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드러커 자서전
피터 드러커 지음, 이동현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05년 10월
평점 :
절판


경영학자로 잘 알려진 피터 드러커가 쓴 자서전이다. 자서전이라고 하기보다는 드러커가 만난 사람들이라고 하는 편이 더 좋겠다.

 

드러커가 살아오면서 만난 사람들을 이야기하고 있기 때문인데, 그 사람들을 이야기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하는 것 같지만 결국은 세상에 대한 자신의 이야기를 펼치는 것이다.

 

남은 바로 나라는 생각이 들게 하는 자서전인데, 자신의 할머나로부터 자서전이 시작된다. 할머니의 독특한 말하기 방식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그 다음에는 자신의 마을에 살았던 사람, 헤메와 게니아에 대해서, 자신이 영향을 받았던 선생인 엘자와 소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한다.

 

이렇듯 자서전이지만 다른 사람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에 대해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또한 그들을 통해서 드러커가 어떤 점을 배웠고, 그 사람들에게서 취한 것과 극복하려고 했던 것이 무엇이었던지도 알게 된다.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 중에, 드러커의 자서전을 나로 하여금 읽게 만든 사람은 바로 폴라니다. 아니 폴라니 집안이라고 할 수 있다.

 

지식인의 사회적 책무에 대해서 고민하고 실천하려 했던 사람들. 그러나 이들이 과연 사회 개혁을 했느냐 하면 긍정적인 답을 할 수가 없다. 세상은 한 개인에 의해 또는 한 집안에 의해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게다가 자신이 사회를 변화시키려고 인간에 대해 탐구하면서 결국은 인간으로부터 멀어져 가는 폴라니를 보면서, 사회 변화가 얼마나 힘든 일인지, 인간에 대한 믿음을 끝까지 지키는 것이 얼마나 힘든지를 생각하게 된다.

 

사회는 한 순간에 바뀌는 것이 아니라, 그런 사람들의 노력들이 쌓이고 쌓인 상태에서 어느 순간 바뀌는 것이라는 사실. 특정한 인물이 사회를 바꾸려다 또는 자신이 권력을 행사하려다 희생되는 경우를 '헨슈와 세퍼' 편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무엇보다 오스트리아 태생인 드러커가 히틀러에 대해 지니고 있는 감정이 곳곳에 잘 드러나 있는데, 그가 전체주의를 얼마나 혐오하고 있는지를 알 수가 있다. 젊은 시절, 오스트리아와 독일, 영국에서 만났던 인물들에 이어 1930년대 후반 미국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만났던 사람들 이야기로 자서전을 끝맺는다.

 

미국은 다양한 사람들을 받아들였기 때문에 강대국이 되었는지도 모른다. 그들이 자신들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즉 동일성 강요보다는 다양성 인정으로 사회를 이끌어갔기 때문에 유럽보다 더 발전할 수 있었다는 생각이 든다.

 

드러커는 자신이 만난 사람들을 타산지석으로 삼았다. 그것이 드러커를 있게 한 힘일지도 모른다.

 

이런 형식의 자서전을 읽으며 나를 살피기 전에 내가 만나는 사람들을 생각해 봐야겠단 마음을 먹는다. 내 주변에는 어떤 사람들이 있는가? 나는 이들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

 

결국 나를 만들어주는 것은 남들이다. 다른 존재들이 나를 구성해준다. 나를 살아가게 하는 것도 역시 다른 존재들이다. 바로 남이다. 드러커가 자서선에서 남들 이야기를 하는 것은 그런 남들에게서 자신을 발견했기 때문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나 역시 내가 만나는 남들을 보아야 한다. 그들이 곧 나이므로. 이렇듯 이 책은 흥미진진한 사람들 이야기가 펼쳐지는 자서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