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인 이야기 1 - 민주주의가 태동하는 순간의 산고 그리스인 이야기 1
시오노 나나미 지음, 이경덕 옮김 / 살림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리스로마 신화를 읽은 다음, 이제는 인간으로 돌아온다. 신들의 이야기는 곧 인간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리스인 이야기에 관한 책을 뽑아들었다. 시오노 나나미가 쓴. 이 저자 "로마인 이야기"로 유명한 작가다.

 

꽤나 많은 부수가 발행된 책이었는데, 이제 나나미는 그리스인에 주목한다. 사실 민주주의 기초를 닦은 민족이 그리스인이라고 하는데...

 

우리가 통상 말하는 그리스인은 찾기가 힘들다. 왜냐하면 지금 나라로 존재하는 그리스가 아니라 예전에 그리스인이라고 하면 많은 도시국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통칭하는 개념이었기 때문이다.

 

그리스인이라고 하지만 우리에게 잘 알려진 사람들은 아테네인들과 스파르타인이다. 아테네는 민주주의, 스파르타는 군국주의라고 그냥 알고 있는데, 이들이 모두 그리스인이다. 그러므로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다들 민주주의를 실현하려고 했던 도시국가인이었다는 사실. 이들은 때로는 대립하고 때로는 연합하면서 많은 세월을 지내왔다. 각 도시국가들끼리 전쟁을 하다가 서로 멸망에 이르지 않기 위해 또는 평화 기간을 갖기 위해 4년에 한 번씩은 올림픽을 치렀던 나라가 바로 이 그리스였다는 것.

 

올림픽은 무기를 들지 않은 평화기간을 보장해 주었던 옛날 장치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여기에 그리스인들을 그리스인이라는 의식을 갖게 해주는 민족이 있었으니 바로 페르시아 민족이다. 이 페르시아는 그리스인들에게 단합을 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1,2차에 걸친 페르시아와의 전쟁을 통해 그리스인들은 펠레폰네소스 동맹과 델로스 동맹을 결성하게 된다. 도시국가들이 그리스인이라는 의식으로 뭉치게 되는 사건들이다.

 

이렇게 그리스 초기에 정치활동과 군사활동을 했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 책을 이끌어간다. 수많은 그리스 도시국가들 가운데 이 책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스파르타인과 아테네인으로 나뉜다. 상대적으로 아테네가 더 잘 알려져 있어, 아테네 인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어쩌면 폐쇄적인 사회를 이루었던 스파르타보다는 개방적인 사회라고 할 수 있었던 아테네가 더 다양한 지도자들이 나올 수 있는 조건이었을 것이다.

 

스파르타에서 다루는 인물로는 스파르타 헌법이라고 할 수 있는 법을 기초한 '리쿠르고스'와 영화 300으로 잘 알려진 '레오니다스' 왕, 그리고 제2차 페르시아전쟁에서 페르시아를 격파한 '파우사니아스'가 전부라고 해도 된다.

 

철저하게 신분제 사회를 고수한 스파르타, 해외팽창보다는 자국의 안전을 중시한 스파르타, 강인하게 전사를 키운 스파르타에 대한 이야기가 인물들 중심으로 펼쳐진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리스인이라고 하면 우리는 아테네인들을 주로 떠올린다. 민주주의라고 해도 역시 아테네를 떠올리고...이런 아테네 민주주의를 만들어가는데, 스파르타는 '리쿠르고스'라는 한 명에 의해 이끌어졌다면, 아테네에서는 여러 사람이 연달아 나와 민주주의를 만들어간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솔론'. 그는 아테네 민주주의의 시초하고 할 수 있고, 솔론의 뒤를 이은 '페이시스트라토스'에 의해 아테네는 자리를 잡기 시작한다. 그러나 '페이시스트라토스'는 참주라고 불리는, 절대 권력을 휘둘렀기 때문에 민주주의와 거리가 먼 사람이라고 생각되지만, 그는 '솔론'이 한 개혁이 지닌 중심을 무너뜨리지 않는다. 그래서 아테네는 민주주의가 정착되는 과정에 들어서게 된다.

 

페이시스트라토스 다음으로는 '클레이스테네스'가 등장하고, 그는 특권계급에 속했다고 할 수 있지만, 개혁을 제대로 이끌어간다고 한다. 이 부분에서 시오노 나나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지난 반세기 정도 동안 서양의 르네상스, 중세, 고대 로마에 관해 쓰면서 깊이 생각한 것은 시대에 획을 그을 정도로 개혁을 본격적으로 실행한 사람은 모두 기득권 계급에서 나왔다는 점이다. 기득권 계급에 속한 사람이라고 해서 모두 자기들이 누리는 기득권을 계속 유지하는 일만 생각하는 단순한 보수주의자는 아니었다. 이 계급에 속한 사람 중에서 때로 자기들이 속한 계급의 결함을 직시하는 사람이 나타났다.

  개혁은 기득권 계급이 가진 결함을 파고드는 것만으로 달성되지 않는다. 결함을 따지기 위해서는 그것을 피부로 느끼는 쪽이 유리하다. (108쪽)

 

이 말은 그람시가 말한 '유기적 지식인'을 떠올리게 한다. 그리고 이런 유기적 지식인들에 의해 헤게모니가 발현되는 과정, 이것이 곧 개혁이 될 수 있음을 생각하게 한다. 개혁은 어느 날 갑자기 나타나지 않는다.

 

기득권 세력 중에서 문제를 인식한 사람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과정에서 나온다고 한다. 문제를 인식하는 순간, 해결책을 고민하기 때문이다. 이런 지식인들이 나타나는 때, 개혁의 순간이 된다. 어쩜 지금 우리 사회도 이런 '유기적 지식인'이 나와야 할 때인지도 모른다. 그냥 자기 특권에 안주하는 보수적 특권층만이 아니라.

 

또 시오노 나나미는 이렇게도 말한다.

 

  오늘날까지 명성이 자자한 '아테네 민주정치'는 모두 최고의 엘리트들이 만들었다. 고대 아테네의 '데모크라시'는 '국정 방향을 시민(데모스demos)의 손에 맡긴다'가 아니라 '국정 방향은 엘리트들이 생각해서 제안하고 시민에게 그 찬반을 맡긴다'이기 때문이다. (108-109쪽)

 

이 부분에서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실시한 공론조사 - 원전 건설 중지와 대학입시 개편안-를 실시한 과정이 생각났다. 과연 엘리트들이 무슨 일을 했던가. 그들이 국정 방향을 제시했던가. 오히려 그들은 국정 방향을 시민에게 맡겨 버리지 않았던가. 그리고 그것이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방법인 듯 여기지 않았던가.

 

어떻게 하는 것이 민주주의에 해당할지 더 생각해 보게 만드는 구절이었다. 우리가 민주주의 사회를 만들고 이끌어가야 한다는 것, 어떤 식으로 정치를, 국정 방향을 만들어가야 할지 고민하게 하는 구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클레이스테네스 다음으로는 여러 사람이 나오는데, 그 중에 대표적인 사람이 제1차 페르시아 전쟁을 승리로 이끄는, 그렇지만 말로는 비참했던 '밀티아데스'다. 그 다음으로 제2차 페르시아 전쟁을 승리로 이끌게 되는 '테미스토클레스'.

 

그가 이 책에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아테네가 강한 도시국가로 성장하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고도 최고의 자리에서 제 때 물러난 사람이기도 하고. 물론 나중에는 추방당하기도 하고, 페르시아로 넘어가 그곳에서 최후를 맞기도 하지만... 그는 아테네가 강국으로, 특히 해상 강국으로 부상하는데 큰 역할을 한 사람이다.

 

이런 사람의 등장으로 아테네는 자리를 잡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들은 나름대로 민주정치를 완성해가기 시작한다.

 

아테네가 또는 그리스식 민주주의가 정착해 가는 과정에서 페르시아라는 나라가 차지하는 역할을 무시할 수 없고, 그 과정에서 정치와 군사면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들이 나오게 되고, 이들에 의해서 기틀이 잡히게 됨을 흥미진진하게 서술하고 있다.

 

온갖 자료들을 해석하면서 자기 견해를 제시하기도 하면서 시오노 나나미는 그리스인들에 대해서, 그리스 민주주의에 대해서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이제 다음 권은 민주주의가 꽃을 피우는 시기로 넘어간다. 우리에게도 친숙한 '페리클레스' 시대가 된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10-01 09: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0-01 09: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10-01 09:2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