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 행복지수 1위 덴마크에서 새로운 길을 찾다 행복사회 시리즈
오연호 지음 / 오마이북 / 201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좀 된 책이다.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고 있는 세상에서 4년 전에 나온 책, 그것도 덴마크 사례를 들어서 우리나라도 행복할 수 있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는 책이니, 어쩌면 시류에서 벗어났을지도 모른다. 
 
그런 생각을 하면서 읽었는데, 아니다. 우리가 4년 전에서 얼마나 더 행복한 쪽으로 옮겨왔는지 생각해 보니, 그닥 많이 오지도 않았다. 남북문제에서 전쟁의 위협이 조금 사그러들었다는 것 빼고는 대부분이 4년 전이나 지금이나 비슷하다.
 
그러니 다시 이 책이 제기한 질문을 던지게 된다.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덴마크가 세계행복지수에서 1위를 차지했다고 한다. 그 이유가 무엇일지 덴마크에 가서 취재한 내용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그 나라를 방문해 보니 대다수 사람들이 행복하다고 말하고 있다는 것, 자기 나라에 대해서 자부심이 있다는 것, 세금을 많이 내도 불만이 없다는 것. 현재를 즐기기도 하지만 세금으로 미래 세대들이 행복할 수 있다는 것에도 만족하고 있다는 것.
 
그런 내용들이다. 단지 이런 내용들을 전달해 주고 만다면 너무도 뻔한 이야기다. 본래 행복한 나라는 다 그렇지 않은가. 하여 이 책은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간다.
 
덴마크 사라들을 행복하게 해주는 요소를 찾아 정리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여섯 가지로 정리하고 있다.
 
자유, 안정, 평등, 신뢰, 이웃, 환경
 
이 여섯 가지가 중요하지만 읽다보면 세 가지가 더 나온다. 우선 1864년의 영토 상실이다. 독일에게 나라 땅 1/3을 빼앗긴 것. 그 전에 노르웨이를 잃기도 했지만, 독일에게 영토를 잃은 이 사건은 덴마크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영토 상실로 좌절했으면 지금의 덴마크가 없었겠지만, 이들은 외부에서 잃은 것을 내부에서 찾는다는 말로 대변되게 이때부터 개혁을 시작한다. 자기들이 살아갈 방법을 찾아낸다.
 
이때 등장하는 두 사람, 그룬트비와 달가스. 덴마크의 지금 교육제도는 그룬트비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고, 황무지인 국토를 비옥한 땅으로 일군 달가스는 지금의 덴마트가 있게 한 사람들이다. 
 
이들을 리더로 이들과 함께 한 사람들이 있었기에 - 그것은 깨어있는 농민, 깨어있는 시민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 - 가능했다고 할 수 있다.
 
덴마크 학교에서는 앞에서 이야기한 여섯 가지를 교육한다고 할 수 있다. 등수를 매기지 않는 학교, 자유롭게 사고하고 발표하게 하는 학교, 일렬로 그냥 죽 나아가게 하지 않고 중간중간에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 기간과 제도를 마련한 교육.
 
실업자가 되어도 먹고 살 수 있게 지원해주는 사회제도. 직업에 따라 차별을 받지 않는 사회 문화, 이런 것들이 덴마크를 행복하게 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덴마크가 왜 행복한지 아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이 책이 목표로 하는 것은 그 다음이다. 우리도 덴마크 사람들처럼 행복하게 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학교에 오는 학생들이 즐겁게 등교하는가를 우선으로 삼는 학교 교장과 교사들, 직원들이 출근하는 발걸음이 가벼운가를 생각하는 경영자들이 있는 덴마크와 학교 교문에서부터 시시콜콜 복장 지도를 해서 벌점을 부과하는 우리나라와, 세계 최장 노동시간을 유지하고 있는 우리나라 직장들.
 
도대체 어디서 행복이 오는가. 패자부활전이 전혀 없어, 해고는 살인이다라고 외쳐야 하는 우리나라에서 2년 동안 실업수당을 주고 재취업을 준비시켜주는 덴마크는 참 다르다.
 
다르다에서 그치면 안 된다. 우리 역시 그렇게 해야 한다. 학생들에게 자율권을 주고, 그들이 입시에 시달려 늘 피곤한, 신경질적인 모습으로 학교 생활을 하게 해선 안된다. 노동자들 또한 마찬가지다.
 
마지못해, 먹고살기 위해 회사에 나갈 수밖에 없는 그런 문화를 바꾸어야 한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부터.
 
책 뒷부분에 몇 가지 제안을 하고 있지만, 그 제안을 우리 나름대로 다시 생각하고 실천해야 한다. 남 제안을 그대로 따르면 그것은 벌써 행복하고 거리가 멀어지는 길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지금 내가 서 있는 이 자리에서부터 행복하려고 해야 한다.
 
행복을 먼 미래로 양보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 행복한 삶을 살아야 한다. 내가 행복해야 남도 행복할 수 있다. 사랑받아본 사람이 사랑할 줄 안다고, 행복도 누린 사람이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지금 이 자리에서 행복할 수 있도록 하자. 미래를 위해서 지금 희생한다는 그런 마음 가짐은 쓰레기통에 버리자. 행복은 미래에 오지 않는다. 희생을 통해서도 오지 않는다. 
 
행복은 그때그때 내 곁에 있어야 한다. 그래야 그것이 행복이다.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을 하지 말자.
 
거꾸로 이렇게 말하자. 지금 내가 행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어떻게 하면 나는 지금 행복한가라는 질문을 하자. 그리고 답을 찾았으면 그것을 하자. 그런 제도가 만들어지길 기다리지 말고 먼저 나부터 행복하자.
 
이런 생각을 한다. 물론 교육과 사회 변화가 함께 해야 하지만, 그것에만 너무 의존해서도 안 된다는 그런 생각.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Dora 2018-07-31 21: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로부터 행복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