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자서전 -하 열린책들 세계문학 36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안정효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권이다. 몇몇 구절을 인용한다. 니코스 카잔차키스가 살아온 삶을 정리해 주고 있는 구절이라는 생각이 든다.

 

...평생 동안 나는 오직 하나의 길만이, 오름길만이 신에게로 이끌어 감을 분명히 알았다. 밑으로 내려가거나 평탄한 길이 아니라 오직 오름길만이. 사람들이 너무 자주 사용해서 더럽혀진 <신>이라는 어휘의 내용을 조금도 선명 선명하게 파악하지 못했던 무능력 때문에 나는 자주 주저했지만 신에게로 올라가는 길, 그러니까 인간 욕망의 가장 높은 봉우리를 향한 길에 대해서는 전혀 주저하지 않았다.

  그뿐 아니라 나는 신의 세 가지 피조물인 나비가 되려는 벌레와, 본성을 초월하려고 물에서 뛰어오르며 나는 듯한 물고기와, 배 속에서 비단실을 뽑아내는 누에에게 늘 매혹되었다. 나는 항상 내 영혼이 가야 하는 길을 상징한다고 상상했던 그들과 언제나 신비로운 일치감을 느꼈다. (670-671쪽)

 

  우리들의 삶은 전체가 상승, 절벽, 고독이다. 우리들은 많은 동료 투쟁자와, 많은 사상과 거대한 일행과 함께 출발한다. 하지만 우리들이 올라가도 정상이 이동하여 자꾸 멀어지면 다른 투쟁자들과, 희망과, 사상은 숨이 차서 더 높이 올라갈 마음이나 능력이 없어져, 우리들에게 작별을 고한다. 움직이는 정상에서 눈을 떼지 않았던 우리들만 남았다. 우리들은 언젠가는 정상이 움직이지 않아서 우리들이 거기에 다다르게 되리라는 순진한 확신이나 교만에 마음이 흔들리지 않으며, 그곳에 도달한다 할지라도 높은 그곳에서 행복과, 구원과, 천국을 찾으리라고는 믿지 않는다. 우리들에게는 올라간다는 행위 바로 그 자체가 행복이요, 구원이요, 천국이기 때문에 올라갔다. (688-689쪽)

 

제목이 왜 '영혼의 자서전'인가 했더니, 그가 만나고 겪었던 일을 중심으로 서술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영혼이 어떻게 견뎌왔는가를 중심으로 서술했기 때문이라는 것을 하권을 읽으면서 깨닫게 되었다.

 

그는 젊은시절부터 계속 신을 추구하는데, 신에 대한 추구는 결국 자신의 영혼을 밝히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스도에서 니체로, 부처로 나아가지만 그것은 자신의 영혼이 도달할 점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다.

 

여기서 다른 도달점으로 현실을 택하기도 하는데, 러시아혁명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하는 러시아를 언급하기도 한다. 레닌이 또다른 신으로 등장하기도 하지만, 그 역시 카잔차키스가 도달해야 할 정점에 가는 하나의 길, 봉우리일 뿐이다.

 

따라서 이 자서전에서는 그리스와 세계 정치에 대해서는 언급이 되지 않는다. 정치인으로서 생활을 한 카잔차키스의 활동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다만, 그가 크레타인, 그리스인으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것, '카프카스'에 흩어져서 고난을 받던 그리스인들을 조국으로 데려오는 행위만이 이 자서전에서 표현되고 있을 뿐이다.

 

그만큼 그는 그리스인으로서의 자부심이 있다고 하겠는데... 하권에서는 '그리스인 조르바'를 쓰게 되는 과정을 엿볼 수 있다. 조르바가 카잔차키스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도 잘 알 수가 있고. 이성적인 인간보다는 현실에 충실한 인간, 그런 인간에게서 불멸성을 보게 되는 순간, 깨달음이 조르바와 얽힌 이야기에서 잘 나타나 있다.

 

카잔차키스는 평생을 고뇌하며 산 사람이라는 생각이 든다. 고뇌가 극에 달할 때 그는 글쓰기로 빠져드는데, 그렇게 해서 많은 작품이 나왔다고 할 수 있다.

 

또 그는 만년에 '오디세우스'에 대해서 글을 쓰는데, 그만큼 그는 영혼의 항해를 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가 도달한 지점은 바로 정점이 아니라, 즉 '파우스트'에서처럼 정점에 도달해서 '멈춰라!'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는 나아감 속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게 정점은 없다. 영혼에게 정점이란 있을 수 없다. 그래서 그는 신을 추구했지만 어느 신에게도 자신을 내맡길 수가 없었다. 계속된 영혼의 여행, 오디세우스는 결국 고향으로 돌아왔지만 그에게는 돌아갈 고향은 영원히 도달할 수 없는 곳이다.

 

도달해서도 안 된다. 그냥 도달하려고 가야할 길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그는 영혼의 여행을 통해서 우리에게 많은 작품을 남겨주고 있다. 작품으로 불멸성을 획득했다고 할 수 있다고도 할 수 있는데...

 

카잔차키스의 고뇌, 영혼의 방황, 여행, 그리고 그가 도달한 지점까지 그가 쓴 '영혼의 자서전'을 통해 알 수 있다. 우리 역시 마찬가지로 어떤 구원을 받으려고 하지만, 구원은 멈춤에서 오지 않는다는 것, 구원은 우리가 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우리와 함께 한다는 것을 이 자서전을 통해서 어렴풋이나마 짐작했다고나 할까.

 

그런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자서전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