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학자의 식탁 - 식물학자가 맛있게 볶아낸 식물 이야기
스쥔 지음, 류춘톈 그림, 박소정 옮김 / 현대지성 / 2019년 6월
평점 :
절판


기술이 발전할수록 자연에 대한 향수도 깊어진다. 사람이 자연과 떨어져 살 수는 없지만 어느새 우리는 자연은 자연, 우리는 우리라는 식으로 살아가면서 아련한 그리움으로만 자연을 대하는지도 모른다.

 

이 책 제목을 보면서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수많은 식물들에 대한 이야기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무론 책장을 몇 장 넘기지 않아 그런 생각이 잘못되었음을 알게 되었지만.

 

"나는 자연인이다"라는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보면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수많은 식물들이 나온다. 그것들이 자연에서 살아가는 사람에게 얼마나 도움이 되었는지를, 온갖 효용을 들이대면서 식물들의 이로운 점을 말해준다.

 

자주 가는 음식점 벽에 이런 말이 쓰여 있다. 약식동원(藥食同源). 약과 밥은 근원이 같다는 말로 풀이되는 말. 그러니 먹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하라는 말로 받아들였는데...

 

이 먹을거리로 병도 치유한다고 하니, 얼마나 좋은가? 얼마나 좋은 약효를 지닌 식물들이 이 책에 나올 것인가 하는 기대로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읽으면서 곧 이건 아니구나 하는 후회를 하게 되었다.

 

우선 이 책은 중국인이 쓴 책이다. 그러니 중국 식물이 많이 나올 수밖에 없다. 중국 식물이라고 해서 무슨 국경이 있어 우리나라 식물과 완전히 다른 존재는 아니겠지만, 신토불이(身土不二)라는 말이 공연히 있는 것은 아니지 않은가.

 

같은 식물이라도 어느 토양, 어떤 환경에서 자라느냐에 따라 성분이 좀 달라지지 않을까 하는 과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은 생각을 하기도 하지만, 문제는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식물 이름들이 너무도 낯설다는 것이다.

 

중국말로 식물을 이름지어 부르고 있으니, 알 수가 있나. 가령 첫식물은 은행이다. 이 은행이야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보고 또 먹기도 하니, 별 문제가 없는데, 은행 바로 다음에 나오는 식물 이름이 용규(龍葵)다. 자, 용규가 무엇인가? 알 수 있겠는가? 모른다. 한자로 표기해 놓아도 도무지 알 수 없는 이름이다. 밑에 주를 달았는데... 아주 작은 글씨로 까마중이라고 되어 있다. 아하, 용규가 까마중이구나. 그냥 제목을 까마중이라고 하고, 괄호 안에 용규라고 하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이런 이름들이 주욱 나오니 읽어도 눈에 확 들어오지 않는다. 이런 점이 많이 아쉬웠는데... 이런 책은 번역이 아니라 번안을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과 그림도 있지만, 사진 자료를 더 첨부했으면 훨씬 이해하기 쉬웠으리라는 생각을 하면서 읽었다.

 

그럼에도 새로운 사실을 아는 즐거움이 있는데... 자, 중국어로 미후도(獼猴桃)라는 식물을 아는가? 중국 태생인데 외국에 나가서 더 유명해졌다가 다시 요즘에는 중국에서도 인기를 얻고 있는 식물이라고 하는데...

 

중국에 흔하게 있었으나 원숭이나 먹는 과일이라고 해서 미후도라는 이름이 있다는 이 과일은 바로 키위다. 키위 하면 뉴질랜드를 생각하고, 그곳이 원산지라고 생각하는데, 이 책을 통해서 키위의 원산지는 중국이고, 뉴질랜드에서는 중국에서 종자를 가져다 성공적으로 재배했다는 것을 알게 됐다. 물론 중국 학자가 쓴 글이니 그 점을 참조하더라도.

 

 그해(1904년) 이사벨은 델리시오사의 종자 한 봉지를 뉴질랜드로 가져갔다. 그녀가 가져간 종자는 미후도 세 그루로 자라 순조롭게 개화하고 열매를 맺었다. 이 세 그루가 현대의 미후도 산업을 일으킬 줄이야! 현재 전 세계 키위 공급량의 80%를 차지하는 품종인 헤이워드가 바로 이 델리시오사 세 그루의 후손이다.  (206쪽)

 

  1960년대 이전까지 델리시오사는 서양인들에게 '이창 구스베리 - 이창은 중국 후베이성 남부에 위치한 도시-' 또는 '차이니즈 구스베리'로 불렸는데, 썩 맛있는 과일처럼 들리지는 않았다. 미후도라는 속칭은 더 수준 미달이었다. 양도, 귀도, 후도라는 이름 중에서도 맛있고 고급지다는 이미지를 떠올리게 만드는 이름은 없었다. 과일 상인들은 필히 새로운 이름을 지어야만 했다.

  그래서 맨 처음 작명을 위한 브레인스토밍 과정에서, 미후도의 상품명을 '꼬마 멜론(Mellonette)'으로 정하자고 제안한 사람이 있었다. 소리가 맑게 울리기도 하고 사람들이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괜찮은 이름이었다. 하지만 이 이름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는데, 바로 과(瓜)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는 것이었다. 당시 국회에서는 수입한 과류 과일에 중과세를 징수했는데, 과일 상인들은 이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었다. 별로도 진행된 힘겨운 작명 회의를 거쳐 결국 뉴질랜드 국조인 '키위Kiwi'의 이름을 따서 미후도를 '키위 Kiwi fruit'로 부르게 되었다. (212쪽)

 

이런 식으로 새로운 것을 알 수 있다는 장점 외에도 다양한 식물이 음식으로 쓰이고, 그것들이 어떤 효용이 있고, 또 독성이 있는 것은 어떻게 발현되는지도 이야기해 주고 있어서 식물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독성이 있는 식물을 우리가 먹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 과정을 거쳐서 우리가 먹을 수 있는지도 잘 알려주고 있어서 많이 유용하다.

 

다만, 중국어로 식물 이름이 나오고, 전문적인 용어들이 나와 머리 속으로 쏙쏙 들어오지 않는다는 단점은 있다. 그래도 식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또 자연에 들어가 살고 싶어하는 사람이라면 읽어볼 만하다고 생각한다. 아무것이나 막 먹을 수는 없지 않은가. 약식동원이라고 또 몸에 좋은 식물이라고 해도 지나치면 좋지 않으니 말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한번은 참조할 만하다는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