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러비드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16
토니 모리슨 지음, 최인자 옮김 / 문학동네 / 201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토니 모리슨이 타계했다. 외국 작가들에 대해서 별 관심은 없었지만, 우리나라 언론이 다룬 작가들은 꽤 알려진 작가라는 생각, 그리고 토니 모리슨에 대해서는 이름을 들어본 적이 있었기에, 타계 소식을 듣고 모리슨이 쓴 작품을 읽어 본 적이 없다는 것에 생각이 미쳤다.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 작품은 예의상(이런 말을 하는 것보다는 호기심에... 도대체 노벨문학상을 받는 작품들이 어떤지 알고 싶다는 그런 마음) 읽어보곤 했는데, 어째서 이 작가 작품은 읽어본 적이 없을까?

 

아마도 편견 때문이었을 것이다. 흑인 작가라서, 흑인들의 비참한 삶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 어쩌면 먼 과거의 이야기를 읽는다는 느낌을 받지 않을까 하는, 이미 과거 속으로 사라진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있지 않을까 하는 그런 선입견이 작동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흑인에 관한 이야기가 과거라고? 이미 지나간 이야기라고, 아니다... [헬프]라는 영화나 [히든 피겨스]라는 영화 또는 책이 다 흑인들이 겪어야 했던 과거를 다루고 있지만, 그것이 아주 먼 이야기, 과거 속에만 존재하는 이야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너무도 많은 과거가 있지만(이런 표현은 이 책에도 나온다), 이들이 언제든 과거에만 갇혀 살아서는 안 된다. 이들에게는 그 과거는 현재를 살아가는데 방해가 되어서는 안 되고, 또 미래를 살아가는데도 장애물로 작용해서는 안된다.

 

이 소설을 읽으며 그런 생각을 했다. 주인공은 '세서'가 살고 있는 집에 두 사람이 방문한다. 순차적으로. 한 사람은 과거 백인 주인의 집에서 함께 살았던 '폴 디', 또 한 사람은 자신이 죽인 딸이라고 추정하는 '빌러비드'

 

둘 다 과거와 관련된 인물이지만, 이들이 세서를 대하는 태도는 다르다. 폴 디는 미래로 나아가는, 즉 현재에 충실하게 살아가게 하는, 세서를 사회로 나서게 하는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그와 함께 세서는 페쇄된, 유령이 나온다고 하는 124번지 집에서 나오게 되는데, 바로 이때 빌러비드가 등장한다.

 

밖으로 나오려는 세서를 다시 안으로 몰아가는 인물. 빌러비드와 폴 디는 함께 할 수 없다. 결국 폴 디가 쫓겨나고 세서는 빌러비드와 함께 집 안에만 있게 된다. 직장도 그만두게 되고... 계속 자신의 과거를 끄집어내 이야기하게 된다.

 

현재 함께 살아가고 있는 딸 덴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수많은 과거를 현재에 하나하나 반추하면서 살아가는 세서는 점점 약해질 수밖에 없다. 과거 속에 갇힌 인물은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세서를 구해주는 인물은 바로 딸 덴버다. 이대로 가다가는 죽어버릴 수밖에 없다고 느낀 덴버가 어려운 발걸음을 떼고 밖으로 나온 것.

 

덴버가 밖으로 나옴으로써 안에 갇힌 세서의 일이 알려지고 결국 세서는 빌러비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자신을 옭아매던 과거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 그렇다고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그것은 지극히 힘든 일이다. 그럼에도 희망은 있다. 소설은 그 희망을 이야기한다.

 

빌러비드에 의해 쫓기듯이 나갔던 폴 디가 다시 돌아와 세서를 돌보겠다고 한 것. 집 안에만 있다가 밖으로 나온 덴버가 이제는 어엿한 사회생활을 하게 된 것. 물론 여전히 갈 길은 멀지만...

 

환상적인 장면과 현실적인 장면이 겹쳐지면서 소설은 묘미를 더해가는데... 세서의 삶을 통해, 또 폴 디의 삶을 통해서 남북전쟁 전후를 살아가는 흑인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들을 만날 수가 있다.

 

백인 주인에게 잡혀가게 하느니 자신의 손으로 자식을 죽이겠다는 세서의 행동을 중심으로 소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고 할 수 있는데... 착한 백인, 나쁜 백인으로 구분할 수 없다.

 

인종차별주의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좋은 주인으로 나오는 가너도 결국은 백인일 뿐이며, 흑인들의 탈출을 돕는 보드윈에게 세서가 달려드는 것도 그런 이유때문이다.

 

개인의 좋고 나쁨으로 흑인들의 삶이 행복하다 말다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보드윈은 노예제를 반대한다. 그래서 흑인들의 탈출을 돕는다. 이런 사람에게 달려드는 세서의 행위는 특정 개인에 대한 분노가 아니라 노예제, 인종차별제에 대한 분노를 표출하는 것이다.

 

그것이 가해자에게 분노를 폭발하기보다는 자기 자식들에게 해를 가하는 쪽으로 행했던 과거의 행동과는 달라진 것이다. 세서가 현재를 살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는 것이 바로 이 결말 쪽의 행동이다.

 

그렇다고 자식을 죽인 세서의 행동이 정당화될 수 있을까? 우리나라 영화 [황산벌]의 마지막 장면에 계백이 아내와 자식들에게 노예가 되느니 차라리 죽으라고 하는 장면에서, 아내가 거부하고, 결국 계백이 칼을 휘두르는 장면이 나오는데...

 

[황산벌]과 이 소설이 지닌 차이는 계백은 죽어서 더이상 고통을 받지 않는다. 자기 손으로 죽인 가족에 대한 고통을, 하지만 이 소설에서 세서는 살아 있기에 계속 고통을 받는다. 주변 사람으로부터, 또 살아남아 자기 곁에 있는 딸인 덴버에게도.

 

이 장면이 이 소설의 장면과 겹쳐지면서 여러 생각을 하게 한다. 자신이 겪었던 인간 이하, 동물처럼 취급당했던 일들을 자식들이 겪에 할 수 없다는 절박한 생각. 그 생각에 백인에게 끌려가게 하느니 차라리 죽어서 함께 저 세상에서 살자고 하는 몸부림.

 

그렇게까지 나아가게 했던 노예제의 비극. 흑인들이 몸으로 겪어야 했던 결코 잊을 수 없는, 사라지지 않는 고통들. 그 고통들을 소설은 전달하고자 한다. 독자들에게 그 고통이 전해졌을 때 읽는 이는 형식적인 노예제는 사라졌지만 암암리에 벌어지고 있는 인종차별이 노예제와 별로 다르지 않음을 깨닫게 된다.

 

그러한 차별이 극한의 고통으로 몰아가게 됨을, 그래서 쉽게 과거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함을, 우리는 이 소설을 읽으며 흑인들이 옛날에 참 힘들게 살았구나 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지금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고 있는 차별들이 이 소설의 주인공들이 겪어야 했고, 또 지니고 살아야 했던 고통과 같을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나라는 개인이 아니라 우리라는 집단이 알게모르게 차별을 조장하고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아야 한다. 나는 착한 쪽이라고 면죄부가 주어지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소설을 통해서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