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을 넘어 생각한다 - 남과 북을 갈라놓는 12가지 편견에 관하여
박한식.강국진 지음 / 부키 / 2018년 4월
평점 :
'녹색평론'에 소개된 책이었다. 바로 붙어 있는 나라이지만 가장 멀리 있는 나라, 또 같은 민족이라고 하지만 잘 모르는 나라, 이해보다는 오해가 더 많은 나라 북한에 대해서 이렇게 다른 방향에서 알려주는 책이 존재하다니.
우리나라에서 대학을 나오고, 미국에 유학을 가 그곳 시민이 된 사람. 북한에도 50여 차례 다녀오고, 카터 미국 전 대통령과 친분이 있어 그가 방북을 할 때 통역관 겸 함께 가기도 했다는 사람, 박한식.
이 책을 읽기 전까진 박한식이란 사람, 교수에 대해서 전혀 알지 못했다. 이렇게 북한에 정통한 학자가 있음에도 전혀 알지 못했다니, 그것이 좀 의아하기도 했는데, 그만큼 북한에 관해서는 사실을 제대로 전달해도 안 되는 상황이 바로 우리 상황이었단 생각이 든다.
북한에 관해서는 정확한 사실을 전달하기보다는 원하는 방향으로 소설을 써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북한에 대해서 제대로 알게 해줄 이런 책이 이제는 나올 때도 되었다는 ㅅ애각이 든다. 아마 몇 해 전에 나왔다면 국가보안법에 걸렸을 수도 있었으리라.
북핵 문제 책임, 북한에도 있지만, 미국에 더 책임이 있다는 주장, 그리고 북한을 정상적인 국가로 이야기하고 있는 그의 관점이 국가보안법에 의하면 고무 찬양죄에 걸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렇게 시작한다.
일부에서는 "북한은 믿을 수 없다"고 이야기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신뢰'가 있어야만 친구가 될 수 있다고 한다면 세상에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그것은 순서가 뒤바뀐 것입니다. 신뢰라는 것은 대화의 전제 조건이 아니라 대화의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10쪽)
그렇다. 자주 만나야 한다. 만나서 서로의 이야기를 해야 하고, 서로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그래야 신뢰가 쌓일 수 있다. 신뢰가 쌓이면 복잡한 문제도 단순하게 풀 수 있다.
남북 역시 마찬가지다. 북미 역시 마찬가지고. 하지만 북한을 이용해 자신들의 이익을 챙기려는 집단이 있다. 이들에게 평화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협상이 잘 되다가도 파탄이 나고 만다. 방해 세력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이를 북한을 쉬운 알리바이로 이용한다고 하는데, 지금까지 그런 경우가 많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번은 다르겠지. 상황도 달라졌고, 이번 정부에서 적극적으로 남북 대화를 하며, 북한도 북미 대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상이 평화였으면 좋겠다는 바람이 남북 관계의 개선과 북미 관계의 개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책은 '남과 북을 갈라놓는 12가지 편견에 관하여'라는 작은 제목을 달고 있다. 하나하나 사실에 기반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을 읽다보면 보수가 어떠해야 하는지, 보수라는 가면을 쓰고 있는 수구에 불과하다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다. 철저하게 안보 패러다임에 갇혀 있는 사람들, 이제는 평화 패러다임으로 바꾸어야 하는데, 이를 한사코 거부하는 사람들. 그들이 우리의 평화를, 우리의 행복을 얼마나 방해하고 있는지 알 수 있게 된다.
지금은 절호의 기회다. 전쟁의 위협을 완전히 없앨 수 있는. 평화가 일상이 될 수 있는. 그러기 위해서는 이제 북한을 바로 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들을 우리 상대로 인정해야 한다. 다름을 인정하고 그것을 받아들일 때 그때서야 대화를 할 수 있다.
대화를 하기 시작하면 다름에서 같음을 찾을 수가 있다. 점점 함께 하는 부분을 넓혀갈 수 있다. 이것이 통일로 가는 길이다.
이 책, 정치인들이 꼭 읽었으면 좋겠다. 국회에서 회의도 제대로 하지 않는데, 그 시간에 이런 책을 읽고 정치인들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생각이나 했으면 좋겠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이런 책을 읽어야 한다.
실상을 제대로 알아야 상대를 인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책의 말미에 문익환 목사의 일화가 나온다.
문익환 목사가 생전에 재판을 받을 때 검사가 '친북'을 문제 삼자 "통일을 하려면 북한과 친해야 한다. 이남 사람들은 친북이 되고, 이북 사람들은 친남이 되어야 통일이 된다"고 반박한 적이 있습니다. (288쪽)
이 문장 다음에 '바로 그런 자세가 통일을 만들어 가는 자세가 아닐까요.'라는 저자의 말이 나온다. 이젠 남북이 상호 비방보다는 상호 칭찬하는 그런 관계를 지녔으면 좋겠다. 좋은 점을 보고 그것을 살리도록 서로 격려하는 것, 통일로 가는 한 걸음이라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