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행의 이유 - 김영하 산문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삶이 여행이라는 비유를 많이 한다. 여행 중에 만난 사람들에게 우리는 어떤 감정을 지니게 될까? 짧은 순간을 함께 하면서 최선을 다하기도 하지만, 앞으로 다시는 볼 일이 없는 사람이라는 생각으로 소홀히 대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삶이 여행이라는 생각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삶은 정착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속되는 무엇, 그것이 바로 삶이라고 생각한다. 여행이 순간적인 것이라면, 삶은 지속이어야 한다는 것, 그래서 삶을 여행에 비유하기도 하지만, 그 비유는 여행이 삶을 좀더 풍요롭게 하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은 소설가 김영하가 쓴 산문집이다. "여행의 이유"
도대체 작가는 여행을 왜 할까에 대한 답을 찾으려 이 책을 펼쳐 들었다. 나는 여행을 왜 하지에 대한 물음과 작가가 생각하는 여행에 어떤 공통분모가 있을까.
작가의 여행과 내 여행이 지니는 교집합은 무엇일까? 이 교집합 뿐만이 아니라 작가가 생각하는 여행을 알게 된다면 내 여행과 합쳐지는 합집합, 즉 여행에 대한 좀더 폭넓은 이해가 생기기 않을까 하는 생각에 읽게 된 책.
그런데 읽으면서 여행에 대한 생각보다는 작가를 알아간다는, 즉 장소에 대한 탐구보다는 사람에 대한 탐구를 하고 있다는 생각을 했다.
예전에 김영하 작가의 작품을 좀 읽다가 최근에는 읽은 적이 없었는데, 이 산문집을 읽으며 김영하라는 사람에 대해서 여행하고 있단 기분을 느꼈다고나 할까.
이 책에 실린 첫글(추방과 멀미)을 읽으면서 인간 김영하에 대한 여행기로 읽게 된다는 느낌을 지녔다. 그의 경험이 드러난, 젊은시절의 삶이 드러난 글이었는데...
이 글의 마지막에서 여행을 이렇게 이야기하고 있다.
기대와는 다른 현실에 실망하고, 대신 생각지도 않던 어떤 것을 얻고, 그로 인해 인생의 행로가 미묘하게 달라지고, 한참의 세월이 지나 오래전에 겪은 멀미의 기억과 파장을 떠올리고, 그러다 문득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조금 더 알게 되는 것, 생각해보면 나에게 여행은 언제나 그런 것이었다. (51쪽)
이런 깨달음에 대해서는 이 책에 실린 '노바디(nobody)의 여행'이란 글에서 잘 드러난다. 우리는 누군가에게 인정받는 '섬바디(somebody)'가 되려고 한다.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 싶어하는 것, 내가 누구인지 알아? 하는 태도... 정치인들이 가끔 막말을 하는 경우, 가끔이 아니라 이들은 기회만 되면 막말을 한다. 좋은 쪽이든 안 좋은 쪽이든 이들은 남들에게 자신을 드러내는 '섬바디'가 되고 싶은 것이다. 그러나 '섬바디'는 이 글에 나오듯이 키클롭스에게 죽임을 당할 위기에 처하는 오디세우스처럼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많다.
늘 '섬바디'일 수 없고, 또 늘 '섬바디'여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행이 필요하다. 여행은 나를 '섬바디'에서 '노바디'로 바꿔주기 때문이다. 아니 내가 '노바디'일 수도 있음을 깨닫게 해주기 때문이다.
즉 여행은 항상 일인칭이었던 나를 일인칭의 자리에서 삼인칭의 자리로 옮겨주는 역할도 한다. 물론 여행을 할 때는 일인칭이라고 생각하겠지만, 내가 주인공인 자리에서 관찰자인 자리로 옮겨가게 하는 것이 여행이기 때문이다.
나는 여행에서 '섬바디'로서가 아니라 '노바디'로서 존재한다. 그런 '노바디'로서의 나를 깨닫는 순간, 내 삶 모두가 여행일 수 있다는 깨달음으로까지 나간다. 즉, 나는 삶이라는 장소에서 수많은 여행자들과 만났다 헤어졌다를 반복하기도 하는, 수많은 존재들 가운데 하나라는 생각.
그리고 여행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나는 나를 내려놓아야 하고 남을 신뢰하고, 그런 나를 환대해주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는 것, 그런 신뢰와 환대가 순환하는 삶이 결국은 우리를 행복하고 풍요롭게 한다는 것.
읽는 내내작가의 여행에 관한 많은 이야기들을 통해 여행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고, 내 여행과 작가의 여행을 합하고, 또 공통분모를 찾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그렇다. 무엇보다도 여행은 작가가 말하고 있는 대로 '오직 현재'다.
과거에 대한 후회와 미래에 대한 불안에서 벗어나 '오직 현재'를 살아가는 일, 그것이 바로 여행이다. 그리고 이런 여행들이 하나하나 모여 삶이 된다. 작가는 정착을 부정하는 듯한 말을 하지만 (이번 생은 떠돌면서 살 운명이라는 것, 귀환의 원점 같은 것은 없다는 것. 이제는 그걸 받아들이기로 한다 - 207쪽) 나는 귀환을 위해 여행을 한다.
내가 돌아올 곳, 돌아왔을 때 이미 달라져 있는 나를 발견하기 위해, 더 잘 정착하기 위해 여행을 한다. 그것이 여행의 이유다. 노마드(nomad)가 아닌 정주민으로서의 삶을 살기 위해.
그러나 저러나 삶이 여행이라는 말을 더 깊게 받아들일 수 있는 책이다. 그래, 이 책에 대한 여행을 떠나는 것도 좋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