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마을 인문여행 - 미술, 마을을 꽃피우다 공공미술 산책 2
임종업 지음, 박홍순 사진 / 소동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시골이 비고 있다. 인구는 점점 줄어 미래를 이끌어갈 아이들이 시골에서 사라지고 있다. 학교가 폐교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도시로 도시로 사람들이 이주하여 시골 곳곳마다 빈집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게 시골이 점점 황폐화될 때 시골을 살릴 수 있는 대안으로 미술이 들어왔다.

 

마을 미술 프로젝트라고 하는 사업인데, 미술가들이 마을에 들어가 마을 특성에 맞는 미술 작품을 마을 사람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일이다.

 

지자체에서 예산을 지원하여 사업을 실시했는데, 성공한 마을도 있고, 실패한 마을도 있다. 하지만 다른 일로 예산을 낭비하는 것보다, 그래도 마을을 사람 사는 곳으로, 문화가 있는 곳으로 만들려는 노력은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그래도 성공했다고 하는 마을을 중심으로 마을 미술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사진을 통해 마을 미술을 볼 수도 있어서 어느 정도 성과를 거뒀는지도 생각할 수 있다.

 

다만, 미술이 조각들이야 조금 오래 가더라도, 그림은 몇 년이 지나면 퇴색해지기 때문에 이 책에 나와 있는 미술들이 그대로 마을에 남아 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진정한 마을 미술이라면 시간이 지날수록 마을에 녹아들어 마을과 함께 변해가야 하는 것, 그렇게 마을과 하나된 미술은 마을 살리기에 성공한 미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무엇보다 미술은 작가의 것만이 되어서는 안 된다. 마을과 동떨어진 작가의 솜씨를 뽐내는 미술로는 마을 미술이 될 수 없다.

 

마을의 특성, 문화를 살리는 것에서 더 나아가 마을 사람들이 함께 하는, 마을 사람들을 마을 미술의 주체로 살릴 수 있어야 한다.

 

이런 마을 미술이 성공한 마을 미술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관광객을 끌어모으기 위한 미술이 아니라 마을 사람들 삶과 함께 녹아 있는 미술, 그러한 미술이 필요한 때라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이 책에 소개된 마을 미술들은 소중하다. 우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겉으로만 보기 좋은 미술이 아니라 마을 사람들과 함께 하는 미술이 어떠해야 한지를 생각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즉, 미술을 외부자의 시선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마을 내부자의 시선으로 보는 것, 일회성 행사가 아니라 삶과 함께 하는 미술이어야 하는 것. 그런 마을 미술이 마을을 풍요롭게 한다는 것을 생각하게 한다.

 

시골이 점점 비어갈 때 그 빈공간을 그냥 놓아두지 않고 미술로 채우는 것, 미술만이 아니라 그 미술을 통해 사람들로 다시 시골을 채우는 것. 그것이 마을 미술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이런 성과를 바탕으로 마을 사람들과 함께 하는 마을 미술 프로젝트를 추진해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7-14 08:3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7-14 09:2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