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코르 디카詩 한국문학 명저총서
이상옥 지음 / 국학자료원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라딘에서 '디카시'로 검색해 본다. 과연 디카시가 하나의 장르로 자리매김했는가를 살피는 방법이다. 하나의 장르로 디카시가 자리잡았다면 검색했을 때 많은 책들이 있어야 한다.

 

'디카시'라고 치고 검색을 하니 제법 많은 시집들이 디카시집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온다. 이젠 디카시는 시의 하위 장르로 자리를 잡았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이렇게 디카시라는 장르가 자리를 잡게 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한 사람이 바로 이상옥이다.

 

처음으로 디카시라는 말을 썼고, 또 디카시에 관한 잡지들을 냈으며, 지방이나 서울에서 디카시 축제를 열기도 한 사람이니, 그의 작품을 시발로 해서 많은 디카시들이 창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디카시는 사진과 시가 화학적 작용을 해서 하나로 융합한 장르다. 시 따로 사진 따로 놀거나, 시나 사진 중 어느 하나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아닌, 시와 사진이 합쳐져 다른 존재로, 즉 디카시라는 존재로 재탄생하는 것이다.

 

그러니 디카시는 새로운 존재가 된다. 이 책에서는 디카시에 대한 많은 논의를 모아놓았다. 이상옥 시인이 그동안 디카시에 들인 노력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는 글들이다.

 

그 중 하나, 디카시를 이렇게 이야기한다.

 

디카시는 시인의 상상력이 아닌, 자연이나 사물의 상상력, 즉 신의 상상력으로 시적 형상이 구축되어진, 아직 문자언어의 옷을 입지 않은 '날시(raw poem)'를 디지털카메라로 찍어서 그 형상을 문자로 재현할 때 완성되는 것이다. (52쪽)

 

자연이나 사물이 말을 걸어오고, 그것을 사진으로 찍어서 걸어온 말을 시로 표현하는 것, 이것이 바로 디카시다. 그러니 사진이 먼저 있고, 시가 나중이라는 말은 성립되지 않는다. 자연이나 사물에서 느끼는 감정을 사진과 시로 표현하는 것이다.

 

문자에 갇힌 시가 아니라 문자를 넘어선 시, 그것이 바로 디카시다. 무엇보다 스마트폰이 우리 삶에서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로 자리잡은 지금 시대에는 디카시는 우리 삶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나에게 말을 걸어오는 대상이 있다면 언제든지 사진을 찍을 수 있고, 그 말에 대해서 문자로 표현을 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보내면 되니 말이다. 이것이 디카시가 지닌 장점이다. 그러니 디카시의 문자 표현은 짧다.

 

물론 길수도 있지만 짧게 표현했을 때 더 효과가 크다는 생각이 든다. 즉 사물이 내게 걸어오는 말의 울림을 짧을수록 더 잘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디카시의 운율은 시조의 운율을 닮아간다고 한다.

 

시조는 짧은 길이 속에 많은 것을 담고 있는데 (평시조가 3장 6구 45자 내외라고 하니, 짧다.) 디카시 역시 한 컷의 사진과 문자 표현 속에 많은 것을 담을 수가 있는 것이다.

 

이렇게 디카시와 친해지면 주변을 잘 살피게 된다. 주변의 모든 것이 디카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디카시를 쓰는 사람은 자연이나 사물과 사람의 매개자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 디카시가 정립되기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시가 너무 난해해지는 이때 우리 삶 속으로 시를 데려올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디카시를 쓰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9-09-03 09:0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9-09-03 10:24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