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 풍경 - 글자에 아로새긴 스물일곱 가지 세상
유지원 지음 / 을유문화사 / 201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에 담긴 풍경이 아니라 글자 풍경이다. 글자가 풍경이 된다. 타이포그라피라고 할 수 있는데, 컴퓨터를 쓰는 우리는 폰트라는 말을 많이 쓴다. 폰트라고 하면 더 쉽게 이 책이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글자라도 형태가 다른데, 그 이유는 그 지방의 풍토, 생활습관 등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유럽에서 로마자의 형태만 살펴보아도 많은 글자체들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 글자체들이 나라마다 다른 모습을 보임도 알 수 있다.

 

로마자만 그런 것이 아니다. 컴퓨터에 있는 한글 폰트만 해도 꽤나 많다. 그리고 시대가 달라짐에 따라 글자체도 많이 달라져 왔다.

 

같은 소설이라도 1970-80년대에 출판된 책들의 활자체와 지금 출판되는 활자체는 확연히 다르다. 지금 활자체에 익숙해져 있으면 예전에 나온 책들을 읽을 때 쉽게 눈의 피로를 느낀다. 글자들도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아, 한마디로 가독성이 떨어진다.

 

현재라고 해서 다르지 않다. 출판사마다 자기들이 내는 책에 활자체를 달리한다. 어떤 출판사 책의 활자는 오래 읽어도 눈이 피로하지 않고 또 글자들도 눈에 잘 들어오는 반면에, 어떤 출판사 책은 나무들을 솎아주지 않은 숲에 들어온 느낌을 주는 것처럼 너무도 글자들이 빽빽하게 나열되어 있어서 눈이 쉽게 피곤해진다.

 

이렇듯 글자들의 형태는 우리에게 중요하다. 문자가 인간 문명을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했다면, 그 문자들이 더 잘 읽히고 의미 파악이 잘 되도록 하는 노력이 있었음도 분명하다. 그것들이 글자체로 나타났을테고.

 

우리가 흔히 쓰는 한글 글자체는 명조체라고 한다. 명조체가 궁체에서 나왔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알게 되었고, 명조체라는 이름에 대한 논란도 처음 접하게 되었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명조체의 형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인물은 한글 디자이너 최정호(1916-1988)다. 최정호는 궁체 중 정체의 필법을 바탕으로 명조체를 설계했다. 즉 한글 글씨체인 궁체를 인쇄용 활자체인 명조체로 연결한 것이다. (166쪽)

 

한글을 창제한 사람은 세종대왕으로 누구나 알고 있지만 그 한글에 대한 글자체를 만들어낸 사람들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한다. 최정호라는 인물에 대해서도 이 책을 통해서 처음 접한 것이고, 궁체들이 궁중 궁녀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글씨체라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이것이 명조체로 연결이 된다는 것은 알지 못했다.

 

한글 창제과정과 발전과정에 더하여 한글이 어떤 글꼴로 발달해가는지도 배울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때 사람들에게 편안하게 인식되었던 글꼴도 시대가 흐르면서 불편한 글꼴이 됨을, 글꼴도 생명체와 같이 수명이 있음을 생각하게 된다.

 

'명조체'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다. 서구식 근대 인쇄가 일본을 거쳐 유입되면서 당시 일본 가나 문장에 쓰인 본문 기본형 활자체의 일본식 이름이 그대로 흡수된 것 같다. '명조'는 '명나라 왕조'라는 뜻이다. 중국이 한자 글자체 중에는 '명조체'말고도 '송조체'와 '청조체' 등 시대로 구분한 이름이 있다. (168쪽)

 

'명조체'라는 이름은 여러모로 한글 명조체의 특성과 맞지 않아서, 1992년에 문화부(현 문화체육관광부)는 명조체를 순우리말 '바탕'으로 개칭하기도 했다. '바탕'을 이루는 기본형 글자라는 뜻이다. 고딕체는 두드러져 보이게 한다는 의미에서 '돋움'이라고 했다. '바탕'과 '돋움'이라는 이름은 '명조'와 '고딕'을 완전히 대체하지는 않은 채 지금은 나란히 쓰이고 있다. (169쪽)

 

이렇게 우리 글꼴에 대한 이야기도 알려주고 있어서 우리 글꼴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 특히 도로에 쓰여 있는 글자들과 또 길거리에서 흔히 보는 간판 글자들... 이것들이 아무런 생각없이 그냥 쓰이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인식을 가지고 쓰였으면 하는 생각을 하게 됐고, 독일차 번호판에 있는 글자체가 위조방지와 가독성을 높이는 글자체라고 하는데, 그만큼 실생활에서도, 또 인공지능이 대세가 되는 시대에서도 인간이 할 수 있는 일로 글자체 개발을 들고 있다.

 

글자체에 얽힌 다양한 이야기들을, 또 지식들을 알게 해주는 책이라서, 그동안 별다른 생각없이 넘어갔던 수많은 폰트들, 또 폰트를 만든 사람, 만드는 사람에게도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해준다.

 

한글에 대하여 또 다른 언어에 대하여 지식의 확장을 이뤄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