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시집의 핵심은 '자서(自序)'다.

 

  '시처럼 살고 싶은데 잘 안 된다. / 세상이 너무 걸리는 게 많기 때문이다. // 운명적인 것은 어느 날 문득 찾아오고……/ 가버린 날들은 그냥 바라만 봐야 한다. / 오랜만의 시집도 위안이 되지 못한다. // 먼 바다로 가 수평선이나 봤으면 좋겠다.'

 

  시처럼 살고 싶어하는 사람이 많아지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러면 그동안 보이지 않았던 존재들을 볼 수 있는 눈을 가질 테고, 무심하게 지냈던 마음에 무언가를 채울 수도 있을 것이다.

 

  시처럼 살고 싶어하는 사람이 꼭 시처럼 살 수는 없다. 그럼에도 그런 마음들이 삶을 시에 더 가까이 가게 한다. 삶들이 시가 될 수 있다.

 

시가 이슬처럼 찰나에 존재할지라도, 그 찰나에 사람에게 다가온다. 그런 존재, 그것이 바로 시여야 한다.

 

박찬 시집을 읽었다. 앞부분에 짧은 시들, 해탈이라고 할 수 있는 내용들이 시집 앞부분에 있고, 뒷부분에 가면 사랑을 노래하는 시들이 있다.

 

시는 곧 사랑이고, 해탈이다. 지금-여기에서 다른 곳을 바라보고, 꿈꾸는 것, 그것이 바로 시다. 그래서 시는 이슬처럼 우리에게 다가오기도 한다.

 

박찬의 시 '먼지 속 이슬'을 읽다.

 

  먼지 속 이슬

            - 화염길 그후

 

큰스님 오르시는 길, 비가 내린다

빗속에도 꺼지지 않는 파아란 불길.

하늘로 올라 이슬이 되어 먼지 위에 내려앉으시다.

 

박찬, 먼지 속 이슬, 문학동네. 2000년. 12쪽.

 

세상에 왔다가 떠나시는 큰스님. 오르는 길에 비가 내리지만 비는 불길을 꺼뜨리지 못한다. 그러나 큰스님은 그냥 오르기만 하지 않는다. 다시 내려오신다.

 

먼지 위에 살포시 이슬로 내려오신다. 그렇게 큰스님은 우리 곁을 떠나도 늘 우리 곁에 있다. 이것이 바로 시다.

 

그런 생각을 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11-20 09: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kinye91 2019-11-20 10:37   좋아요 0 | URL
유레카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학교 졸업, 시험 끝이 곧 시를 읽지 않는 시작과 일치하는 경우가 많으니, 그런 풍토가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시험용 시가 아닌, 내 삶을 풍요롭게 하는 시라는 인식을 하면 그렇게 되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