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86
아서 밀러 지음, 최영 옮김 / 민음사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처구니 없다는 생각을 했다. 마녀 사냥이라니. 도대체 마녀가 무엇이란 말인가? 존재하지도 않는 대상을 존재한다고 여기고, 자백을 하게 하고 탄압을 하는 광기. 그것에 불과하다. 이성적인 인간이라면 절대로 이런 마녀 사냥에 가담하지 않을 것이라고.

 

이런 생각을 하는 것이 어처구니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이기도 하지만 이성보다는 다른 요소에 의해 움직일 때가 더 많다는 것을. 이성으로 도무지 용납할 수 없는 것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는 받아들이고 남에게 강요할 수 있다는 것을.

 

아서 밀러의 희곡 "시련"은 미국에서 일어난 마녀 사냥을 다루고 있다. 질투에 눈이 먼 한 여자아이의 거짓말이 마을 전체를 공포로 몰아가며, 자기 이익을 지키기 위해 마을 사람을 마녀로 고발하는 다른 사람들까지 겹쳐 수많은 사람이 희생당하게 된다.

 

오랜 시간이 지난 다음에야 마녀 사냥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지만, 어쩌겠는가. 그 동안 죽어갔던 사람들에 대해서는.

 

중세에 있었던 마녀 사냥만을 이야기하고 있을까? 아니다. 밀러의 이 희곡은 미국에서 사람들을 공포에 몰아넣었던 '매카시즘'을 풍자하고 있는 것이다.

 

자신들의 권력이나 이익을 지키기 위해 상대방을 공산주의로 몰아갔던, 광기에 휩쓸려 사람들을 옴짝달싹도 못하게 했던 매카시즘.

 

한 사람의 말로 인해 사회가 얼마나 광포해질 수 있는지를 매카시즘이 잘 보여주고 있고, 또한 사람의 이성이 얼마나 허약한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면, 매카시즘은 현대판 마녀 사냥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단지 미국이나 유럽에만 해당하는 일일까? 아니다. 우리나라도 독재정권 시절에 이런 일을 많이 당하지 않았던가. 자기 이익을 지키기 위해 또는 상대방이 그냥 미워서 거짓 고발을 하는데, 그것이 기묘하게 정권의 필요와 맞아떨어져 대대적인 사회 문제로 비화되는 일이 비일비재하지 않았던가.

 

희곡에서는 마녀라고 하면 다 통하였듯이, 매카시즘에서는 공산주의자라고 하면 다 통했듯이, 우리나라에서는 빨갱이라고 하면 너무도 쉽게 잡아들일 수 있지 않았나.

 

빨갱이라고 거짓 자백을 강요하고, 사형시킨 경우도 많지 않았나. 이성보다는 감정으로 사람들을 몰아갔던 시대가 우리에게도 있었다.

 

이런 사회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것은 깨어 있는 사람이 있어서 일텐데... 희곡에서는 프록터가 그 역할을 한다. 애비게일의 거짓에 휩쓸려 사람들이 우왕좌왕할 때 프록터는 자신의 잘못을 드러내면서도 진실을 알리려 한다.

 

간음이 당시 사회에서는 프록터 자신에게 치명적인 문제였음에도... 마치 우리나라에서 반대파를 탄압할 때 성적인 것을 이용했던 것과 같이... 그러나 그의 말은 받아들여지지 않고, 그도 마녀 사냥의 희생양이 된다.

 

거짓 자백을 하면 살려주겠다는 말에 잠시 흔들리기도 하지만, 결국 자신의 양심을 버릴 수 없음을 알고 죽음에 이르게 된다.

 

이런 사람들의 존재로 인해 마녀 사냥은 시들해지고, 그것이 잘못되었음을 인정하게 되는데...

 

문제는 절대 권력을 지닌 공권력이 반성을 하지 않는 것이다. 사람들을 사형에 처하게 판결하는 판사나, 꼭두각시처럼 그 명령만을 집행하는 관리나, 진실을 알려고 하지 않는 부지사나, 목사직을 사욕을 위해 이용하는 패리스와 같은 사람. 자기 이익을 위해 상대를 함정에 빠뜨리는 애비게일과 같은 사람...

 

이런 사람들이 소위 사회지도층을 형성했을 때 무고한 사람들이 얼마나 쉽게 희생당할 수 있는지를 희곡은 잘 보여주고 있다.

 

네 이웃을 사랑하라고 했지만, 가장 위험한 존재가 바로 이웃임을, 희곡에서 잘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자신의 이익을 가장 쉽게 침해하는 존재가 바로 이웃이기 때문인데, 이런 감정이 결국 마녀 사냥을 유지하는 근간이 되기도 한다는 사실을 생각하게도 한다.

 

공동체로 살아가는 일, 자율성을 인정하되 함께 살아가는 일, 따로 또 같이라는 말이 통용되는 사회, 그런 사회가 좋은 사회일텐데...

 

난민 문제로 연일 시끄럽다. 난민에 접근하는 태도가 어쩌면 이 희곡에 나타난 마녀 사냥과 비슷하지 않나 하는 반성을 하면서, 자기 이익이라는 것이 얽혀 있는 상태에서는 아주 작은 요건으로도 상대에게 치명상을 줄 수 있는 일이 일어날 수 있음을, 이 희곡이 너무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7-06 09: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7-06 11:1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