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34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09년 12월
평점 :
젊은 시절 읽으면서 왜 이 작품이 좋은 작품이라고 하는지 이해를 못 했다. 그냥 남녀간의 사랑 이야기 아닌가 하는 생각만 했다.
체코를 침공한 소련군에 의해 생활이 깨뜨려진 사람, 토마시. 그는 능력있는 외과의사이지만 소련의 침공으로 스위스로 간다. 그러나 자기 곁을 떠나는 테레자를 따라 다시 체코로 오게 되고, 외디푸스에 대한 글을 썼다는 이유로 의사 자리에서 쫓겨나 유리 닦는 사람으로 살아간다.
나중에 테레자와 농촌으로 가서 살다가 트럭 사고로 죽었다고 나오고, 여섯 번의 우연으로 토마시와 살게 된 테레자 역시 자신의 신분을 상승시켜주는 사람으로 토마시를 생각하고, 그와 함께 살지만, 그녀 역시 망가진 삶을 살게 된다.
여기에 화가인 사비나가 나오는데, 이 사비나만이 끝까지 살아남는다. 그리고 사비나가 사귀던 남자 토마시가 아닌 프란츠 역시 죽음에 이르게 되는데...
소설은 이 네 사람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그 중에서 특히 중요한 주인공은 토마시와 테레자이다. 이들의 삶은 어떻게 보면 무겁다. 정치적인 격동기에 자기 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느냐를 결정해야 하는 때, 어떻게 삶이 가벼울 수가 있는가.
여기에 영원회귀와 일회성이 나온다. 우리 삶이 영원회귀하는가, 아니면 일회로 그치고 마는가. 작가는 우리 삶은 일회적이라고 한다. 그것도 우연으로 점철된 삶이라고.
그러므로 우리 삶은 무거울 수가 없다. 삶이 반복된다면 가벼울 수가 없다. 내가 살았던 삶을 또 살게 되는데, 어떻게 가벼울 수가 있단 말인가.
그래서 종교를 가진 사람들, 삶이 무거울 수밖에 없다. 그들 삶은 무겁다. 그들은 내세를 생각하고 지금 삶 건너 편을 바라보면서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연 우리 삶이 그럴까.
삶은 순간의 연속이고, 그 순간은 다시는 반복되지 않는 우연들일 뿐이다. 혹 반복되더라도 그것은 우연이지 필연이 아니다. 이렇게 생각할 때 삶은 가벼워야 한다.
하여 소설 제목이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다. 삶은 우연이다. 우연의 반복일 뿐이다. 그렇게 가볍다. 그 가벼움이 우리를 참을 수 없게 만든다.
왜냐하면 우리는 삶에서 어떤 의미를 발견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 세상에 왔다가 사라지는 인간이 자신이 존재했다는 의미를 찾지 못하면 그것은 괴로운 일이기 때문이다.
토마시나 테레자가 죽을 수밖에 없는 이유, 토마시가 테레자와 살면서도 여러 여자들을 만나고, 그들과 사랑을 나누는 것은 바로 자신의 존재를 가볍게 하기 위해서다.
한 곳에 정착하지 않기 위한 몸부림, 이는 삶은 순간이라는 것을 의식하게 해준다. 그러나 거꾸로 생각해 보자.
삶은 순간의 연속이고, 우연의 연속이다. 그렇게 가볍다. 가볍기 때문에 그 순간 순간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다음은 없다. 다음을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충실해야 한다. 순간에 충실하기 위해서 얼마나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하는가.
토마시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살지 못하고, 또 순간의 사랑으로 테레자에 대한 사랑을 버리지 못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우리는 삶을 살아가는데... 그 삶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다만, 최선을 다해도 비극에 빠질 수 있다. 이를 소설에서는 외디푸스를 통해 이야기하고 있다.
토마시가 외디푸스를 예로 들어 모르고 행동했다고 잘못이 없다고, 또 책임을 지지 않아도 된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듯이, 우리 삶도 일회적이고 순간적인 우연의 연속이지만, 결과는 우리가 책임져야 한다.
그러므로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다. 그렇게 삶은 가볍지만 참을 수 없을 만큼 무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