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말은 능동태다
김흥식 지음 / 그림씨 / 2018년 10월
평점 :
작은 책이다. 분량이 상당히 적다. 그럼에도 주장은 강하다. 자기 주장을 하는데 중언부언하지 않는다. 짧고 명확하게 주장한다. 그렇게 우리말을 살려야 한다고 한다.
그 핵심은 바로 제목이다. '우리말은 능동태다'
능동태. 스스로 한다는 것이다. 스스로 한다는 것, 자기 말에 책임을 진다는 것이다. 우리말이 능동태라는 것은 자기 말에 책임을 지는 자세를 가진다는 것.
그런데 지금 우리말이 어떻게 쓰이고 있나 잘 살펴보면 수동태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 수동태라니? 영어시간에 배운 것이 떠오른다. 수동이라는 말보다는 우리말 문법에서는 피동이라는 말을 쓰는데, 문장에서 수동태라고 하면 무언가 좀 이상하다.
수동태 문장을 많이 쓰는 것부터 우리말이 오염되었다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수동태를 쓰는 것은 자기 책임을 회피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내 잘못이 아니라 대상에게 잘못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그렇게 말하는 것, 이것이 바로 수동태다. 뉴스를 보면 피동형 표현을 많이 하는 것은 자신들은 그냥 전달할 뿐, 책임을 지지 않겠다는 의도를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책임을 지지 않는 모습이 언어에서부터 나오니, 우리말이 잘못 쓰이는 것에도 별다른 생각을 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동태 문장은 자꾸만 길어진다. 장황해지면서 무슨 의미인지 명확하게 전달이 잘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말을 살리기 위해서는 능동 표현을 해야 한다.
여기에 한자 문제에 대해서는 서로 의견이 다를 수 있다. 한자를 서양의 라틴어로 여긴다면 우리말의 뿌리를 아는 데 한자는 많은 도움을 준다. 그렇게 한자도 우리말에서 완전히 배제해서는 안 된다.
이 점은 인정할 수 있다. 한자가 우리말을 풍부하게 할 수도 있다는 것, 영어에서 온 말은 우대하면서 한자어로 되어 있는 말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중요한 것은 우리들 생각을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우리말을 살리는 것이다. 그런 말을 쓰는 것이다. 그래야 함을 이 책에 저자는 주장하고 있다.
짧은 분량에 주장은 간결하고 명확하다. 우리말, 우리가 잘 살려 쓰지 않으면 누가 살려 쓰겠는가. 우리말 사용에 대해서 다시 생가해 보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