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 장미 문학동네 청소년문학 원더북스 13
캐서린 패터슨 지음, 우달임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동자 파업을 경원하는 시대가 있었다. 이렇게 과거형으로 이야기하고 싶다. 파업이 노동자들이 지닌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파업이라는 말을 떠올리면, 불법, 과격, 폭력을 함께 연상한다. 그렇게 우리나라 노동자들은 파업도 마음대로 하지 못했다.

 

이게 우리나라 노동자들이 겪어왔던 일이다. 그런데 이게 우리나라 노동자들만이 겪었던 일일까? 아니다. 전세계 노동자들이 산업혁명 초기에 겪었던 일이다.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이런 일을 겪고서 노동조합을 파트너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그 전까지는 노동자는 파트너가 아니라 시키는 대로만 해야 하는 그런 존재였을 뿐이다.

 

이 소설은 20세기 초에 미국에서 일어난 파업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노동자들이 임금삭감에 반대해 파업을 하고, 그것을 지켜보는 어린이의 시각으로 소설이 전개된다. 그래서 일방적인 노동자들의 요구가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조마조마한 심정으로, 가족이 혹시 다치지나 않을까 두려움에 싸여 있는 아이의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노동자들에게 빵은 당연히 필요하다. 먹고 살기 위해서 노동을 하니까. 그런데 사람이 빵만으로 살 수가 있을까? 사람다움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런 삶을 살기 위해서는 장미도 필요하다. 그래서 노동자들은 파업 피켓에 이렇게 쓴다.

 

"우리는 빵을 원한다, 그리고 장미도!"

 

하지만 파업은 힘들다. 가진 것이 없는 노동자들이 가진 것이 많은 자본가와 싸우기 위해서는 많은 것이 필요한데, 그 중에 제일 필요한 빵이다. 먹을 것이다. 먹을 것이 없으면 오래 싸우기 힘들다.

 

소설에서도 마찬가지다. 특히 가진 것이 없는 노동자들이 파업을 할 때 고통받는 것은 아이들이다. 아이들에게 굶주림은 고통 그 자체이다. 부모들이 왜 파업을 하는지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당하는 굶주림은.

 

빵만큼 필요한 것이 연대다. 노동자들의 연대. 소설에서는 다른 지역의 연대가 나온다. 아이들에게 휴가를 주라고, 자신들이 파업하는 기간 동안에 돌보겠다고.

 

그리고 이 아이들에게는 빵만이 아니라 사랑이, 그리고 장미에 해당하는 교육이 제공된다. 노동자들의 연대로.

 

파업을 반대하는 아이의 관점에서 소설이 전개되지만, 소설이 전개될수록 가족들을 걱정하는 마음과 다른 지역의 노동자들이 연대하는 모습, 파업을 잔인하게 진압하려 하는 자본가들의 모습이 드러나면서 서서히 파업에 대한 인식이 바뀌어간다.

 

여기에 어린 시절부터 노동할 수밖에 없었던 남자 아이가 함께 등장해 당시의 모습을 드러내고, 노동자로 성장해가는 모습도 표현되어 있다.

 

아직도 노동자들이 빵과 장미를 함께 누린다고 할 수 없다. 정규직과 비정규직이라는 구별이 생겼고, 법원 판결에도 불구하고 직장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노동자들도 많다. 지금도 아직 빵을 얻지 못한 노동자들이 있는 상태.

 

빵만이 아니라 장미도 함께 노동자들의 삶에 들어와야 하는데... 오래 전 일을 다룬 소설을 통해서 지금을 생각하게 된다. 빵과 장미가 필요한 건 노동자들만이 아니다. 우리 인간들 모두의 삶에 필요한 것이라는 생각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