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8일, 맑음 - 청소년과 함께 읽는 5.18 민주화 운동 이야기 창비청소년문고 33
임광호 외 지음, 박만규 감수, 5.18 기념재단 기획 / 창비 / 201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은 이렇게 시작한다. 책을 펴내며에서 5.18기념 재단 이사장 이철우는 '더없이 맑을, 우리의 오월을 위하여'라는 제목에서.

 

'1980년 5월 그날, 광주의 날씨는 참 맑았습니다.' (4쪽)

 

이 말만큼 광주를 명확하게 드러내 주는 말이 어디 있을까? 자연은 저리도 맑은데, 저리도 좋은데, 사람들의 삶은 흐림을 넘어 폭풍우가 몰아치는 상황이었으니... 그것도 광주라는 지역에만. 다른 사람들은 그냥 날씨 맑음과 사회 맑음의 차이를 잘 느끼지 못하고 있었을텐데...

 

유독 광주에서만은 그 맑은 날씨에 험악한 사회 날씨를 경험해야 했다. 그러나 그런 험악한 날씨를 경험한 광주는 민주화 운동의 성지가 되었다. 잊을 수 없는 운동이 되었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이어서 이렇게 말한다.

 

'5.18민주화 운동은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군인들이 더 이상 정치에 나설 수 없는 사회, 국민들의 손으로 직접 대통령을 뽑는 사회는 물론 곳곳에 민주주의와 인권이 땅속에 단단히 뿌리 내린 사회를 만드는 데에 큰 보탬이 되었습니다. 그날을 잊지 않고 기억한 사람들은 우리 사회를 좀 더 맑게 만들어 왔습니다.' (4-5쪽)

 

광주민주화운동은 그렇게 우리 사회를 맑게 하는데 기여를 했다. 그런 광주민주화 운동이 우리 기억 속에, 우리 마음 속에 남아 있기에 87민주화 운동이 가능했고, 이런 1987년 시위 속에서도 군이 출동할 수 없는 상태를 만들었으며, 2016년 촛불 시위에서도 평화적으로 대통령의 탄핵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계엄령을 검토했다는 문건이 발견이 되기도 했지만, 80년의 광주처럼 직접 군이 움직일 수는 없는 사회가 된 것이다. 이미 광주민주화운동을 거쳐, 87민주화운동을 경험했으므로.

 

그러니 광주 맑음이 지속되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일이라고 하겠다. 하지만 광주민주화운동에는 여전히 먹구름이 끼어 있다. 이 먹구름을 제거해야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진상을 철저히 규명하는 것이다.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 그래야 처벌을 하든, 용서를 하든 할 수가 있다. 여전히 어둠 속에 묻혀 있는 광주민주화운동의 진실들을 맑게, 밝게 드러내는 일, 그것이 맑음이 지속되도록 하는 일이겠다.

 

이 책은 그런 노력의 일환이다. 기억해야 하기 때문에, 시대가 바뀌면서 새로 알려진 사실들도 수록해야 하므로, 특히 미래세대를 살아갈 청소년들에게 우리 역사를 알려야 하므로, 광주민주화 운동을 지나간 과거로만 치부할 수는 없으므로.

 

무엇보다 이 책이 지닌 장점은 광주민주화운동 당시의 이야기로 책을 국한시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책은 크게 1부와 2부로 나눌 수 있다.

 

1부가 광주민주 운동이 일어나기 직전의 우리나라 상황과 광주민주화운동 전개과정을 사실에 입각해서 서술하고 있고, 또 그와 관련해서 알아야 할 세계 역사나 사건들을 함께 다뤄주고 있다면 2부에서는 광주민주화운동 그 이후에 일어난 일들, 진상규명, 책임자 처벌, 영향받은 일들을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은 광주민주화운동을 과거에 일어났던 일회적인 사건으로 다루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규정하고 있는, 지금도 우리 속에 살아있는 역사로 들려주고 있는 것이다.

 

여전히 진실을 가리고, 잘못된 사실을 날조하여 말하는 사람들이 있고,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이 있는 한 광주는, 우리 사회는 완전한 맑음이 아니다. 먹구름이 낀, 우리를 휩쓸어가는 폭풍우는 몰아치기 힘들겠지만 우리를 지치게 하는 장마 정도는 만들 수 있는 상태다.

 

하지만 이제는 그런 궂은비가 내리게 하면 안 되지 않는가? 우리는 이미 성숙한 민주의식을 지닌 시민들을 지닌 나라가 되지 않았는가. 우리 사회는 그런 시민들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가. 이 책은 그런 시민들이 과거를 잊지 않기 위해, 계속 우리 사회가 맑음으로 지낼 수 있게 하는 한 걸음을 내디딘 책이라고 할 수 있다.

 

5월에만 읽어서는 안 된다. 언제 어느 때든 우리가 기억하기 위해서 곁에 두고 있어야 할 책이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