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젠더 수업 창비청소년문고 27
김고연주 지음 / 창비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젠더' 수업이다. '젠더'를 생물학적인 성인 '섹스'와 비교해서 '사회적인 성'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생물학적이든 사회적이든 무언가로 규정되면 이미 어떤 한계 속에 들어가게 마련이다.

 

그러니 젠더 수업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점은 바로 한계 속에서 나오는 것, 틀을 부수는 것, 보이지 않는 유리 천장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책 역시 마찬가지다. 시작을 인간의 본성이라는 주제로 시작한다. 인간의 본성이라고 하지만 남녀가 지니는 본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과연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남성과 여성으로서 서로 다른 본성을 지니는가? 이에 대한 답은 아니다다.

 

아니라는 연구 결과를 가지고, 남녀의 본성이라고 하는 것이 실은 사회적ㅡ역사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자신이 살고 있는 사회의 틀 속에서 본성이라는 것도 자연스레 형성되는데, 이것이 '다이어트'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그 다음에 사랑, 또 모성으로 논의를 확대해 나가는데...

 

본능에 가까운 정서라고 여기고 있던 것들이 실은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는 것을 사례를 통해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제목이 '나의 첫 젠더 수업'이듯이, 젠더라는 주제를 가지고 수업을 받아야 하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쓴 책이니, 청소년들이 어떤 고정관념을 지니고 있으면 그것이 고정관념임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여 책은 한 발 더 나아간다. 이번엔 직업이다. 어떤 일을 해야 할까? 과연 일에 남녀가 구분되는 일이 있을까. 지금까지는 남자와 여자가 하는 일을 구분하고, 그렇게 교육했다면, 이제는 아니다. 일은 평등하다. 누구나 자기가 하고 싶은 일을 해야 한다. 그 점을 명심해야 한다. 그래서 '최초'라는 이름을 단 사람들을 언급한다.

 

이 '최초'들이 있어서 사회에 퍼져 있던 편견들이 하나하나 깨져가고 , 이제는 '최초'라는 말을 쓰지 않는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다는 것.

 

그럼에도 가정으로 돌아와 보면 어떤가? 라고 질문을 한다. 가정으로 돌아오면 사회에서 양성 평등이 많이 이루어졌고, 남녀 구별이 많이 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강고하게 남아 있는 차별의 모습을 볼 수 있게 된다.

 

이 책에서 이 말을 듣고 참 좋은 말이다 하는 생각을 했는데, '맞벌이'와 '맞살림' (136쪽)이라는 말... 맞벌이는 많이 하는데, 아직도 맞살림은 거의 하고 있지 않는 우리나라 현실. 그러니 갈 길이 멀다.

 

젠더 수업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도 모르게 쓰는 '혐오의 말'을 인식하는 일이다. 혐오의 말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양성평등으로 가기 힘들다. 이런 '혐오의 말'은 파농의 말을 빌려 '수평 폭력'이라고 하는데, 자기가 분노해야 할 대상이 아닌 주변에 있는 약한 사람들에게 분노를 폭발하는 것, 이것이 바로 '수평 폭력'이다.

 

가부장적 사고에 빠져 있거나, 남녀는 달라야 한다는 사고에 빠져 있는 경우, 그렇지 않으면 과거에서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경우, 자기만의 세계에 갇혀 있는 경우, 이런 '수평 폭력'을 휘두르기 쉽다.

 

그러니 자신을 제대로 바라볼 줄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젠더 박스'에 갇혀 살지 모른다. 자신은 갇힌 줄도 모른 채.

 

어쩌면 이 '젠더 박스'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일지도 모른다. 상대를 온전히 인정하지 않고 오로지 자기 관점으로 재단하는. 자기 관점에서 상대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그런 침대.

 

이 프로크루스테스 침대는 없어져야만 한다. 마찬가지로 '젠더 박스' 또한 없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좀더 평등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 아니, 내 자신이 나를 인정하고, 남과 함께 연결되어 살아갈 수 있게 된다.

 

박스에 갇혀 있으면 다른 사람과 제대로 연결될 수 없기에. 우리나라 청소년들 공부다 뭐다 해서 자꾸만 박스 속으로만 들어간다. 그렇게 들어가면 안 된다. 이 책은 그런 청소년들에게 밖으로 나오라고, 젠더 박스를 벗어나라고 말을 건다.

 

젠더 박스에서 나와야지만 너는 너답게 살 수 있다고, 나는 나답게, 너는 너답게, 그래서 우리는 우리답게 서로 연결되어 서로 존중하면서 살아갈 수 있다고.

 

덧글

 

프란츠 파농은 20세기에 살았던 알제리 사람이에요. 학자이자 의사이며 알제리가 프랑스의 식민지였을때 독립 투쟁을 이끈 지도자이기도 하지요. (181쪽) 라고 되어 있는데,

 

파농이 알제리 독립 투쟁에 참여한 것은 맞지만, 알제리사람은 아니다. 파농은 프랑스령 마르티니크 출신이다. 알제리는 그가 활동했던 나라이지 조국은 아니다. 체 게바라가 아르헨티나 사람인데 쿠바에서 활약했듯이.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4-30 14:0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4-30 15:18   URL
비밀 댓글입니다.