

 

조선부녀총동맹... 저자는 이렇게 말한다. '[조선의 페미니스트](1권)은 조선부녀총동맹에서 활동했던 여성들을 출발점으로 삼았다.  ... 해방공간의 식민지 일상을 바꾸고자 했던 여성들의 삶을 알고 싶었다.'(13쪽)고.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상을 지닌 사람들. 남과 북 어디에서도 제대로 자기 자리를 잡지 못한 사람들. 그럼에도 우리 사회가 발전하도록 한 발 앞서 나선 사람들. 그들이 이렇게 영원히 물음표(?)로 남아서는 안 된다는 생각이다.

 

우리 역사에 있는 수많은 물음표(?)들을 이제는 사라지게 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